제424회 충청북도의회(임시회)

산업경제위원회 회의록

제1호
충청북도의회사무처

일시  2025년 3월 13일(목) 10시
장소  산업경제위원회 회의실

의사일정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
2.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3. 충청북도 일자리 창출 촉진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4. 충청북도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5. 충청북도와 외국자치단체간 자매결연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6.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
7.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및 데이터산업 육성·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8. 충청북도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심사된 안건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
  가. 농업기술원
2.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충청북도지사 제출)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나. 경제통상국
3. 충청북도 일자리 창출 촉진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유재목 의원 등 7인 발의)
4. 충청북도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옥규 의원 등 8인 발의)
5. 충청북도와 외국자치단체간 자매결연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종갑 의원 등 7인 발의)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다. 과학인재국
6.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박경숙 의원 등 7인 발의)
7.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및 데이터산업 육성·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이의영 의원 등 7인 발의)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라. 투자유치국
2.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가. 투자유치국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마. 농정국
8. 충청북도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유재목 의원 등 7인 발의)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바. 충북경제자유구역청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2.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10시00분 개의)

○위원장 김꽃임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424회 충청북도의회 임시회 제1차 산업경제위원회 개회를 선포합니다.
  존경하는 위원님 여러분!
  건강한 모습으로 만나 뵙게 되어 매우 반갑습니다.
  금일 우리 위원회에서는 농업기술원·경제통상국·과학인재국·투자유치국·농정국·충북경제자유구역청 소관에 관한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과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을 심사하고, 충청북도 일자리 창출 촉진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 6건의 조례안을 해당 부서 예산안 심사 시 병행하여 심사 의결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안건을 상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
  가. 농업기술원
2.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충청북도지사 제출)
(10시01분)

○위원장 김꽃임   의사일정 제1항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과 의사일정 제2항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을 일괄 상정합니다.
  먼저 농업기술원 소관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조은희 원장께서는 발언대로 나오셔서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존경하는 산업경제위원회 김꽃임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바쁘신 의정활동에도 불구하고 저희 농업기술원이 충북농업 발전과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업들을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늘 아낌없는 지원과 격려를 해 주셔서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농업기술원 소관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사업명세서에 따라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사업명세서 209쪽부터 210쪽, 세입예산입니다.
  농업기술원 세입예산은 219억 2,058만 9,000원으로, 기정액 215억 4,571만 3,000원보다 3억 7,487만 6,000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국비 확정내시에 따른 변동분을 반영하여 국고보조금 1억 237만 6,000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 2억 7,200만 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사업명세서 211쪽부터 218쪽, 세출예산입니다.
  농업기술원 세출예산은 총 553억 6,909만 8,000원으로, 기정액 547억 342만 4,000원보다 6억 6,567만 4,000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먼저 211쪽, 농업진흥시책 추진 지원사업 예산입니다.
  농업진흥시책 추진 지원사업은 5,965만 원을 증액하여 총 20억 3,326만 2,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주요 사업내용은 농업기술원 방문객 안전사고 방지와 이용 편리를 도모코자 원내 차량 유도선, 안내표지판 등을 설치하기 위한 농업기술원 환경개선공사 사업비 5,7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211쪽, 농업기술개발 사업 예산입니다.
  농업기술개발 사업은 8,290만 원을 증액하여 총 74억 3,918만 1,000원 계상하였는데, 농업기술원 산업곤충연구동 주변 절벽의 작업자 추락 및 토양 유실 예방을 위한 산업곤충연구동 안전 보강공사 사업비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213쪽, 농업농촌 기술지원 사업 예산입니다.
  농업농촌 기술지원 사업 예산은 3억 9,437만 6,000원을 증액하여 총 270억 3,968만 2,000원 계상하였습니다.
  주요 사업내용은 검역병해충 확산 및 피해 방지를 위해 농가에게 약제 및 방제장비를 임차·지원하는 국비사업으로 농작물 병해충 방제비 사업 예산 8,637만 6,000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217쪽, 남부권 농업기술 개발사업 예산입니다.
  남부권 농업기술 개발은 9,130만 원을 계상하여 총 49억 9,455만 7,000원을 계상하였는데, 주요 사업내용은 농업기술원 분원 신축에 따른 원활한 행정업무 추진을 위하여 건물 및 시설장비 등 유지보수 사업인 분원 시설장비 유지비와 관용차량 구입 사업비 각각 1,365만 원, 4,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존경하는 산업경제위원회 김꽃임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이상 설명드린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은 우리 도 농업기술 혁신과 농가경영 안정, 재난·재해 안전과 직결된 사업으로 반드시 필요한 사업입니다.
  대내외적으로 급변하는 농업환경 속에서 우리 충북농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충북이 한국농업 혁신의 중추적 역할을 하기 위해 꼭 필요한 예산이므로 원안대로 심의 의결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리면서 이상으로 농업기술원 소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꽃임   원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 농업기술원 소관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 답변에 앞서 집행기관에 요구할 자료가 있는 위원님께서는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를 요구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 답변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의영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의영 위원   이의영 위원입니다.
  주요 설명자료 170쪽 내 농장 e-환경정보 서비스 운영 관리에 대해서 질의를 좀 드리겠습니다. 내 농장 e-환경정보 서비스 운영 관리와 관련해서 질의를 드리겠는데요.
  이게 국비로 아마 사업을 진행하다가 그 플랫폼이 완료됨에 따라 신규 계상한 걸로 지금 보이는데, 먼저 내 농장 e-환경정보 플랫폼이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또 어떤 효과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좀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이의영 위원님 질의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내 농장 e-환경정보 시스템은 저희 도만 가지고 있는 특별한 시스템인데요.
  기상청 정보는 5㎞×5㎞ 단위에서 기상정보를 제공해 준다면 저희는 30m×30m, 굉장히 국지적인 어떤 기상정보까지 제공해 줄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고, 이와 함께 병해충 정보까지 같이 탑재를 해서 농가들이 기상정보를, 그다음에 병해충정보를 좀 쉽게 종합적으로 받아서 농장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래서 요즘같이 이상기상 문제가 좀 심각하고 이럴 때 농가들이 문자로 서비스를 받아보면서 사전에 대응할 수 있는 그런 좋은 효과를 낸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이게 우리 도만 갖고 있는 거예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그렇습니다.
이의영 위원   다른 데서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다른 데는 이제 만들고 있습니다.
이의영 위원   만들고 있고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이게 시스템이 조기경보 시스템과 병해충 시스템이 따로 작동을 하고 있는데 저희는 이걸 한 군데에 시스템을 합해 놓은 거고요.
  이거를 다른 곳들은 다 각자 하고 있는 것들을 합하는 작업을…
이의영 위원   이 방면에서 우리 도가 앞서가고 있는 거네요, 그렇죠?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예.
이의영 위원   그러면 이게 지금 알림서비스가 어떤 방식으로 제공되고 또 그 수신 대상자는 누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이거는 농가들이 회원 가입을 해야 되고요, 개인정보 수신 동의도 농가들이 해 줘야 되기 때문에 회원에 가입할 수 있도록 저희가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고.
  그다음에 농가들은 문자로도 받아볼 수 있고 홈페이지나 이런 데 들어가서, 자기 기상정보라든지 병해충 정보는 또 모바일로도 볼 수는 있습니다.
  그렇게 하고 지금 들어와 있는 농가 수는 현재 한 1,700명 정도, 도내의 1,700농가가 들어와 있습니다.
이의영 위원   등록이 돼 있으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이의영 위원   등록이 돼 있고, 등록이 되고 회원제로 들어와야 된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예, 농가들이 계속 들어올 수 있도록 저희가 새해 농업인 실용교육이라든지 각종 교육 때, 그다음에 시범사업을 받은 농가들은 반드시 가입할 수 있도록 계속 유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의영 위원   그런데 이게 문자 알림 외에도 현재 모바일 앱이나 웹 알림으로다 해 갖고 다른 수신 방법으로도 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거기에 대해서 무슨 계획을 갖고 있는 건 없어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저희가 지금 현재 제공하고 있는 농작물 숫자도 계속 늘려가고 있고요.
  그다음에 수시로 업데이트는 계속 하고 있습니다. 모바일로 농가들이 조금 더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이의영 위원   모바일이나 웹 알림으로다 이렇게 좀 해서 그런 계획도…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그렇게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의영 위원   그렇게 하고 있다고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이의영 위원   그러면 그렇게 되려면 이 부분에 대해서 사용자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 컨설팅 같은 걸 지원을 해야 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거기에 대해서는 계획이 없으신가 하고서…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이 가입해 있는 농가들에 대한 교육도 조금 더 저희가 신경 써서 할 예정이고요, 신규로 가입할 수 있도록 저희가 적극적으로 교육도 하고.
  그다음에 정보를 받는 데서 그치는 게 아니라 정보를 받으면 사실은 농가들 입장에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시설적인 부분에서 시설개선이라든지 이런 게 또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것들도 시범사업이라든지 정책사업하고 연계해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고 노력하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그러면 지금 1,700명 정도가 회원 가입돼 있다 그랬죠, 그렇죠?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이의영 위원   그렇다면 지금 대상 인원은 총 몇 명 정도 중에서 1,700명이 가입된 건가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가 수로 봤을 때…
  저희가 대상 작물이 현재 7개 작물이 탑재가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7개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들이 일단 들어와야 혜택을 받을 수 있고요.
이의영 위원   그런데 그 농가가 얼마 정도 되시는 거예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그거는 한번 따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그러면, 왜냐하면 1,700농가라고 했는데 총 대상 농가 중에서 몇 프로 정도 회원 가입이 됐나…
  아까 작물 7개? 7개 작물 하는 회원들만 했다 그러는데 그 대상자 중 얼마나 되는지 좀 추후에 알려주세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아직까지는 제가 보기에도 그렇게 많이 들어와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요.
  그리고 농가들도 사실 7개 작목이지만 소규모로 하시는 분들은 또 이런 데에 아직 관심이 없으시고, 그런 형편은 좀 이해를 부탁드리고요.
  아직 그렇게 막 좋다라고 제가 자랑할 정도의 퍼센티지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이의영 위원   홍보나 이런 걸 좀 많이 해야 될 것 같아요. 그렇죠?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이의영 위원   그래서 내 농장 e-환경정보 서비스 운영을 통해 가지고 농업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 주시고, 그 사업을 잘 추진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알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이상 질의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이의영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박경숙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박경숙 위원   반갑습니다. 박경숙 위원입니다.
  조금 전에 우리 존경하는 이의영 위원님께서 질의하신 내 농장 e-환경정보에 대해서 조금만 더 추가 질의하겠습니다.
  작목이 7개로 늘었잖아요? 어떤 작목인지 한번 7개 좀 말씀해 주시겠어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박경숙 위원님 질의에 답변드리겠습니다.
  현재 7개 작물은 사과, 복숭아, 고추, 감자, 포도, 대추…
박경숙 위원   포도, 대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그리고 하나는 병해충 정보가 있다…
박경숙 위원   예예.
  그래도 이렇게 작물이 좀 늘어나고 해서 좋은데, 처음에 가입하는 게 어렵고 연세 드신 분들이 컴퓨터라든지 그게 어려워서 좀 안 되는 부분이 있잖아요.
  그래서 따로, e-환경을 위한 교육도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교육이 현재 따로 있지는 않고요. 저희가 새해 농업인 실용교육 때나 각종 교육 때 이 시스템을 설명하는 그런 시간을 좀 갖고 있고요.
  그다음에 농업기술센터 직원들에게 교육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게 매년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예, 글쎄, 대추 교육 때나 내 농장 e-환경정보에 대해서도 홍보를 하는 건 들었는데, 그래도 실질적으로 많은 농가들이 여기에 가입하면 굉장히 여러 가지로 기후에 대한 대비도 되고 병해충 대비도 돼서 참 좋을 거라는 생각이 들고 더 많은 분들이 가입했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렇게 질의했습니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박경숙 위원   저는 184쪽에 여성농업인 근골… 근곤… 아이고, 발음이 잘 안 되네요. 여성농업인 근골격계질환 예방 지원에 관해서 질의하겠습니다.
  농촌진흥청 농업인 업무상 질병현황 조사에 따르면 여성농업인의 업무상 질병 유병률이 높았으며 전체적으로도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습니다.
  또 질병 종류별 유병률은 근골격계질환이 5.2%로 가장 높다고 하는데요.
  또한 근골격계질환 유병률은 여성이 6.2%, 남성이 4.3%로 여성농업인이 근골격계질환에 더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듯 농촌에서 여성농업인들이 겪고 있는 근골격계질환 문제는 매우 심각한 실정인데요.
  이러한 점에서 농업기술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여성농업인 근골격계질환 예방 지원사업은 매우 필요하고도 중요한 사업이라고 판단이 됩니다.
  이번 추경을 통해서 기존 5개 시군에서 8개 시군으로 사업이 확대되었는데 이 중에서 보면 단양·괴산·옥천 등은 계상에서 왜 빠졌는지 궁금합니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박경숙 위원님 질의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이것은 저희가 주민참여예산으로 확보를 한 거고요. 지난번에 우리 위원장님께서 신청한 시군은 다 줄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말씀하신 게 이거고요.
  그래서 신청한 시군이 8개 시군이어서 8개 시군 전체를 주고자 3개를 더 신청하게 됐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러면 단양·괴산·옥천은 신청을 하지 않았다는 말씀이네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네.
박경숙 위원   아, 그렇구나!
  그럼 운동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또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인지 검증 결과가 있습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근골격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단은 스트레칭이라든지 운동 프로그램들이 주로 여기에는 많이 들어가 있고요.
  그다음에 주로 여성농업인들이 근골격계질환이 많은 이유가 밭농사를…
박경숙 위원   그렇죠, 쪼그리고 앉아서 하는 거기 때문에.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여성들이 주로 많이 하다 보니까 이런 문제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고, 쪼그리고 앉아서 작업을 할 때 어떻게 해야 되는지, 중간중간 일어나서 스트레칭도 하고 그다음에 무거운 짐을 들 때라든지 생활 속에서 해야 되는, 농사지으면서 해야 되는 활동들에 대한 컨설팅, 교육, 운동 프로그램 이런 것들이라고 보시면 되고요.
  농촌진흥청에 농업인안전팀이 있습니다. 농업인안전팀에서 개발한 프로그램들이 여기에 적용이 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박경숙 위원   네, 그래서 여성농업인들이 좀 더 몸에 무리가 되지 않게 일을 할 수 있도록 우리가 가벼운 농기계도 좀 많이 지원해 준 상태이긴 하죠?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네.
박경숙 위원   그러면 이 프로그램을 어떤 방식으로 어디에서 어떻게, 어느 장소… 장소는 어떻게 하나요, 그러면? 기술센터에서 각각 하시나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이게 아마 시군마다 조금씩 프로그램을 달리 운영할 거라고 저는 생각을 하는데 대체로는 마을 단위로 나가서…
박경숙 위원   아, 경로당 같은 데 가서?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마을회관 이런 데 가서, 모일 수 있는 시간이어야 되기 때문에 이게 아마 저녁 시간에도 많이 하고 있는 걸로 제가 알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아, 그렇겠죠? 또 마을에서 나오기가 힘드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센터에서 또 하기도 하고, 프로그램이 한 번에 끝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여러 번, 여러 차례 계획을…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어떻게 1년간 운영할 건지, 어디에 가서 하면 가장 효과가 좋을지 이런 것들에 대해선 좀 검토를 해서 한정된 예산으로 하기 때문에 아마 가장 필요한 곳으로 가서 그다음에 그런 대상자들을 선발해서 교육을 할 거로 알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러면 가서 교육을 하는 분을 또 섭외를 해야 되겠네요, 강사랄지?
  그러면 이 예산에 그게 다 포함이 되는 건가요? 가서 교육을 할 그 강사가 있어야 될 거 아니에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네, 그렇죠. 강사 풀도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러면 각 시군의 기술센터에서 강사 영입이라든지 그런 건 다 알아서들 하시는 거로?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저희가 강사 풀은 전국적으로도, 저희 도에서 또 제공하기도 하고요.
박경숙 위원   이게 지금 올해 처음 진행되는 사업이잖아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그렇습니다.
박경숙 위원   혹시라도 이게 또 낮 시간에는 일해야 되고… 물론 농번기, 농한기가 있는데 농번기 때는 조금 더 힘들 거 아니에요, 그렇죠?
  시간이 바쁘기도 하고 저녁때는 좀 쉬고 싶기도 할 텐데 혹시라도 여성농업인들의 참여율이 저조할 경우 또 대책이 있을까요?
  만약의 경우를 한번 생각을 해 보는 거죠.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그래서 아마 시기나 이런 것도 좀 합의하고 필요한 시기를 정해서 그렇게 해야 될 거로 저는 생각을 하고요.
  참여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짜서 운영하는 게 필요할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박경숙 위원   네네, 그래서 미리 이런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니까 좀 확대, 홍보도 좀 해야 될 거고.
  그럼 지금 홍보 같은 건 다 되어 있는 상태인가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시군에서 합니다.
박경숙 위원   아, 1월부터 했으니까 미리 지금 다 진행이 되고 있는 거겠죠?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신규로 가는 시군의 경우는 이제 홍보해야 되겠죠.
박경숙 위원   아직 시작은 안 했겠지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네.
박경숙 위원   그러게요. 이 사업을 통해서 여성농업인들이 좀 더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고요.
  더 많은 여성농업인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홍보와 참여 유도에 더 적극적으로 노력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이상 질의 마치겠습니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박경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유재목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재목 위원   소장님, 유재목 위원입니다.
  사업설명서 169쪽, 스마트팜 통합관제센터 관련 질의드리겠습니다.
  이게 무슨 뜻입니까? 스마트팜 통합관제센터, 뭐 하는 장소입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유재목 위원님 질의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이거는 농업기술원 내의 첨단 스마트팜 실증센터 내에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하고자 하는 거고요.
  이거는 어떤 거라고 보시면 되느냐 하면 관제센터, 그러니까 저희 충북의 전 데이터들을 최대한 많이 저희한테로 끌어오고 저희가 그걸 또 관리하고 통합해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그러니까 그런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괴산에 노지스마트농업 데이터센터가 있고 농가들도 요즘 데이터들을 계속 수집하고 있잖아요?
유재목 위원   그렇죠, 예.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그런 것들이 각각 있는 것이 아니라 이리로 좀 같이 모여져서…
유재목 위원   그럼 스마트농업을 하는 그런 농가들을 총괄 센터에서 관리를…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관리할 수 있도록…
유재목 위원   어떤 데이터를 통해서?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네.
유재목 위원   그러면 기술 지도나 모든 부분에 대해서 관제센터에서 통합적으로 관리를 하겠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관리가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드는…
유재목 위원   그럼 충청북도 농업기술원에서 지금 스마트농업 관리하는 그 농가가 얼마나 됩니까? 자료 전수조사된 게 있나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저희가 지금 충북도내의 스마트농업 도입률이 한 4%, 5% 정도 수준입니다.
유재목 위원   아주 미미하네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그래서 굉장히 아직은 낮은 상태이고요.
  그런 농가들도 또 데이터까지 들어온 농가들은 그중에서도 아마 많지 않다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그 농가들이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들을 어쨌든 한 군데에서 좀 관리할 수 있고 기술 지도도 해 주고 그렇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지금부터라도 만들어야 한다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유재목 위원   그렇죠. 선제적으로, 앞으로는 농업도 초고령화되고 인력도 없다 보니까 이런 스마트 통합관제센터에서 일괄 관리를 해야 돼요.
  그리고 또 전반적으로 농업기술원에서 기술 보급이라든가 기술 지도라든가 이런 부분에 적극적으로 예산 아끼지 말고 지도하시기 바랍니다.
  아셨습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알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자, 사업설명서 187쪽 남부분원 신축공사 준공식.
  지금 다 준비됐습니까, 개청식?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개청식 준비가 다 됐다고 말씀드리기는 곤란한 게 지금 추경에 저희가 준공식 예산을 올렸습니다.
  당초예산에 좀 세우려고 했는데 세워지지 못해서 저희가 이번 추경에 예산을 확보해서 조금 심포지엄도 하면서 도민들에게 성대하게 알리고 싶어서 그렇게 예산을 올렸습니다.
유재목 위원   이게 분원에서, 기술원 분원이 전국 최초입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전국 최초입니다.
유재목 위원   굉장히 상징적이네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그래서 관심이 많습니다, 전국에서.
유재목 위원   굉장히 상징적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죠?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유재목 위원   그러면 스마트팜 관련해서 남부분원에서도 전담을 많이 하시겠네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네, 남부지역의 스마트농업 하시고자 하는 분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저희가 2개 팀이 내려갔습니다.
유재목 위원   저도 현장을 한번 잠깐 다녀와 봤어요.
  인력은 다 잘 배치가 됐나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현재 10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분원 안에.
유재목 위원   10명? 23명이 한다고…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23명은 연구소까지 다 같이.
유재목 위원   연구소까지 포함한?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유재목 위원   분원은 열 분만 근무하시고 와인연구소나 대추연구소 다 포함한…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인원이 23명입니다.
유재목 위원   아, 그렇습니까?
  인원 모자라지 않습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일단 해 보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아, 예.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더 필요하면 위원님께서 도와주시리라고 믿습니다.
유재목 위원   예, 한번 기대해 보겠습니다.
  자, 188쪽!
  분원을 개청하시면서, 설명서에 분원 포장관리용 농업기계 구입 관련 질의드리겠습니다.
  이게 당초예산에는 관리기 2대를 산다고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분원 당초예산에. 그렇죠?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유재목 위원   근데 이게 갑자기 퇴비운반차로 변경이 됩니다.
  뭔 이유가 있습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그 관리기는 저희 본원 거를 분원으로 이관시키고 그 예산을 또 필요한 퇴비운반차를 구매하는 거로 변경하고자 합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본원에는 퇴비용 관리기가 또 있어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저희도 있고…
  근데 농업기술원 본원에 있는 것들 중의 2대를 분원으로 저희가 이관을 했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쓰던 거?
  아니, 기왕 새로이 개청하는 데 새 관리기를 사 주셔야지 왜 또 쓰던 걸…
  그럼 본원에는 따로 관리기가 또 있습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예산도 얼마 안 되는데 이거 신규로 해서 하시지 굳이 뭘 또 바꿔가면서 이렇게 하십니까?
  아니면 퇴비운반차를 추경에 아예 변경하지 마시고 이렇게 하시지 뭐 이렇게, 기분 좋게 출발하시지 이렇게 하셨어요? 금액도 얼마 안 되는데.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한정된 예산 안에서 운영을 하다 보니까 우선순위에서, 모든 걸 다 새로 구비하는 것도 좋겠지만 우선순위를 둬서 필요한 것들은 조금 나눠 쓰다 보면, 또 부족하면 그때 위원님께서 관리기 새로 살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자, 화두가 됐던 무병묘 인증센터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무병묘 인증센터는 현재 도립대하고 옥천군하고 농업기술원하고…
유재목 위원   장소는 어디로 결정이 났습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아직 결정… 장소를 어디로 할지 이런 것들에 대한 결정은 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유재목 위원   이원면에 전국 최대의 묘목유통단지가 있죠? 생산단지가 아니라 유통단지.
  전국 80%의 묘목을 이원에서, 이원면에서 유통을 하고 있습니다.
  3월 28일부터 29∼30일 2박 3일간 23회 옥천이원 묘목축제가 있어요.
  알고 계신가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알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방문할 계획이십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적극 검토해 보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예, 와서 격려 좀 해 주시고 현장을 한번 둘러보시고, 그 농가들이 원하는 게 무병묘 인증센터가 물론 분원에 있어야 되겠지만 그래도 인근에 가까운 데, 거기 도에서 관리하는 바이오센터가 있죠?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유재목 위원   바이오센터에 입점을 했으면 좋겠다는 건의가 무수히 들어와요.
  근데 바이오센터에 오다 보면 인력도 필요하겠죠? 운영비, 인건비 이런 부분이 뭔가 또 서로 조절을 해야 될 상황이니까 분원과 바이오센터와 아니면 묘목 종사자들과 한번 간담회를 가지셔서 무병묘 인증센터가 과연 어디에 들어가야 그 사업자들이 더 편하고 올바르게 또 인식이 바뀔 수 있나, 원장님이 간담회 한번 가져보세요.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네, 알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이상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유재목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추가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면 제가 한 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 조은희 원장님을 비롯한 직원 여러분, 현장에서 수고 많으십니다.
  지금 1회 추경예산을 보니까 우리 국고보조금이 한 얼마죠? 3억 7,000이 보조금으로 증액이 됐고, 그러면 우리 농기원의 예산은 1회 추경에 약 2억 정도가 지금 편성이 된 거예요.
  우리 예산부서에 추경 요청을 몇 건에 얼마 정도 하셨는지 혹시 자료 있습니까?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농업기술원장 조은희입니다.
  (관계공무원을 향해)얼마 있는지 혹시…
  따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파악이 안 되고 있어서.
○위원장 김꽃임   제가 궁금한 거는 일단 이렇게 건의 사업도 들으실 거고 간담회를 하다 보면, 또 관련된 농업 쪽의 우리 의원님들이 여러 가지 요구하신 사항도 많을 거란 얘기죠.
  그런데 제가 봤을 때 기후 위기나 여러 가지 때문에 우리 농기원에서 자꾸 시범사업과 또 여러 가지 연구와 이런 것들을 지금 해야 되는 상황이거든요, 앞으로를 대비해서.
  그런데 그런 관련된 예산이 별로 없어요.
  그래서 제가 봤을 때는 농기원에서도 요구를 하는데 지금 예산부서에서 예산편성을 안 한 게 아닐까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저는 연구와 이런 시범사업을 저희 농기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지금 해야 될 시기고, 그래야지 우리 충청북도의 농업이 지속 성장·발전한다고 생각하거든요.
  농업인들도 지금 상황에 대해서, 일례를 들면 사과 같은 경우도 작년에 기온이 너무 높아서 당도가 많이 떨어져서 사과 농사하시는 분들의 어려움이 많습니다.
  그런데 30년 이상 농사지은 분들도 기온이 올라가는 거에 따라서 당도를 어떻게 해야 될지 방법들을 모르세요.
  그런 것들을 해 줘야 되는 게 우리 농기원의 역할입니다, 농촌진흥청도 있지만.
  그래서 그런 것들을 지금 선도적으로 저희가 모든 품목이나 이런 것들에 좀 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저도 생각을 하거든요.
  그래서 추후에 우리 조은희 원장님! 요구하셨는데 반영된 거, 미반영된 거, 그 자료 좀 저희 위원회로 한번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리고 그렇게 추경에, 아니면 꼭 필요한 관련된 예산 있으면 저희 위원회에 말씀해 주시면 저희도 그런 것들을 위원님들하고 의견 나눠서 우리 예산부서에 꼭 편성해 달라고 얘기도 해야 되고, 그래야지만 여러 가지로 우리 농업기술원에서 열심히 하시는데 그거에 대한 성과가 더 많이 도출돼서 농민들한테 혜택이 더 많이 갈 것 같습니다.
  그런 거는 앞으로 향후 같이 공유 좀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감사합니다.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리고 또 한 가지, 우리 분원, 영동에 농업기술원 분원 하는 거 우리 유재목 위원님도 말씀하셨지만 잘 진행돼서 준공식할 때 우리 위원회에서도 가서 한번 상황을 보고 또 부족한 부분 이런 부분들은 저희가 건의해서 잘해서 우리 분원이 분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해야 된다고 저도 생각을 합니다.
  그런 것도 우리 원장님이 꼼꼼하게 잘 챙겨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기술원장 조은희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농업기술원 소관 질의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조은희 원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 자료 준비와 성실한 답변을 위해서 수고 많으셨습니다.
  경제통상국 소관 예산안 심사 준비를 위하여 정회한 다음 속개토록 하겠습니다.
  정회를 선포합니다.
(10시33분 회의중지)

(10시42분 계속개의)

○위원장 김꽃임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나. 경제통상국
○위원장 김꽃임   계속해서 경제통상국 소관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김두환 국장께서는 발언대로 나오셔서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입니다.
  존경하는 김꽃임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항상 경제통상국 현안에 깊은 관심과 아낌없는 성원을 보내주신 데 대해 깊이 감사드립니다.
  경제통상국 소관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이번 추경예산안의 규모를 말씀드리면 세입예산은 총 188억 8,709만 원으로, 기정예산 234억 4,804만 원보다 45억 6,094만 원이 감액되었으며 도 일반회계 세입예산안의 0.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출예산은 총 899억 8,564만 원으로서 기정예산 881억 1,303만 원 대비 18억 7,261만 원이 늘었으며 도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의 1.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부 증감내역은 예산안 사업명세서 순서에 따라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세입예산으로 143쪽부터 145쪽입니다.
  증감된 내용을 재원별로 살펴보면 세외수입으로 지역정착지원형 청년일자리 사업, 지역사회 활성화기반 조성사업 보조금반환수입 등 2개 사업 3억 1,703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고, 국고보조금 수입으로 노동약자 교육 및 법률구조상담 지원사업, 전통시장 안전관리패키지 지원사업 등 2개 사업 1억 4,112만 원을 증액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은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2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으며, 기금은 그린뉴딜 전선로 지중화 사업 51억 3,6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으로, 직제순에 따라 주요 증감내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46쪽, 경제기업과 소관입니다.
  총예산액은 219억 1,984만 원으로, 기정예산 206억 7,204만 원보다 12억 4,780만 원이 늘어난 규모로, 충북규제자유특구 과제 발굴 기획 등 국비사업 내시를 반영하여 4개 사업 3억 2,829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으며,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 민생경제 회복, 중소기업 경영안정 등을 위해 중소기업육성자금 이차보전금 4억 8,746만 원, 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 1억 6,500만 원, 중소기업 ESG 경영 역량강화 지원사업 2,000만 원을 증액 반영하였습니다.
  148쪽, 일자리정책과 소관입니다.
  총예산액은 187억 8,104만 원으로 기정예산 163억 853만 원보다 24억 7,251만 원이 증액된 규모로, 고용환경 개선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고용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사업 5억 7,684만 원을 신규 편성하고, 기숙사 임차비 지원사업 1억 원과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 16억 7,165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근로자 권익보호와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으로 노동약자 교육 및 법률구조상담 지원사업 3,794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습니다.
  151쪽, 소상공인정책과 소관입니다.
  총예산액은 234억 4,918만 원으로 기정예산 204억 3,345만 원 대비 30억 1,573만 원이 증액된 규모로, 소상공인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소상공인육성자금 이차보전금 10억 6,567만 원, 소상공인지원센터 운영 지원 8,000만 원을 증액 반영하였으며,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소상공인 출산지원 시범사업 3억 6,000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지역 내 소비 진작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10억 원, 전통시장 안전관리패키지 지원 1억 2,502만 원 신규 계상하였으며, 특성화시장 육성사업 1억 5,44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153쪽, 에너지과 소관입니다.
  총예산액은 183억 6,330만 원으로 기정예산 232억 2,674만 원보다 48억 6,343만 원이 감액된 규모로 국비 예산 감액에 따라 그린뉴딜 전선로 지중화 사업 51억 3,6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아울러 도내 중소기업의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해 중소기업 에너지 행복드림 지원사업 2억 6,572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습니다.
  존경하는 김꽃임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이번 경제통상국 소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변경된 국고보조사업비를 반영하고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高 현상 장기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그리고 취약계층의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들을 편성하였습니다.
  계획된 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경제통상국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원안대로 심의 의결해 주실 것을 건의드리면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 경제통상국 소관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에 앞서 자료를 요구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자료를 요구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 답변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박경숙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박경숙 위원   박경숙 위원입니다.
  19쪽의 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에 관해서 질의하겠습니다.
  본 사업의 목적이 가족친화인증기업에 대한 다양한 혜택 제공으로 일·생활 균형 및 가족친화 직장문화를 조성하여 인증기업 우대 및 출산율 제고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본 위원이 추가로 받은 자료에 의하면 ’24년 12월 기준 도내 가족친화인증기업·기관은 총 361개소이고 전국에서 네 번째로 많다고 합니다.
  인증기업이나 기관에 대한 사후관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국장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박경숙 위원님께서 질의하신 사항에 대해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가족친화인증기업에 대한 관리는 양성평등가족정책관에서 이 제도를 운영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거기서 작년 같은 경우에 굉장히 적극적으로 홍보활동도 많이 했고 이래서 작년에 사실 저희 가족친화인증기업이라든지 그런 기관들이 굉장히 많이 인증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게 가족친화인증기업이 지정되면 저희들 도 자체적으로나 중앙 차원에서나 여러 가지 혜택을 주는데 예를 들어 세금 우대를 한다든지 여러 가지 대출에 있어서의 우대금리를 적용한다든지, 하여튼 그런 우대금리 사항이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네, ’24년 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 실적을 보면 총 8개 사에 2억 1,800만 원이 지원되었습니다.
  지원받은 기업의 만족도 내지 사업의 성과는 좀 어떻습니까?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아마 작년에 이걸 처음 하고 18개 사에 대해서 만족도 결과 조사를 했는데 전체 6개 문항으로 해 가지고 참여 경로라든지 사업 만족도, 지원 편리성, 건의사항 이런 식으로 해 가지고 했는데 결과가 평균 만족도 98.6%입니다. 그러니까 만족도가…
박경숙 위원   꽤 높게 나왔네요?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굉장히 좋은 상황입니다.
박경숙 위원   그렇구나!
  그러면 그렇게 만족도가 좋으니까 물론 좋게 다른 기업들도 많이 영향을 받겠죠, 인증을 안 한 기업들도 많이 영향을 받겠네요. 그렇죠?
  그럼 해당 사업 최초 진행 후 지금까지 도내 기업 및 기관에서 가족친화제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 부탁합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아까 전에도 잠깐 말씀드렸지만 작년에 우리 양성평등가족정책관실에서 가족친화인증기업 인증을 위해서 사실은 각 기업이라든지 이런 데 홍보라든지 이런 활동을 많이 했습니다.
  또 저희들의 가족친화인증기업 바우처 지원사업도 그렇게 가족친화인증기업을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신규로 이런 시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고요.
  그래서 하여튼 각 기업들에 이런 사업들을 하고 이런 시책을 하고 하는 것이 기업들 입장에서는 ‘아, 이런 가족친화인증기업을 적극적으로 이렇게 좀 확대를 해야겠다.’ 하는 그런 인식을 굉장히 많이 심어줬다 이렇게 저희들은 인식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네, 지금 1차 추경 사업량 확대, 즉 지원대상 기업이 15개 사에서 25개 사로 확대되면서 금액이 1억 6,500만 원이 추가로 계상된 거잖아요.
  그러면 이 10개 기업은 선정할 건지 아니면 이미 선정을 해 놓은 기업인지 궁금합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이게…
박경숙 위원   지금 15개 사에서 25개 사로…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아마 기존에 신청해 놓은 그런 풀을 가지고 별도 모집 없이 그런 예비 합격자 중에 차순위를 선정하는 걸로 그렇게 진행되겠습니다.
박경숙 위원   아, 그러면 미리 선정을 해 놓고 예산을 순차적으로 지원을 하시고 있는 거구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예.
박경숙 위원   해당 사업의 사업비와 관련해서 지원 기업의 수를 확대하는 게 좋은가 아니면 지원 금액을 확대하는 게 좋은가 한번 조금 비교를 해 보셔서, 어떤 게 효과성이 더 좋다고 생각을 하십니까?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저희들이 이 바우처 지원사업을 각 기업별로 최대 1,500만 원을 지원하는 걸로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내용적으로 보면 각 기업에서 시제품을 개발한다든지 제작을 해 본다든지 각종 홍보라든지 컨설팅 비용으로 쓴다든지 하는, 그러니까 기업이 원하는 대로 이 사업비를 쓸 수 있도록 이렇게 설계를 한 것이기 때문에 최소한 저희들은 한 1,500만 원 그 정도 선의 규모가 돼야 그래도 기업에서 어느 정도 유인이 돼서 이렇게 좀 적극적으로 이걸 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입니다.
  이 사업비를 더 줄여서 기업을 많이 이렇게 지원하는 것도 좋겠지만 일단 저희들은 한 1,500만 원 정도 규모 이 정도는 돼야 그래도 기업에 유인이 되고 또 기업의 어떤 시제품 제작이라든지 이런 데… 그것도 아마 1,500만 원도 부족할 겁니다, 시제품 제작이나 이런 거 할 경우에는.
  그래서 그 정도 규모는 최소 돼야 된다 이렇게 인식을 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러면 한 기업당 최소한 1,500만 원 정도는 지원을 하고, 그럼 내년은 올해보다 또 이 기업 수는 더 증가시킬 건가요?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예, 그렇습니다.
  추경에 또 추가로 확보가 됐기 때문에 추가로 더 이렇게 지원이 되겠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러면 좀 더 길게 보자면 대부분의 우리 기업들이 가족친화인증기업이 되는 게 목표인가요?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그게 꼭 가족친화인증기업이 되는 것 자체가 목적은 아니고요.
  일단 가족친화인증기업이라는 그 내용 자체가 각 기업이나 기관에서 여러 가지 가족친화적인 그런 시책을, 예를 들면 근로자들이 혜택을 받고 할 수 있는 시책을 많이 하는 것이기 때문에…
박경숙 위원   맞습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궁극적으로는 그게 목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박경숙 위원   네, 근로자는 일에 집중하도록 하는 거고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성과 경쟁력을 좀 더 강화시키는 그런 일을 하자는 거죠, 그렇죠?
  본 사업이 다양한 인센티브 지원을 통해서 기업 및 기관이 가족친화적 직장문화를 조성하고 확대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이 잘 달성될 수 있도록 사업 시행에 만전을 기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이상입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네,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박경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유재목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재목 위원   국장님, 유재목 위원입니다.
  사업설명서 33쪽, 명세서 151쪽 보겠습니다.
  소상공인 출산 지원 시범사업입니다.
  이게 올해 신규사업인가요?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유재목 위원님께서 질의하신 사항에 대해서 답변드리겠습니다.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사업 취지나 목적이나 이런 건 아주 상당히 지금 지역소멸·인구감소 관련해서 굉장히 좋은 사업입니다.
  근데 우리 충청북도에서 있잖아요, 육아 관련해서 지원하는 예산이 뭐 뭐가 있나 혹시 알고 계세요?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상당히 사실은 출산부터 육아, 돌봄까지 굉장히 많은 시책을 해서 지원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래서 2005년부터 2023년까지 정부에서 인구소멸 관련, 인구정책에 관련해서 200조를 투자했다고 합니다.
  근데 국장님이 지금 보시기에 인구 관련해서 뭐 성공한 사례는 아니죠? 계속 인구가 감소되죠?
  지금 전국 인구가 5,100만이랍니다.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만 인구가 늘지 다른 데는 다 인구가 계속 급감하고 있다고, 알고 계시죠?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예, 전체적인 추세는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인근 세종시도 인구가 48만에서 정체된 지가 1년 6개월이 된답니다. 거기도 인구가 안 늘고 소멸이 된대요, 면 단위는.
  자, 그거 관련해서 소상공인 출산 지원사업, 이 기준이 어디입니까, 기준이?
  소상공인이 충청북도에 몇 분이나 되세요? 전수조사된 거 혹시 있습니까?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저희들이 이 사업량을 우선 100명으로 이렇게 설정한 것은 ’23년도·’24년도 도내 출생아 수가 1만 5,332명입니다.
  그래서 거기에서 출산 2년 미만의 아기를 가지고 있는 연령층을 20대에서 40대의 소상공인으로 봐서 전체 인구에서 그 소상공인이 한 육점몇 프로 정도 됩니다. 그래서 그 비율을 따졌을 때 한 1,000명 정도 나오거든요.
  그래서 이 1,000명의, 일단은 시범사업 성격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래서 100명을…
유재목 위원   100명만?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연 매출 1,200만 원 이상, 그렇죠? 기준이.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럼 1,100만 원 연 매출을 올리는 분은 기준에서 제외되겠네요?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일단 기준을 저희들이 1,200만 원으로 잡은 것은…
유재목 위원   이상이니까.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예, 이상을 잡은 것은…
유재목 위원   1억 2,000 연 매출 올리는 분은 기준에 속합니까, 안 속합니까?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기준에 속합니다. 속하는데 이제 그걸…
유재목 위원   1,100만 원 연 매출 올리는 분은 기준에 속해요, 안 속해요?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기준상으로는 속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기준을 그렇게 설정한 이유는 최소한 연 매출이 1,200만 원 이상은 돼야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하는 거로 저희들도 판단을 하는 것이거든요.
유재목 위원   국장님, 그러면 소상공인들 현장 가서 그분들 목소리 한번 들어보셨어요?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예, 여러 가지 계기가 있을 때 좀 가서 뵙기도 하고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이게 형평성에 너무 어긋나요.
  또 우리가 2025년도에 이거 시범사업을 한다고 합니다. 그렇죠?
  인근 우리 경상북도, 작년 ’24년도에 경상북도에서 똑같은 사업을 했어.
  우리는 100명이었죠, 12억? 거기는 1,000명에 120억 예산을 갖고 이런 소상공인 출산 지원사업을 시행했어요. 1,000명 기준으로 해서 했는데 152명, 15.2% 등록 완료돼서 지급됐다고 합니다.
  인근 지역의 경상북도가 이렇게 사업을 했는데도 우리는 금액의 10분의 1밖에 안 되는 100억 갖고, 120억 갖고, 12억 갖고 하는 거지만…
  월 200만 원씩 6개월 주겠다는 얘기 아니에요, 그렇죠?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네.
유재목 위원   좋은 사업이지만…
  또 이거 경상북도는요 매칭을 5 대 5 매칭을 했어요, 5 대 5.
  우리는 매칭 비율이 어떻게 됩니까?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저희들은 3 대 7입니다.
유재목 위원   경상북도는 5 대 5여도 성과율이 15.2%밖에 안 나오는데 우리는 또 3 대 7 아닙니까? 도에서 3, 시군에서 7, 그렇죠? 매칭 비율도 굉장히 열악해요.
  기이 시범사업으로 준비를 하셨다고 하니까 현장의 목소리도 한번 들어보시고 소상공인들하고의 어떤 친밀한 간담회를 가져보시고 한번 사업 진행에 박차를 가해 주셨으면…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네, 알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알겠습니까?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하여튼 위원님 지적사항 명심해서, 이거 시범사업으로 저희들이 처음 하는 거기 때문에 하여튼 기준이라든지 대상에 대한 홍보 이런 걸 철저히 해서…
유재목 위원   다시 한번 잘 고려하셔서…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예, 하여튼 성과가 날 수 있도록 이렇게 하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1억 2,000 매출 올리는 분들은, 1,200부터 이게 기준이면 거기서 한 몇십만 원 빠지는 사람은 기준에서 빠진다면 너무 안타깝지 않겠어요?
  그런 부분도 잘 조정하셔서 이 사업이 시범사업이지만 아주 성공적으로 자리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최대한도로 관심을 가져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네, 알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위원장님, 이상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유재목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이종갑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종갑 위원   이종갑 위원입니다.
  27쪽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과 관련해서 좀 질의드리겠습니다.
  이 사업은 우리 충청북도 일자리 정책 사업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아주 급격히 수요가 증가되고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금년도 예산만 보더라도 당초예산 대비 이번 1차 추경에서 보면 사업량은 한 3배, 예산은 2배 이상 이렇게 늘어났습니다.
  이렇게 급격히 늘어난 이유를 좀 국장님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이종갑 위원님께서 질의하신 사항에 대해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이 도시근로자 사업은 저희들이 작년에, 사실은 작년 추경 9월에 사업량을 10만 명으로 확대해서, 소상공인까지 확대해서 이렇게 시행을 했습니다.
  근데 작년에 저희들이 사업한 그 결과를 보면 짧은 3개월 기간이지만 목표량을 초과했습니다. 10만 5,000명을 달성했습니다, 목표량을.
  그래서 이 수요가 굉장히 많다는 것을 작년에 저희들이 알았고 또 올해도 당초에는 10만 명 기준으로 해서 사업을 시행해서 2월부터 신청을 받아본 결과 지금 현재 계약이 된 인원이 16만 명이 넘었습니다, 벌써.
  그래서 이 사업은 그만큼 우리 소상공인들이 어렵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고, 어려운 그런 소상공인들의 민생 안정을 위해서는 절실히 필요한 사업이고 물량도 이 정도는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물량이다 이렇게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저희들이.
이종갑 위원   소상공인이 어렵다는 건 누구나 다 아는 거고, 그런데 급격히 이게 늘어났다는 것은 이 사업을 잘 인지하지 못하다가 이제 인지하고 막 신청, 이런 부분도 있을 거라고 봅니다. 그렇죠?
  지금 국장님 설명하셨다시피 3월 3일 기준으로 보면 기업은 457개소, 순인원은 1,160명, 연인원 16만 4,843명 이렇게 늘어났어요.
  뭐 소상공인 같은 경우는 목표 대비 한 260% 이렇게 증가를 한 걸로 나타나 있습니다.
  그런데 이걸 10만 명에서 30만 명으로 늘렸다는 건 급격히 3배를 늘린 거예요.
  사실은 전체적인 경제상황으로 보면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있잖아요, 그렇죠?
  지금 뭐 소상공인들, 자영업자들의 아우성은 너나 할 것 없이 피부로 느끼잖아요.
  나가 보면 다 임대, 얼마 전에 언론에 보니까 자영업자 폐업 수가 20만 명, 20만 업체가 이렇게… 앞으로 점점 더 지금 이 상황이라면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 사업의 증가 추세가 그렇게 급격히 계속 늘어나겠냐!
  어떻게 보면 이거는 사실은 경기가 활성화돼야지, 물론 소상공인들 입장에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도시근로자를 채용해서 쓰는 거는 당연히 더 늘어나겠지만, 전체적으로 어떤 경기의 이런 흐름으로 봤을 때는 뭐 사업이 잘되고 점포가 늘어나고 자영업자 수가 늘어나고 이래야지 이 사업량이 늘어나는 건데, 사실은 이 내용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이런 상황이거든요.
  그래서 이거를 이렇게 1회 추경에 급격하게 30만 명에 대한 예산을 다 확보할 필요가 있는 건지, 좀 더 추이를 봐 가면서 2회 추경도 있고 그러니까 그때 몇 달의 사업량의 추이를 봐서 할 필요는 없는 건지 이런 거를 제가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이게 또 갑자기 이렇게 늘어나다 보면 사업 집행의 질적 저하가 일어날 수도 있고 그렇게 숫자만 따라가다 보면 전체적으로 이게 운영 면에서 소홀함이 발생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 이런 면에서 좀 더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 저는 그렇게 보는 겁니다.
  국장님 어떻게 생각하세요?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위원님 지적하신 대로 워낙 경기가 좋지 않고 그래서 폐업하는 그런 소상공인도 많고 이렇긴 하지만, 근본적으로 전반적으로 하여튼 소상공인들이 어렵다는 것을 방증을 하는 거라고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기존 저희들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시책도 작년 9월부터 추경에 이게 반영이 돼서 시작이 된 사업이고, 우리가 연초에 시작을 했을 때 이렇게 신청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수요가 많은 것이라고 저희들은 판단을 하고 있고요.
  또 소상공인이 많은 청주 같은 경우는 지금 더 이상 뭐, 추경분까지 접수가 다 계약이 돼서 더 이상 신청을 받지 못하는 이런 상황입니다, 현실적으로 사실은.
  그래서 충분히 저희들이, 이 30만 명이라는 목표를 설정한 것은 충분히 이거에 대한 수요는 충분하다 이렇게 저희들은 판단을 하고 있고 이래서 이 정도는 반영을 해서 조금이라도 어려운 소상공인들의 민생을 위해서, 충분히 소화가 될 수 있는 물량이라고 이렇게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이종갑 위원   하여튼, 이게 우리 도 일자리 사업의 대표적인 거고 또 소상공인들한테도 꼭 필요한 사업이고 그러기 때문에 하여튼 이게 본 위원이 조금 전에 염려한 바와 같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어떤 집행의 소홀함, 질적 저하, 이런 부분을 좀 더 세심하게 챙겨보시고 모니터링하시면서, 이게 사실은 소상공인들 도와주는 목적도 있지만 어떻게 보면 유휴인력을 활용하는 취업의, 일자리 창출의 목적도 있는 거잖아요.
  양쪽을 다 세심하게 살펴서, 엄청난 예산을 투자하는 거니까 잘 추진될 수 있도록 좀 더 세심하게 관찰해 주시기 부탁드리겠습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예, 명심해서 그렇게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이종갑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이종갑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국장님, 제가 질의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존경하는 이종갑 위원님이 말씀하신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이요. 저는 여하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금을, 지원금이든 지원정책이든 지금 확대해야 된다고 제가 지난번 5분발언에서도 말씀을 드렸듯이 저희가 충북도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거, 그나마 우리 소상공인들한테 인건비라도 지원할 수 있는 이 사업을 확대한 거는 인건비 지원 차원에서 저는 공감하고.
  또 여러 가지, 작년에 10만 명을 했다가 올해 30만 명으로 3월 달에 20만 명을 확대하는 거잖아요?
  그랬을 때 여러 가지 이 정책에 대해 보완해야 될 점 이런 것들을 충분히 검토하셔 갖고 좀 해 주시기를 요구를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사실 이게 지금 도시근로자사업 조건이 4대 보험 들어야 되고요, 그렇죠? 우리 일반 그냥 영세한 소상공인들은 혜택을 못 봐요.
  왜냐하면 경영주가 4대 보험을 들어 줘야지만 이 도시근로자를 신청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거기에서 지금 사각지대인 분들한테 할 수 있는 방법을 좀 찾아 주세요.
  그래서 지금 이 사업을 하시면서 그 부분의 사각지대의 분들한테도 저희가 인건비라도 지원할 수 있는 그런 부분을 조금 보완해 주셔야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 보완점을 찾으시면 말씀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국장님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김꽃임 위원장님이 질의하신 사항에 대해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하여튼 위원장님 말씀하신 대로 그런 개선사항이나 이런 게 있으면 보고를 드리고 이렇게 할 거고요.
  지금 현재로도 사실은 그런 사각지대를 위해서 여러 가지 제도가 있습니다.
  기존 사회보험 두루누리 제도라든지 또 소상공인들이 신청을 쉽게 하는 온라인을 도입해서 한다든지 이런 개선을 저희들도 고민해서 많이 그걸 하고 있거든요.
  하여튼 계속 그렇게 개선해서 나갈 거고요, 명심해서 그렇게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예, 현장의 소상공인분들이 이런 행정절차 때문에 불편하지 않도록 보완해 주시고요.
  그리고 두 번째로, 중소기업육성자금하고 또 소상공인육성자금 이차보전금을 제가 5분자유발언 때 충남하고 비교하면서 말씀드려서 일단 추경에 조금 더 확보를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아주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금도 생각을 하고 있거든요.
  왜냐하면 일단 소상공인분들의 폐업률도 지금 올라가고 있지만 폐업을 하고 싶어도 이 정책자금을 일시에 상환을 해야 돼요.
  그 부담 때문에 지금 억지로 문을 열고 계시거나 폐업만 안 할 뿐이지 문은 닫고 계신 이런 소상공인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이거는 저희가 정말 확대를 더 해야 된다고 생각을 하고, 이런 정책자금에 대해서 우리 도만의 특별한 정책을 더 발굴할 수 있고 그게 결국은 예산 지원이죠. 그런 것들을 더 확대할 수 있도록 찾아 주시고요.
  그리고 한 가지만 더 질의하면, 우리 명세서에 보면 152페이지에 지역정착지원형 청년일자리 사업 국고반환금이 있습니다.
  1억 1,800만 원 정도인데 이거 이렇게 많이 반납을… 이게 지금 집행잔액 같거든요.
  이걸 왜 이렇게 많이 반납을 했는지, 국장님 잘 모르시면 과장님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152페이지, 명세서.
○소상공인정책과장 이장연   소상공인정책과장 이장연입니다.
  위원장님 질의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이 사업은 중소기업이나 기업에서 지역 거주 청년 일자리를 만들었을 경우에 인건비와 주거·교통비를 지원해서 추진했던 사업입니다.
  그런데 워낙 규모가 크고 이게 청주상공회의소에서 총괄 기능을 하고 시군과 같이 한 사업인데, 이게 정산을 해 가지고 국고 반납금, 시도비 반납금, 이런 것들을 다 정산을 해서 하니까 양이 많지만 전체적인 비중으로 봤을 때는 굉장히 큰 사업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이게 그러면 지금 ’21년도 사업 반환하는 거고요, 그렇죠?
○소상공인정책과장 이장연   예.
○위원장 김꽃임   그럼 올해 예산은 없는 것 같던데?
  이게 지금 국비 사업인데 어떻게, 공모가 안 됐나요? 올해는 없는 것 같아요.
○소상공인정책과장 이장연   이 사업은 이제 종료가 됐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렇죠, 종료됐죠?
○소상공인정책과장 이장연   예.
○위원장 김꽃임   알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난번부터 제가 도시가스 인입배관 공사비용 그거에 대해서 불합리성 이런 것들을 지적했고 끊임없이 노력해 주셔서 우리 김두환 국장님과 정광호 과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일단 10개 시군에 충청에너지서비스가 먼저 일차적으로 인입배관 공사비용을 전액 사업체에서 부담하는 걸로 하고, 두 번째로 충주만 제외가 됐었는데 ‘참빛’도 같이 업체에서 전액 부담하는 걸로 해 주셨기 때문에 고생 많이 하셨다라는 말씀을 드리고, 이걸로 인해서 우리 도민들이 굉장히 감사하다고 말씀을 많이 해 주세요. 그래서 그걸로 인해 저희 의회에서도 여러 가지 성과를 낼 수 있어서 좋았고.
  그런데 앞으로 다가올 공급비용 용역 있죠?
  그래서 지금 인입배관 공사비용으로 그 부분이 여러 가지 용역에 글쎄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모르겠지만, 제가 그때 도정질문하면서 대전 사례를 예로 들었습니다. 대전이 인입배관 공사비용을 전액 사업체에서 부담했지만 그 이듬해의 공급비용은 전혀 오르지 않았다.
  그래서 그런 용역하시면서 우리 국장님하고 과장님이 더 끝까지 최선을 다해 주시고요.
  지금 물가가 장난 아닙니다, 알고 계시겠지만.
  그래서 저희 이런 공공물가 안정을 위해서도 우리 경제국에서, 관련 부서에서도 더 최선을 다해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국장님 답변 바라겠습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위원장님 말씀하신 인입배관 공사비는 사업자가 전액 부담하는 걸로 이렇게 했는데, 저희들이 작년에 용역을 하면서 사실은 그 비용을 포함해서 했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정확한 수치는 기억을 하지 못하지만 그 사용료에, 일반 수용가의 사용료에 부과되는 건 굉장히 미미하더라고요.
  그게 20년·16년 이 기간을 봤을 때 마지막 해에 가서 추가되는 비용이 이쪽 충주가… 충청에너지서비스가 오천 얼마, 그 정도더라고요.
  그러니까 소비자가 느끼는 것은 거의 아마 미미하다고 저희는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알겠습니다.
  여러 가지 지금 관내의 우리 도민들의 어려움은 무엇보다 잘 알고 계시니까요, 우리 경제통상국에서 더 많은 준비와 또 꼼꼼하게 행정을 잘 챙겨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경제통상국 소관 예산안에 대한 질의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조례안을 상정하도록 하겠습니다.

3. 충청북도 일자리 창출 촉진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유재목 의원 등 7인 발의)
(11시19분)

○위원장 김꽃임   의사일정 제3항 충청북도 일자리 창출 촉진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상정합니다.
  대표발의하신 유재목 의원님께서는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재목 의원   유재목 의원입니다.
  본 의원이 대표발의한 충청북도 일자리 창출 촉진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조례안은 현행 5년마다 수립하는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을 도지사의 임기와 맞게 4년마다 수립하도록 하고, 조례에 사용하는 용어의 정비와 당해 연도 시행계획 결과 등을 다음 연도 시행계획에 반영하여 도의 일자리 창출 정책의 효용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전자파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개정을 통해 충청북도의 일자리 창출 정책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충청북도 일자리 창출 촉진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부록에 실음)
○위원장 김꽃임   유재목 의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충청북도 일자리 창출 촉진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를 종결하도록 하겠습니다.
  김두환 국장께서는 동 조례의 시행과 관련하여 문제점이나 특별한 의견이 있으면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먼저 조례안을 대표발의해 주신 유재목 의원님께 감사를 드리겠습니다.
  본 개정조례안은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을 현행에 맞게 4년마다 수립하도록 개정하고 조례에 사용하는 용어를 명확하게 규정해서 도의 일자리 창출 정책의 효용성을 도모하고자 개정하는 것입니다.
  조례안 시행과 관련해서 특별한 의견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조례안에 대하여 별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의결토록 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3항 충청북도 일자리 창출 촉진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원안대로 의결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4. 충청북도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옥규 의원 등 8인 발의)
(11시22분)

○위원장 김꽃임   의사일정 제4항 충청북도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상정합니다.
  동 조례안을 대표발의하신 이옥규 의원님의 청가로 본 위원장이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김꽃임 의원   김꽃임 위원장입니다.
  이옥규 의원이 대표발의한 충청북도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해 이옥규 의원을 대신하여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조례안은 조례의 입법 취지를 반영하여 목적과 용어를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명확히 하고 노동안전보건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에 포함하는 내용을 구분하여 충청북도가 효율적으로 산업재해 예방활동에 나설 수 있도록 조례를 정비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개정을 통해 충청북도의 산업재해 예방과 노동안전보건 정책의 효율적인 운영과 실효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충청북도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부록에 실음)
○위원장 김꽃임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충청북도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김두환 국장께서는 동 조례의 시행과 관련하여 문제점이나 특별한 의견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조례안을 대표발의하신 이옥규 의원님께 먼저 감사를 드리고요.
  본 개정조례안은 우리 도가 효율적으로 산업재해 예방활동에 나설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례안 시행과 관련해서 특별한 의견이 없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조례안에 대하여 별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질의 답변을 마치고 의결토록 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4항 충청북도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원안대로 의결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예」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5. 충청북도와 외국자치단체간 자매결연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종갑 의원 등 7인 발의)
(11시24분)

○위원장 김꽃임   의사일정 제5항 충청북도와 외국자치단체간 자매결연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상정합니다.
  대표발의하신 이종갑 의원님께서는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종갑 의원   이종갑 의원입니다.
  본 의원이 대표발의한 충청북도와 외국자치단체간 자매결연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조례안은 충청북도의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KOICA 국제개발협력 공모사업에 대한 예산 지원의 근거가 필요함에 따라 조례에 해당 사항을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개정을 통해 충청북도가 계획하고 추진하고자 하는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실효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충청북도와 외국자치단체간 자매결연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부록에 실음)
○위원장 김꽃임   이종갑 의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충청북도와 외국자치단체간 자매결연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김두환 국장께서는 동 조례의 시행과 관련하여 문제점이나 특별한 의견이 있으면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통상국장 김두환   경제통상국장 김두환입니다.
  먼저 조례안을 대표발의해 주신 이종갑 의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본 개정조례안은 도의 국제개발협력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 ODA 공모사업에 대한 예산 지원 등 관련 규정을 개정하는 것입니다.
  조례안 시행과 관련해서 특별한 의견이 없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조례안에 대하여 별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질의 답변을 마치고 의결토록 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5항 충청북도와 외국자치단체간 자매결연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원안대로 의결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김두환 국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 자료 준비와 성실한 답변을 위해서 수고 많으셨습니다.
  과학인재국 소관 예산안 심사 준비를 위하여 정회한 다음 속개토록 하겠습니다.
  정회를 선포합니다.
(11시26분 회의중지)

(11시39분 계속개의)

○위원장 김꽃임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다. 과학인재국
○위원장 김꽃임   계속해서 과학인재국 소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김수인 국장께서는 발언대로 나오셔서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존경하는 김꽃임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연일 계속되는 의사일정 속에서도 과학인재국 사업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 주시고 아낌없이 지원해 주시는 데 대하여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위원님들께서 제시해 주시는 고견은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에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그럼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세출예산 규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세입예산은 총 1,336억 원으로 기정예산 874억 원보다 461억 원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세출예산은 총 2,935억 원으로 기정예산 2,319억 원보다 615억 원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그럼 세부사업 내역을 사업명세서 순서에 따라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예산입니다. 157페이지입니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사업 461억 원,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부지 등기등록비 1,27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입니다.
  직제순에 따라 과별 주요 증감내역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사업명세서 159페이지, 과학기술정책과 소관입니다.
  총계상액은 162억 원으로 기정예산 대비 12억 원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주요 사업으로 도민 대상 AI 리터러시 역량강화 1억 5,000만 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 9억 원 등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사업명세서 160페이지, 산업육성과 소관입니다.
  총계상액은 389억 원으로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6억 5,9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사업명세서 161페이지, 미래인재육성과 소관입니다.
  총계상액은 2,212억 원으로 과학인재국 예산의 75.4%를 차지합니다. 기정예산 대비 596억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주요사업으로 교육재정교부금 54억 원, 충북도립대학교 운영비 지원 10억 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 531억 원 등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사업명세서 163페이지입니다. 방사광가속기추진과 소관입니다.
  총계상액은 171억 원으로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부지 등기등록비 2,54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존경하는 김꽃임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이상 설명드린 바와 같이 과학인재국 소관 ’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국고보조사업과 국비 대응사업을 반영하고 AI 역량 강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등 충북의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을 계상하였습니다.
  계획된 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위원님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원안대로 심의 의결해 주실 것을 건의드리며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 과학인재국 소관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에 앞서 자료를 요구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자료를 요구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 답변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의영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의영 위원   이의영 위원입니다.
  주요 설명자료 60쪽 방사광가속기 부지 등록비에 대해서 간단히 질의를 좀 하겠습니다.
  방사광가속기는 현재 잘 추진되고 있는 거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지금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데 건축공사가 한 차례 유찰이 돼서 재입찰 공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외의 사업들은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의영 위원   방사광가속기 단장님도 그것 때문에 홍보하러 다니고 우리 지역의 이장들 회의할 때도 홍보하러 다니고 상당히 고생을 많이 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여튼 그 부분에 감사드리고.
  지금 보니까 방사광가속기 부지 등록비가 본예산에, 기정예산에 포함될 수 있었던 건데, 그거 ’21년도부터 했었던 거 아니에요, 그렇죠?
  근데 그게 지금 행정절차가 약간 지연되고 놓친 것 같은데 그거에 대해서 좀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위원님께서 지적해 주신 대로 당초예산에 반영됐으면 좋았을 텐데 그 당시 상황을 되짚어보면 부지의 실제 공사는 완료가 됐습니다.
  근데 그 이후에 행정절차를 진행해서, 예를 들어서 확정 측량을 한다든지 이런 행정절차를 진행해서 부지 등기를 해야 되는데 그것들이 다소 좀 불확실성이 있었습니다. 관계기관 협의라든지 행정절차들이 좀 불확실했고요.
  현재 진행을 해서 전체 준공이 어려운 상황에서 그 가속기 부지만 부분 준공한 후에 등기 이전하는 거로 정리가 돼서 상반기 중에 급히 예산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1회 추경에 반영하게 되었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이게 보니까 우리 도내에서 최대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데 그 부분에서 좀 이런 절차를 앞으로 놓치지 말고 행정절차를 잘해 가지고 차질 없이 방사광가속기가 진행될 수 있도록 거기에 만전을 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위원님 말씀대로, 염려해 주신 대로 주의해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착공은 언제부터, 차질 없이 하반기에는 착공이 가능한가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저희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하반기에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의영 위원   차질 없도록 잘 진행해 주세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유념하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이상 질의를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이의영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박경숙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박경숙 위원   박경숙 위원입니다.
  54쪽에 충북도민 대상 AI 리터러시 역량강화에 대해서 질의하겠습니다.
  과학인재국 1회 추경예산 중에 이 사업이 특별하게 눈에 띄는 이유는 매칭사업이 아닌 추경 편성분 중에 유독 조금 당위성이 부족해 보이지 않나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25년 당초예산 편성이나 주요업무계획 보고에도 없었는데 이렇게 이 사업이 갑자기 추경으로 편성된 시급성이나 이유가 있을까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현재 디지털 환경이 많이 변하면서 AI에 대한 중요성이나 생활에 밀접하게 접목되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을 했고요. 그래서 한시라도 주민들이나 아니면 도민들 여러분께 AI에 대한 교육이나 기본적인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그래서 2회 추경에 부족한 부분을 메꾸는 방식으로 최소한 비용으로 1억 5,000 요구하게 되었습니다.
박경숙 위원   지금 현재 진행 중인 AI 교육도 있지요?
  그런데 노인 대상으로 하는 AI 교육에는 AI 돌봄로봇 ‘생이’ 활용 교육이 지금 진행되고 있고요.
  이 교육과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기본, 그쪽에서 하는 거는 생활과 관계된 일이고요.
  저희는 일상생활을 벗어난 부분에 대해서 기본적인 AI 역량이라든지 기본적인 실습, 자기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좀 학습할 필요가 있지 않냐라는 판단을 했습니다.
  그래서 교육과정에서 기존에 있는 과정하고는 좀 차별화해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박경숙 위원   지금 사업량을 23회로 잡았는데 확대되는 대상 도민 수는 몇 명 정도 됩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회당 한 20에서 30명 정도 규모로 해서 이삼십 회 정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박경숙 위원   지금 보도된 언론에 따르면 연간 6만여 명의 교육 수혜 인원을 10만 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이렇게도 난 게 있어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거는 전체적인, 현재 진행하고 있는 교육이 학생, 소상공인, 아니면 전문가그룹, 일반도민을 대상으로 해서 한 6만 명 정도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이걸 보충을 해서 한 10만 명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박경숙 위원   무엇보다도 AI 기술이 실생활 또 경제생활 활동에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선순위 교육대상으로 삼아야 된다고 생각을 하는데, 국장님 생각은 어떠세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위원님 말씀에 공감을 하고요.
  약간 부연설명을 드리면, 저희가 계획을 수립할 때 계층을 나눴습니다. 그래서 학생 계층, 소상공인 계층, 전문가 계층 그리고 일반도민 대상으로 이렇게 나눴고요.
  학생 같은 경우에는 초·중·고등학생은 저희가 SW미래채움이라는 국비사업을 활용하고요, 대학생은 충북대와 청주대를 중심으로 해 가지고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을 하고 있고 소상공인 같은 경우에는, 전통시장 같은 경우에는 인평원에서 교육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노인이나 아니면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디지털배움터 이런 것들을 다양화하고 있는데, 그중에 저희가 좀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이 청년 창업인이나 소상공인들 부분하고 이거를 AI에 대한 인식을 갖고 주민들에게 확산할 수 있는 오피니언 리더들이라든지 전문가 그룹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겠다라고 해서 1억 5,000을 요구하게 됐습니다.
박경숙 위원   이게 도민들이 많이 요구한 사항도 있습니까? 이런 교육이 필요하다, 좀 해 달라는 이런 요구사항이 좀 있어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저희가 현재 말씀드린 것처럼 다양한 교육을 하고 있는데 여전히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계속 보충해 나갈 계획입니다.
박경숙 위원   그럼 조금 아까 국장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충대하고 청대를 AI 교육의 그래도 뭐랄까, 활성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중심대학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중심대학으로 하고, 또 아까 자료를 찾아보니까 충북도립대학교에도 운영비를 지원해서 생성형 AI 시스템 및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한다고 되어 있는데, 그럼 전체적인 대학에서 다 점점 확산돼서 좀 해야 되는 상황이기도 하겠네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증감사유를 1등 AI 활용 도 실현을 위한 예산 반영이라고 작성하셨어요.
  현재 제가 받은 자료에는 충북 내 시군의 인공지능 관련 교육 횟수밖에 나와 있지 않은데, 타 시도와 비교했을 때 이 사업까지 포함한 충북의 인공지능 교육 횟수는 대충 어느 정도 수준일까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정확한 자료를 지금 제가 갖고 있지 않은데, 저희가 디지털 쪽으로는 역량을 많이 집중하고 있고요.
  선도하고 있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다른 도에 뒤쳐…
박경숙 위원   앞으로 선도를 하겠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게 이끌어 나갈 생각입니다.
박경숙 위원   예예.
  본 위원이 이번 회기에 대표발의하는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에도 인공지능산업 관련 교육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공지능산업 대표 지자체로 도약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해 보이고요. 중요한 사업인 만큼 미리미리 검토해서 예산 편성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위원님 말씀 유념해서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박경숙 위원   네,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박경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유재목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재목 위원   국장님, 연일 수고가 많습니다.
  사업명세서 161쪽 중간, 설명서 18쪽입니다.
  58쪽, 58쪽! 18쪽이 아니라.
  충북도립대학교 운영비 지원 관련 질의드리겠습니다.
  예산이 보니까 금회 추경에 10억이 이렇게 올라왔습니다. 그렇죠?
  도립대 이사장님이 우리 도지사님이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도립대 지금 예산이, 기정예산이 111억 사천… 아니, 114억 9,900만 원 정도 되네요. 그렇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인건비는 몇 프로나, 인건비가…
  여기 인건비 속하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교수하고 교직원 인건비가 포함돼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몇 프로나 됩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그것까지는 파악을 못했는데 제가 알기로는 한 오륙십 억 정도 되는…
유재목 위원   64%랍니다.
  그러면 충북도립대학교에 우리 지사님이 하시는 그 스마트팜학과가 개설이 됐죠, 신설이?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이번에 모집을 해서 정원을 채웠습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이번에 저희 정원 400명 다 채웠습니다. 스마트팜학과 역시 다 정원을 확보했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스마트팜학과가 ’25학년도에 이렇게 새로 신설이 된다고 했으면 이 10억이라는 예산을 당초예산에 담아야지 이거를 추경에 담는 이유가 뭡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저희가 잘 아시겠지만 도립대를 스마트 특성화대학으로 전환하는 노력을 계속 ’24년도부터 해 왔고 현재도 부족하지만 AI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당초예산에 담았으면 좋았겠지만 재정상황을 고려해 가지고 안 됐고요, 1회 추경에 부득이 추가로 요구하게 되었습니다.
유재목 위원   국장님, 그러면 당초에 이걸 못 담았으면 1회 추경에 늦게나마…
  지금 새 학기 개강했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개강했으면 이거 너무 늦었다 생각 안 드세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지금 당초예산에 담았다 하더라도 구축하는 기간이 최소 8개월 정도 소요가 되거든요.
  그래서 올해 2학기 후반이나 아니면 내년도 신입생들부터 교육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올해 학생들은 어떻게 합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현재 있는 그 과정을 이수하면 아직 부족하지만, AI 교육은 여전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자, 오전에, 조금 전에 기술원 1차 추경예산을 다뤘어요.
  거기서도 스마트 종합관제센터를 만들겠다 그래요.
  충청북도에 바다가 없지만 호수가 757개가 있는 스마트 관련, 규제도 많고 강도 많으니까 이런 스마트팜을 역점사업으로 하시겠다라고 농업기술원에서도 말씀을 하셨어요.
  그러면 이거 지금 학교에서 올라온 예산이 10억이었습니까, 아니면 더 됐습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당초 요구는 17억 요구했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럼 절반만 해 주면 학교의 이 과가 운영이 되겠어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담당 도립대 관계자들하고 예산 협의를 하는 과정에서 최소로 한 10억 정도 확보하면 운영할 수 있겠다라는 판단을 했고요, 그래서 1차로 10억 정도 반영을 했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럼 앞으로도 더 예산이 들어가야겠네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운영과정에서 필요하면 더 충분히 확보할 예정입니다.
유재목 위원   기이 과에 올해도, 전원 100% 등록률도 됐다고 하니까 남부권에 규제도 많고 환경 관계도 많고 하니까 친환경농업 쪽으로도… 이번에 분원도, 영동군에 농업기술원 분원도 개청식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그쪽에 서버 구축이라든지 소프트웨어, 스마트팜 관련해서 부족함이 없이 학생들이 와서 공부도 하고 또 교수님들도 연구할 수 있게끔 충분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학교에서 올라온 예산은 우리 국장님께서 지켜 주셔야 되는 거 아니겠어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국장님?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부족하지만 더 노력하겠습니다.
  아무튼 그 학과가 전국으로, 진짜 스마트팜학과가 전국에서 다 모일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 주시는 데 일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다음 59쪽, RISE 사업체계에 관련해서 간단하게…
  이거 지금 진행이 어디까지 됐습니까? 합병됐습니까, 인평원하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인평원하고 합병은 다 완료가 됐고요. 현재 RISE 사업비가 확정돼서 공모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아! 중앙에서 예산도 다 내시가 돼서 확정이 됐습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예산도 다 내려왔어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한 가지 빼고는 전부 다 확정이 돼서 저희가 1,525억 원의 예산이 확정이 됐습니다.
유재목 위원   인센티브도 혹시 받으셨나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저희가 174억 원하고 한 204억 원 정도 확보했습니다.
유재목 위원   인센티브를?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어유, 이거 굉장한 성과네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동안…
유재목 위원   왜 언론에 한번, 축하한다고 언론에 한번 안 하세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언론에 많이 났습니다.
유재목 위원   났습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칭찬을 많이 받았습니다.
유재목 위원   저만 모르는 거예요?
  하여튼 뭐…
○위원장 김꽃임   났습니다.
유재목 위원   났어요?
  아유, 다시 한번 축하드리고요.
  인원 과정은 어떻게 됐어요, 인원 배정은?
  이 1,525억이라는 어마어마한 예산 이거 정부에서 1년에 2조씩 5년 동안 한다는 사업인데, 우리 충청북도 18개 대학에 1,525억이 충북에 떨어졌어요.
  그러면 이제 공모사업을 통해서 배정이 되겠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RISE센터에서 지금 인원이 합병이 되면서 13명밖에 안 되는데 이 어마어마한 예산을 13명이 수행 가능하겠어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현재는 공모 진행 단계여서 13명 가지고 운영이 된다고 판단하고 있고요.
  말씀해 주신 것처럼 걱정이 돼서 하반기에 공모가 완료된 후에 사업 관리나 집행에 필요한 인원들이 있으면 확대도 검토를 할 예정입니다.
유재목 위원   예, 지금 학령인구가 급감함으로 인해서 대학의 재정상황도 굉장히 열악하잖아요?
  그나마 우리 도립대학교는 도에서 예산이 배정이 돼서 내년에는 120억 예산이 잡혔네요. 그렇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이런 큰 성과를 내셔서 하여튼 이분들이 정상적으로 일을 할 수 있도록 우리 국장님, 각별히 관심을 가져 주시기 바랍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위원님 말씀 유념해서 추진하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위원장님, 이상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유재목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우리 유재목 위원님이 질의하신 거에 한 가지만 제가 더 추가로 질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인재평생진흥원은 리모델링 중인데 끝나면 언제 이전하실 계획입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현재 리모델링을 위한 설계를 진행하고 있고요, 그게 되면 7월 초에 이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러면 인평원이 7월 초에 이전하고 그러면 RISE센터도 7월 초에 이전하는 겁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같이 이전하기로 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예예.
  그러면 인평원 건물에 지금 문화재단이 온다고 여러 가지 언론에서 먼저 나오고 있는데 그거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인평원 건물이 지금 우리문고의 2층과 3층을 활용하기로 했는데 1층 공간하고 2층의 일부 공간이 여유가 있습니다.
  그래서 관계기관 협의하는 과정에서 “문화재단이 들어오는 것이 어떻겠느냐?”라고 협의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근데 우리 언론에서도 지적하는 것처럼 저희가 원래 계획대로 1·2층은 임대수익을 올리고 또 그래서 인평원의 여러 가지 재산 형성에도 도움이 되고 이런다고 발표를 했다가… 충북문화재단에서 그쪽으로 임대료를 내게 되면 그 도비가 어차피 우리 그 도비예요.
  그래서 지금 문화재단이 그쪽으로 옮기는 게 적절한지 그것도 다시 한번 따져주시고요.
  한 가지 더, 지금 우리 RISE센터가 얘기하신 것처럼 인센티브도 200억 넘게 받으셔서 굉장히 고생을 많이 하셨습니다.
  근데 오늘도 보니까 센터장님이 안 오셨는데 RISE센터장님 혹시 인사나 아니면 사직이나 뭐 이런 것이 지금 변동요인이 있습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개인적인 사정에 의해서 RISE센터장님께서 사의를 표명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러면 지금 사의를 표명하셨으면 임기는 남아 계신 거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새로운 센터장이 올 때까지는 근무하는 것으로…
○위원장 김꽃임   그러면 지금 개인적인 일정, 개인사로 사의를 표명했기 때문에 그거에 관해서는 더 이상 질의는 못 드리겠지만, 그러면 앞으로 어떻게 지금 추진하실 계획이십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4월 달부터 정식 공모 절차를 진행해서 한 5월 달까지 해서, 5월 초까지 해서 센터장을 공모에 의해서 임명할 계획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제가 여러 가지 우려가 되는 게 지금 저희가 인평원하고 그 밑의 소속으로 우리 RISE센터가 갔지만 사실 인평원 원장님의 역할은 1도 없다고 저는 보거든요.
  회계나 이런 체계도 지금 다 달리해야 되고요. 그리고 일단은 우리문고가 지금 리모델링 중이라서 거기에 들어가 있지도 않고 자체적으로 RISE센터가 운영 중인데 여기에 또 센터장님까지 새로 저희가 공모까지 절차를 밟으면서 다시 또 선임해야 되고, 좀 많은 우려가 됩니다.
  그래서 일단 지금까지 굉장히 노력하셨거든요, 우리 RISE센터장님이. 그래서 이렇게 인센티브도 많이 확보해 주시고 많은 체계를 잡아놓으시고 고생을 많이 하셨는데, 추가로 또 인원도 해야 되고 여러 가지 지금 복잡한 상황이 있는데 좀 우려스럽습니다.
  우리 과학인재국장님이 적극적으로 같이 의논하시고 하셔 갖고 이 사업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위원장님 말씀대로 공백 없이, 센터장도 공백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알겠습니다.
  우리 이종갑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이종갑 위원   이종갑 위원입니다.
  57쪽, 충북학사 청주관 신축이전 건축기획 용역과 관련해서 질의드리겠습니다.
  오늘 충북학사 청주관 신축이전과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서를 받아봤습니다.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서를 제가 쭉 보니까 이전의 필요성, 적절성 이런 건 충분히 공감할 수 있겠고요.
  근데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의 이 예산은 어디서 하신 거예요? 이거는 저희가 예산 승인을 해 준 적은 없는 것 같은데 어떻게 한 거예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그 예산은 정책기획관실에 정책용역비가 풀예산이 있습니다.
이종갑 위원   풀예산에서?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거기서 심의회를 통해서 배정을 받아서 추진을…
이종갑 위원   배정을 받아 가지고 이거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이 지금 진행 중인 거죠, 그럼?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습니다.
이종갑 위원   아직 완성은 안 된 거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3월 말까지 진행할 예정이고요. 최종 보고회 때는 위원님들 모시고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종갑 위원   보니까 이전의 필요성은 이게 ’98년도에 준공이 됐다 보니까 건물이 노후됐고 개인 화장실도 없고 공동 화장실로 쓰고 교통도 불편하고.
  또 중요한 게 보니까 이거는 청주관은 학생 1인당 사용면적이 7.68, 서서울관은 14.6, 동서울관은 15.1, 동서울관에 비하면 반도 안 되는 거예요. 굉장히 열악한 거죠.
  당연히 이것은 이전을 하든지 리모델링을 하든지 둘 중의 하나는 해야 될 것 같은데, 우리는 이전하는 걸로 계획을 세워서 기본계획 수립도 하는 거고 이번 추경에 건축기획 용역비를 세운 것 같아요. 그렇죠?
  이 절차를 보니까 기본계획 수립은 이달 말에 완료가 되는 거고, 그럼 저희가 이번에 건축기획 용역비를 해 주면 여기에서 공공건축 사업계획 검토하고 공공건축심의위원회 심의도 해야 되고 또 여기 건축기획 용역에서 그러면 설계지침서 뭐 이런 것도 나올 테고, 그러고 나서 이게 절차 끝나면 공유재산 심의도 해야 되고 또 지방재정투융자 심사도 받아야 될 것 같고, 이런 절차를 하기 위해서 건축기획 용역을 이번에 하는 것 같아요. 그렇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예, 위원님 말씀이 맞습니다.
이종갑 위원   그러면 이거에 공감하고 필요성은 인정하는데… 이게 사실은 ’23년도인가요, 우리 안지윤 의원님이 5분자유발언 했던 게?
  이게 열악하니까 뭘 해야 된다는 이런 5분자유발언을 했던 것 같고 또 그게 아니라도 이런 필요성은 인정이 됐을 것 같은데, 좀 아쉬운 것은 그럼 이게 작년도부터 급하게 풀예산으로 받아서 지금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하고 있는데…
  근데 이게 사실은 충북학사가 업무보고는 정책복지에서 하고 예산은 저희 산경위에서 하고 그러다 보니까 명확히 구분이 안 돼 있어서 그런지 의회에 보고가 좀 소홀했다.
  이건 인정하시나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예, 위원님 말씀대로 잘 진행이 됐으면 더 좋았을 텐데요. 말씀해 주신 대로 그런 이원화된 문제도 있었고요.
  정식 1월 달 임시회 기간에는 말씀을 못 드렸고 그거 끝나고 오찬 장소에서 말씀을 한번 드려서 진행한다고 양해를 구한 적은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정식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이종갑 위원   예, 앞으로는 보고를 좀 미리미리 이렇게 해서, 그래야지 사업이 또 원활하게 추진될 거 아니에요?
  부지의 적정성을 보니까 1·2·3부지를 해서 여러 가지 검토를 해서 1부지가 지금 충북문화관 있는 거기입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예, 그렇습니다.
이종갑 위원   부지의 적정성은 거기로 된 것 같고, 그런데 기본계획 수립을 보면 지금은 248실인데 신축 이전하는 건 140실로 계획이 돼 있는 것 같아요.
  그럼 여기 용역을 보면 학령인구가 감소돼서 줄이는 거로 이렇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학령인구가 주는 거는 여기 중간 용역에 보면 ’58년도에 학령인구가 약 45% 정도 감소해서 이렇게 줄어든다 그랬는데 ’58년은 아직 30년이나 남은 겁니다.
  그러면 이렇게 갑자기 248실에서 140실로 줄이면 수요에, 이게 갑자기 이렇게 반 이상 줄어들면 또 시설은 좋게 해 놓으면 경쟁률이 치열해질 것 같아요. 그래서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실 건지?
  학령인구가 주는 거는 당연히 공감합니다. 근데 이 140실이라는 것은 ’58년도란 말이에요, 이 용역을 보면, 용역 치를 제가 보니까.
  그러면 지금 당장은 아닌데 이렇게 갑자기 줄어들면 이거는 어떻게 해소할 방법이 있어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큰 틀에서 학령인구가 준다는 그런 취지고요.
  현재의 현실을 보면 248명이 들어갈 수 있는 방이 있는데 재사생이 227명입니다. 그중에…
이종갑 위원   현재는, 예예.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청주권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97명이라서 지금 42.7%거든요.
  그래서 사실은 이 학사라는 게 청주권의 학생보다는 청주·비청주권의 시군에서 원거리로 진학하는 학생들을 위한 건데…
이종갑 위원   그렇죠.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그거를 제외하고 나면 한 100명 정도 규모가 맞지 않겠느냐라는 용역 결과고요.
  그리고 그거에서 현재는 140명이 확정은 아니고 100에서 140명 정도 수준이면 적정한 거 아니냐고 진행을 하고 있고요. 최종 결론에서 규모가 나오면 그때 판단할 예정입니다.
이종갑 위원   이렇게 되면 이제 청주권 학생들이 들어오기는 좀 어려워지겠네. 우선 비청주권이 우선권이 있을 거 아니에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그렇습니다.
이종갑 위원   경쟁이 치열할, 만약에 수요가 오버된다 그랬을 때는 비청주권이 우선권이 있을 거 아닙니까?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시군별로 인구 비례에 의해서 할당되는 퍼센티지가 있고요, 청주권도 한 5% 정도 됩니다.
  그러니까 청주시내가 아닌 외곽지역에서 진학하는 학생들을 위해서 5% 자리가 있습니다.
이종갑 위원   하여튼 제가 이거 용역 결과를 보고 이전을 하는 게 맞겠다 이런 생각을 하고요.
  또 이쪽으로 오면 원도심 활성화에도 좀 도움이 되겠다라는 이런 것도 있는데 하여튼 이걸 추진하면서 의회하고 좀 긴밀히 협의를 해 주시고 정말 우리 충청북도의 학생들을 위해서 좋은 환경에서, 또 여기 충북학사에 있는 학생들은 그래도 졸업하고 나서 우리 도에 기여하는 비율이 서울권에 있는 것보다는 더 많을 것 같고 그래서 잘 좀 추진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위원님 말씀 각별히 유념해서 추진하겠습니다.
이종갑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이종갑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면 방금 우리 존경하는 이종갑 위원님이 질의하신 거에 추가로 제가 질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충북학사 청주관 신축이전에 관련돼서 용역을 지금 중간보고까지 했잖아요.
  용역 보고회 때 우리 정책복지위원님이시든 어떤 우리 의원님이 혹시 참석은 하셨을까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의원님들은 중간보고회 때는 참석하지 않으셨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착수보고회 때는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착수보고회는 별도로 하지 않았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혹시 그러면 저희 산경에서만 모르고 있었을까요?
  아니면 정책복지위원회에서는 풀사업비로 용역을 진행 중인 거를 혹시 알고 계셨을까요? 보고는 하셨나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중간에 저희 진행상황은 보고는 드렸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아니 그러니까 풀사업비로 이 청주관 신축이전에 관한 타당성 용역을 한다고 우리 정책복지위원님들한테는 보고를 하셨을까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배정받은 이후에 보고를 드렸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러니까요. 저는 우리 집행부가 지금 여러 가지 사업들을 하실 때 의회의 의견은 무시하고 먼저 행정절차를 밟고 통보하듯이 한다는 거에 대해서 굉장히 심히 우려스럽고요.
  사전에 충분히 의회하고 의견을 좀 검토도 하고 의견을 나눠서 이렇게 됐다고 얘기를 해 주시고 하셔야 되는데 저희 도의회의 의견은 거의 반영이 안 되고 있습니다.
  이거는 사실 우리 도의원이 가 보고 지난 정복위에서 상임위 위원님이 5분발언도 한 내용이고, 그러면 추경이든 본예산이든 지적하신 것처럼 예산을 세워서 타당성 용역을 하시든지, 지금 풀사업비로 용역을 하시면서도 우리 도의회는 몰랐다는 거죠.
  그래서 앞으로도 추후에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 주시고요.
  또 한 가지는 제가 정책복지위원장님하고도 의견을 나눴습니다, 이 사업에 관해서. 근데 지금 여러 가지로 청주관 신축에 대해서는 공감을 하시지만 이전 관련돼서는 여러 가지 우려를 표하고 계십니다.
  그래서 저희가 일단 지금 정복위하고도 조금 더 상의를 해야 되겠지만, 그래서 이 건축기획 용역비도 의견을 조금 들어서 저희 위원님들하고 또 의견을 나눠서 지금 심의를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우리 국장님 뭐 하실 얘기 있으실까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위원장님 말씀대로 앞으로는 더 추진하는 데 사전에 협의하고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네, 그리고 한 가지만 더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관련된 법률안이 통과가 돼서 청주의 지역구 의원님들이 고생을 많이 하셨다라는 말씀을 드리고요.
  근데 일단 본회의에서 수정으로 가결됐습니다. 저희가 추진하던 특별법에서 특별법이 안 되고 그냥 대형가속기법으로 지금 본회의 통과가 됐고요.
  그래서 특별법이 안 되면서 우리가 지원이나 아니면 여러 가지 조항 중에서 하려고 했다가 지금 혹시 영향이 있거나 이런 사항이 있으실까요?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우리 담당과장님이 좀 설명을…
○위원장 김꽃임   네, 과장님 말씀해 주시죠.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입니다.
  특별법이 일반법에 우선한다는 말은 있는데 그 법의 내용상 특별하게 일반법에 우선할 사항이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그래 가지고 국회에서 특별법 제명을 일반법으로 바꿨고요.
  그리고 기존에 저희들이 반영하고자 했던 내용들은 다 들어갔기 때문에 그렇게 크게 저촉되는 법은 별로 없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런데 제가 지금 수정안에 대해서 보니까, 일단 국가가 해야 되는 조항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으로 지금 하향이 됐어요.
  그러니까 이런 부분에서도 조금 아쉬움은 있지만 일단 저희가 대형가속기 구축 관련된 이 법이 통과되면서 6개월 뒤에 시행을 하는데 그럼으로써 저희가 공유지나 여러 가지를 지금 임대를, 장기임대를 할 수 있는 거죠?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   예, 그럼요.
○위원장 김꽃임   그거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   예, 50년으로 할 수 있습니다, 6개월 후에는.
○위원장 김꽃임   그러면…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   다만 저희가 지금 걱정을 하고 있는 것은 6개월 후에, 지금 정상적으로 추진이 된다 그러면 착공이 그때 되거든요.
  착공 전에 과기부로 저희들이 무상양여를 해야 되는데 그 시점하고 이거 시행되는 시점하고 조금 달라질 경우에는 우선 산업집적법에 의해서 10년 주었다가 나중에 50년으로 갱신해야 되는 그런 우려는 가지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알겠습니다.
  그럼 법 시행 전에 착오에 대해서 충분히 검토를 하셔서 50년 임대를 받아서 안정적으로 대형가속기가 구축이 돼서 운영이 돼야 되는 거고요.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   그럼요!
○위원장 김꽃임   또 관련된 여러 가지 근거법이 일단은 제정이 됐기 때문에 저희가 가속기 관련돼서 사업을 앞으로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라고는 생각하는데 그때 산경위에서, 우리 존경하는 이의영 의원님께서도 5분발언을 통해서 저희가 선진지 견학 갔다 온 대만의 경우 얘기도 하고 이랬기 때문에, 이제는 본격적으로 대형 가속기 구축과 관련된 여러 가지 시너지나 여러 가지 콘텐츠나 이런 주변효과를 더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업들을 또 추진해야 되거든요.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   예, 그렇죠.
○위원장 김꽃임   지금 보면 경북인가 경남인가 거기서 지금 은퇴자들 마을을, 과학 은퇴자들 마을을 조성한다고 해요.
  인재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우리는 지금 이거 구축하는 데에만 올인을 하고 있거든요.
  이거에 대한 대책이나 대응 어떻게 하시려고 하십니까?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   예, 그래서 작년에 생태계라 그래 가지고 가속기를 기반해서 그 지역을 어떻게 할 건지, 그리고 이게 꼭 청주권만 영향을 받으면 안 되기 때문에 북부권과 남부권까지 어떻게 이것을 연결을 지을 건지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간략하게 생태계 연구를 해 놨고요.
  지금은 저희가 어떤 거점지역, 중심지역, 가속기를 두고서 바로 인접한 광범위한 공간을 어떻게 여기를 조성해야지 기업들이 들어오고 정주여건이 형성되고 학생들이 있고 학교가 세워질까 이런 것들을 지금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이 어느 정도 정리가 되면 다음에 한번 보고를 드리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예, 고민만 해서는 이제 안 되는 거고요. 저희가 실기를 하면 안 되니까요.
  지금 해서 구축 운영계획이 ’29년도인가요?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   예, ’29년도까지 구축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시범운영하는 거는요?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   아마 ’30년도 상반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위원장 김꽃임   알겠습니다.
  그래서 예산도 편성하고 해서 저희가 예전에 민선 8기 말고 7기 때 구축해 놓은 여러 가지 생태계 조성 관련된 사업들도 많습니다.
  거기에 보완하고 그래서 중점적으로 해야 될 부분들은 지금부터 시작해서 의논하고 숙의해서 저희가 정책을 수립해서 진행해야 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고요, 어느 정도 윤곽이 되면 저희 산경위에 보고도 부탁드리겠습니다.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 전도성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과학인재국 소관 예산안에 대한 질의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조례안을 상정하도록 하겠습니다.

6.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박경숙 의원 등 7인 발의)
(12시21분)

○위원장 김꽃임   의사일정 제6항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을 상정합니다.
  대표발의하신 박경숙 의원님께서는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경숙 의원   박경숙 의원입니다.
  본 의원이 대표발의한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조례안은 빠르게 재편되는 미래산업 구조에서 충청북도가 선도적인 입지를 점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산업의 지원 근거를 마련하고자 발의하였습니다.
  이에 충청북도의 인공지능산업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 및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등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려는 것입니다.
  조례안의 주요내용은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조례안 제정으로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발전뿐만 아니라 기존 산업의 고도화 등 지역경제 활성화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은 부록에 실음)
○위원장 김꽃임   박경숙 의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김수인 국장께서는 본 조례의 시행과 관련하여 문제점이나 특별한 의견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먼저 조례안을 대표발의해 주신 박경숙 의원님께 감사드리고요.
  제정조례안에 대해서는 특별한 의견이 없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조례안에 대하여 별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질의 답변을 마치고 의결토록 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6항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에 대하여 원안대로 의결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7.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및 데이터산업 육성·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이의영 의원 등 7인 발의)
(12시23분)

○위원장 김꽃임   의사일정 제7항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및 데이터산업 육성·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상정합니다.
  대표발의하신 이의영 의원님께서는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의영 의원   이의영 의원입니다.
  본 의원이 대표발의한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및 데이터산업 육성·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기존의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및 데이터산업 육성·지원 조례는 타 시도와 달리 인공지능산업 관련 규정과 데이터산업 관련 규정이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이에 본 전부개정조례안을 통해 충청북도 데이터산업을 지역 미래성장동력으로 삼을 수 있도록 데이터기반 혁신을 위한 규정을 정비하려는 것입니다.
  조례안의 주요내용은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조례안 제정으로 충청북도 데이터경제 활성화와 다양한 지원책 추진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및 데이터산업 육성·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은 부록에 실음)
○위원장 김꽃임   이의영 의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및 데이터산업 육성·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김수인 국장께서는 본 조례의 시행과 관련하여 문제점이나 특별한 의견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과학인재국장 김수인   과학인재국장 김수인입니다.
  조례안을 대표발의해 주신 이의영 의원님께 감사드립니다.
  개정조례안에 대한 특별한 의견은 없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조례안에 대하여 별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질의 답변을 마치고 의결토록 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7항 충청북도 인공지능산업 및 데이터산업 육성·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원안대로 의결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김수인 국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
  자료 준비와 성실한 답변을 위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투자유치국 소관에 대한 예산안 심사 준비와 오찬을 위하여 정회한 다음 14시에 속개토록 하겠습니다.
  정회를 선포합니다.
(12시25분 회의중지)

(14시00분 계속개의)

○위원장 김꽃임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회의를 속개합니다.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라. 투자유치국
2.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가. 투자유치국
○위원장 김꽃임   계속해서 투자유치국 소관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과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을 일괄하여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석구 국장께서는 발언대로 나오셔서 두 안건에 대하여 일괄해서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투자유치국장 문석구입니다.
  금년도 첫 번째 추가경정예산안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세입예산은 총 515억 8,341만 원입니다.
  기정예산액 459억 328만 원 대비 12.4% 증가한 56억 8,012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세출예산은 1,035억 2,302만 원입니다.
  기정예산액 대비…(기침), 죄송합니다.
  기정예산액 대비 8.3% 증가한 78억 9,925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지방투자기업 보조금 지원 57억 2,005만 원, 도내 투자기업 보조금 지원 7억 351만 원, 청주오스코 운영 등 14억 8,435만 원입니다.
  다음은 투자진흥기금 운용계획 변경안입니다.
  지출계획은 보은산단 내에 도유지가 있는데 이곳에 3개 기업이 현재 투자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공유재산 매각을 위한 감정평가수수료 500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습니다.
  존경하는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들!
  항상 저희 투자국 업무에 많은 관심과 또 애정 가져 주심에 감사의 말씀을 드리면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 투자유치국 소관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투자유치국 소관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 답변에 앞서 자료를 요구하실 위원님 있으면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를 요구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 답변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박경숙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박경숙 위원   박경숙 위원입니다.
  조금 전에 보고사항에서 말씀하신 보은산단 내 공유재산 매각 건에 대해서 좀 간단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방금도 말씀드렸듯이 보은산단 내에 도유지가 있는데 현재…
박경숙 위원   한 4,000평 정도라 그랬나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박경숙 위원   평수가, 평수가?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4,000평입니다.
박경숙 위원   그렇죠, 4,000평?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4,000평인데 현재 3개 기업이 투자를 물색 중에 있는데, 거기에 매각을 하기 위해서는 가격이 나와야 되잖아요?
박경숙 위원   예예.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그래서 감정평가를 2인 해야 되는데…
박경숙 위원   그렇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250만 원 곱하기 2 해서 500만 원을 계상하게 되었습니다.
박경숙 위원   아!
  그러게, 이게 지금 보면 임대를 했으면 좋겠다는 기업도 있었고요, 그런데 어차피 임대를 주는 건 아니었죠, 원래? 그렇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박경숙 위원   그럼 이게 언제 결정이 나는 건가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이게 한 삼사… 감정평가 기간이 삼사 월 중에…
박경숙 위원   삼사 월 중에 결정이 되면?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실시할 예정입니다.
박경숙 위원   가격만 결정되면 바로 세 곳 중에 선정을 해서 매각이 되는 건가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좀 더… 공개경쟁입찰을 하게 되는데, 거기서 최종 결정을 하게 되고요.
  현재 3개 사도 최종 확정한 건 아니고 검토 중에 있기 때문에 저희 감정평가수수료가 나오면… 하면 거기에 감정평가액이 나오잖아요? 그걸 또 참고를 해서 결정하는 데 참고를 할 것 같습니다.
박경숙 위원   예, 잘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박경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유재목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재목 위원   국장님, 하나만 하고 가겠습니다.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유재목 위원   설명서 71쪽 보면 지방투자기업 보조금 지원 관련 질의드리겠습니다.
  총사업비 지원 관련해서 국비 매칭이 되는 거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투자유치국장입니다.
  균형발전특별회계 국비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균형발전 상위지역·중위지역·하위지역은 어느 근거로 해서 이 지역을 구분합니까?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이거는 산업통상자원부 고시에 지원 기준이 나오는데 지역발전 정도, 특성을 반영해서 산업부에서 심사를 해서 상위·중위·하위지역을 정하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지금 충청북도의 저발전지역이 어디라고 생각하세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그 기준, 기준을 딱히… 경제적인 부분, 투자 부분 이런 거를 기준으로 해서 말씀드리면 주로 보은·옥천·영동·제천·단양 이렇게 되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럼 제천·옥천은 저발전지역이 아닙니까?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제천·옥천도 역시 포함되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21%와 15%와의 차이는 굉장한 차이지 않아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유재목 위원   이거 어떻게 유권해석을 제가 해야 될까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이게 하여튼…
유재목 위원   우리 11개 시군을 도에서 평가하기를 저발전지역은 7개 시군으로 이렇게 구분을 해 주는데 우리 투자유치국에서는 따로 상·중·하로 또 이렇게 나누네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상·중·하는 국비 지원의 45%, 65%, 75% 균특 비용을 정하면서 산업부에서 정한 겁니다.
  그리고 저희 같은 경우에는 중위·하위, 그러니까 중위지역에 일부 제천·옥천하고 그다음에 하위지역에 보은·영동·괴산·단양을 저발전지역으로 특별히 지정한 이유는 투자금액이 예를 들어서 제천·옥천·증평의 경우 500억 이상이 넘거나 보은·영동·괴산·단양이 300억 이상 넘는 MOU를 체결하면 10%를 도에서 더 부담해 주고 그 시군은 10%를 덜 부담하게, 부담을 덜어줍니다.
  그런 차원에서 7개 지역을 별도로 정한 겁니다.
유재목 위원   국장님, 어쨌든 도에서 인정하는 저발전지역 일곱 군데가, 지금 도에서는 일곱 군데의 제천·옥천을 중간으로 이렇게 두고 있잖아요. 그렇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유재목 위원   그러면 우리 도에서는 그렇게 인식을 해서 저발전지역이라고 저발전지역 균형발전 사업비가 또 따로 재원이 지원돼요. 그렇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저발전지역 7개 지원에 대해서 별도로 균특이 나오는 건 아니고요, 상위·중위·하위 산자부에서 정한 그 기준에 따라서 균특이 나오는 거고.
  7개를 정한 이유는 방금 말씀드렸듯이 일정 투자액이 좀 클 때는 10%를 더 지원해 준다는 의미로 해서, 그러니까 균형발전 중위지역의 제천·옥천과 균형발전 하위지역의 보은·영동·괴산·단양을 7개로 별도로 나눈 겁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이 나눈 의미는 없다는 얘기예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방금 말씀드렸듯이…
유재목 위원   매칭 비율이 분명히 차이가, 국비가 65%, 75%로 10%가 차이 나는데.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그중에서 도비하고 시군비만 7개 지역으로 나눴을 때, 나눠서 추가적으로 지원해 주기 위해서 나눈 겁니다.
  그러니까 균특은 정해져 있고 도비와 시군비 분담 비율을 조정하는 겁니다.
유재목 위원   자, 도비하고 시군비하고 비율이 벌써 14%하고 21%, 10%하고 15%, 차이가 엄연히 나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유재목 위원   그럼 산자부에서 저발전지역으로 지정하는 거는 별도의 어떤 값이 따로 있고 도에서 지정하는 값이 또 따로 있습니까?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그렇습니다.
  하여튼 산자부에서 정하는 균형발전 상위·중위·하위 할 때는 균특 비율을 정하기 위해서 45%, 65%, 75% 그렇게 정해 놓고 나머지를 도비와 시군비로 나누는데 도비·시군비 나눌 때 기본적으로 균형발전 상위·중위·하위로 하되 7개 지역은, 그러니까 중위의 제천·옥천, 하위의 보은·영동·괴산·단양은 일정 투자금액이 클 경우에는…
유재목 위원   크지 않을 경우에는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이 기준으로 나갑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국장님 생각에 제천·옥천의 이 비율이 저발전지역 하위권으로 해 주는 게 예산의 혜택을 더 받겠어요, 아니면 중위권으로 받는 게 혜택이 더 낫겠어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그거는 똑같습니다.
  왜냐하면 중위나 하위나 도·시군비는 4 대 6이거든요. 근데 일정 투자금액이 클 경우에는 5 대 5가 됩니다.
유재목 위원   5 대 5?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유재목 위원   그럼 별 의미 없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의미가 없습니다.
  똑같이 4 대 6에서 투자금액이 일정 금액을 오버할 때, 클 때는 5 대 5가 되기 때문에 굳이 하위로 나누지 않아도 비율은 똑같아집니다.
유재목 위원   자, 국장님 그러면 계수상은 뭐 거의 같다라고 이렇게 제가 이해를 해도 되겠습니까?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우리 투자유치국에서 이번에, 올해 벌써 3월 1/4분기가 지나가고 있어요. 그렇죠?
  그러면 정부 투자기관이라든가 투자할 수 있는 유치기관들이 지금 충청북도로, 11개 시군으로 오겠다는 선호지가 어디라고 생각하세요, 그분들이?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현재까지…
유재목 위원   선호하는 지역이 있을 거 아닙니까, 11개 지역에서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근데 금년에는 불과 두 달 반 정도 됐는데 아직까지 확정된 건 12개 업체인데 대체로 청주 인근이 좀 있고요. 그다음에 청주·충주·증평·진천·음성인데, 현재까지 12개 업체가.
  그리고 의향이나 물색 중인, 검토 중인 곳은 저희 여러 다른 시군까지 좀 확대되고 있습니다.
  근데 아직 확정은 안 됐고요. 확정된 데는 청주·충주·증평·진천·음성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거 보셔요, 제가 작년에 행정사무감사 때 지적했잖아요.
  12개의 지방투자기업이 선호하는 지역이 우리 혁신도시 진천·음성 맞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유재목 위원   아니면 청주권.
  동남 4군, 제천·단양 그쪽으로는 선호 일절 안 하잖아요. 그게 무슨 균형발전입니까?
  그분들한테 뭔가 더 인센티브를 줘서라도 그쪽 저발전지역으로 유치할 수 있도록 국장님이 더 많이 노력을 하셔야지.
  그분들이 선택을 물론 하겠지만 그분들이 저발전지역도 선택할 수 있는 정주여건을 갖춰 주셔야 됩니다.
  12개의 지방투자유치를 한다는 그 회사에서 결국은 또 혁신도시나 청주권으로 몰리는 거 아니에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투자유치국장입니다.
  간단히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그때 지난 1월 달 주요업무 보고 때 저도 말씀을 강조해서 드렸듯이 지금 투자유치를 검토하고 있는, 그래서 저희들한테 문의가 들어오는 또 저희들이 찾아다니는 기업들도 있는데 우선적으로 서북 라인 외에도 동북 라인, 그러니까 단양·제천·괴산·보은·옥천·영동 이런 데에도 산업단지가 있고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런 데도 같이 검토를 해 보자 하고 얘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그리고 작년에 기회발전특구가 지정이 됐을 때 보은·제천이 됐지 않습니까? 그래서 올해에도 또 다른 지역까지 지금 수요조사 중에 있는데 기회발전특구 외에도 또 지역활성화 투자펀드 사업이라든지 여러 가지,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일정 투자금액 이상인 경우에는 저발전지역도 플러스 10%를 가산해서 지원해 주는 것도 있고요.
  그리고 저발전지역 시군 투자 담당부서하고도 저희들하고 긴밀히 협력을 해서 하여튼 그쪽으로 많이 유치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자, 국장님, 협력 머리 맞대고 매번 하면 뭐 합니까?
  이런저런 정주여건이 갖춰지지 않고 지역에 예산 배분이 덜 가면 그분들이 투자하는 거의 10%, 이런저런 규제로 그분들이 와봐야 그 규제로 인한 어떤 분담금이 더 많이 늘어나는 건데 그런 부분을 해소해 주시든가, 투자유치국에서. 그렇죠?
  그래야 지방으로 유치되는 게 그분들이 선택해서 가는 건데 조건이 까다로우면, 입주할 때 약간의 어떤 인센티브만 받고 그분들이 사업가인데 그거 계산 안 하겠어요?
  매번 균형 발전하시겠다 지사께서 말씀을 주셔요.
  요새 지사님 11개 시군 순방하시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유재목 위원   고른 발전하시겠다고 제천에 와서도 하시고 영동에서도 하시고 지역 가면 고른 발전하시겠다고 늘 말씀하십니다.
  근데 결정적으로 주무부서에서는 자료만 매번 뭐 이렇게 하시겠다고 해 놓고 12개 투자 유치하는 곳 받아봤더니 결국 혁신도시 진천·음성, 청주권, 다른 데 권역으로 일절 안 가잖아요.
  하여튼 결과물은 행정사무감사 때 국장님 또 뵙겠습니다.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네, 추가적으로 한 말씀만 더 드리고…(웃음)
  위원님 말씀하시는 거 충분히 공감이 되고요. 저도 투자유치국장으로 왔을 때, 오기 전서부터 예전서부터도 남부지역이나 북부지역, 괴산 이런 데 투자를 좀 많이 했으면 하는 그런 바람이 있었고 또 안타까웠는데…
  일단은 업체들이 수도권과 가까운 곳 또 경부선·중부선 라인, 물류비용 때문에도 그렇고요. 또 원자재 수급 문제도 그렇고 여러 가지 문제들 때문에 그렇게 그런 쪽으로 주로 많이 왔는데, 그래서 저희들 투자유치국에서도 지원되는 것만이 문제가 아니고 그거 플러스 하여튼 저발전지역으로 기업들이 유치될 수 있도록 계속 설득 작업도 하고 그 지역과 특색에 맞는 것들을 또 매칭도 시켜 주고 있고 여러 가지 고민들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하여튼 1개 기업체라도 더 유치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이미 시작을 했고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국장님, 저기 행정사무감사 때 제가 말씀을 한번 드렸어요.
  우리 100대 기업을 충청북도에도 한두 개는 더 유치해야 된다 말씀드렸죠?
  그거 결과물 올해는 성과를 받아볼 수 있겠습니까?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확답은 못 드리지만 하여튼 업체들과 계속 접촉해 나가고 투자 의향이 있는 업체들을 데려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예, 국장님, 그 100대 기업이 아니라도 1,000대 기업이라도 그분들이 충청북도 11개 시군에 고른 배치가 되려면 기본적인 정주여건을 갖춰야 돼요.
  병원도 있어야 되고 또 어떤 문화시설도 있어야 되고 학군도 좀 갖춰졌을 때 그분들이 찾아오는 거지, 그런 거 기반시설이 아무것도 안 갖춰져 있는데 그분들 무조건 내려오라고 그러면 국장님 같으면 오시겠어요?
  안 오거든요. 기초시설부터 갖추고서 한번 그분들을 유치하는 방법도…
  지사님한테 한번 건의는 해 보셨어요? 기초시설을 갖춰야 그분들이 온다!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그거는 별도로 말씀은 안 드렸지만 지사님도 충분히…
유재목 위원   알고 계시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인지하고 계십니다.
유재목 위원   하여튼 뭐…
  행감이 언제 있습니까, 위원장님?
○위원장 김꽃임   11월 달에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11월 달에 뵙겠습니다.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유재목 위원   위원장님, 이상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유재목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이종갑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종갑 위원   이종갑 위원입니다.
  추경에 투자유치국은 거의 예산이 편성된 게 없어서 예산과 관련해서 질의할 게 크게 없는 것 같아요.
  지금 우리 존경하는 유재목 위원님이 질의한 지방투자기업 보조금과 관련해서 이번에 추경 편성이 3개 사 신규 신청, 이건 어디예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이 업체가 청주의 바이넥스, 진천의 동원F&B, 진천의 CJ제일제당 그리고 2차 보조금 교부가 또 1건 있는데 충주의 이연제약이라는 곳입니다.
이종갑 위원   이연제약?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이종갑 위원   이연제약은 확장 아니에요, 그럼? 이연제약은 그전부터 있던 데 같은데. 증설인가?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정산…
이종갑 위원   아, 정산분!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정산.
이종갑 위원   정산분! 이연제약은 그전에 있던 회사인 것 같아요.
  조금 전의 국장님 답변에, 기회발전특구를 하반기에 그 잔여분에 대해서 더 신청을 하시나요, 우리 충북도가?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네, 그러니까 지금 수요 조사하고 있고요, 각 시군과 협의 중에 있습니다.
  그래서 사업이 정해져야 되는데 아직 미정이라, 올해 상반기 중에는 수요조사가 마무리돼서 신청할 예정입니다.
이종갑 위원   아직도 수요조사 마무리가 안 됐어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그러니까 러프하게 대략적으로는 나온 데가 있고요, 아직 검토 단계에 있는 시군도 있고요.
이종갑 위원   왜냐하면 이게 신청이 얼마 안 남았을 것 같은데, 이게 신청 시기가.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그 시기…
이종갑 위원   그럼 수요조사 끝나고 준비하는… 이게 준비는 지금 TP에서 해요, 중점적으로 기회발전특구의 업무를?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종합적인 계획 마련을 TP에서 하고 있습니다.
이종갑 위원   TP에서 하고 있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이종갑 위원   그럼 우리 투자유치국하고 협조하면서 하는 거예요? 아니면 그냥 전체적으로 TP에서…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저희들이 중앙부처하고 연계돼서 내용을 총괄하고요. 실무계획서 작성을 TP에서 하고 있습니다.
이종갑 위원   TP에서 하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저희도 또 컨트롤을 다 하고 있고요.
이종갑 위원   컨트롤을 하고요.
  지난해에 투자유치와 관련해서 포상금 지급하는 게 만들어… 그 조례에 따라 포상금 지급이 나간 게 있어요, 우리 도?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없습니다.
이종갑 위원   없어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이종갑 위원   신청한 것도 하나도 없고, 아니면 뭐… 신청자도 없어요, 아직?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없습니다.
이종갑 위원   그거 투자유치가 잘 안 되는 거예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요건이 맞는 사항이 없어서, 그 요건은 제가 지금 인지를 못하고 있는데 어떤 요건이 맞아야 되는데 그 요건에 맞는 게 없었나 봅니다.
이종갑 위원   포상금 지급 시기, 시점, 그건 어떨 때 하는 거예요?
  기업을 유치했다 그러면 착공 시점 아니면 MOU… MOU 가지고는 안 되겠지?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예, 착공 시점입니다.
이종갑 위원   착공 시점으로 봅니까?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이종갑 위원   그럼 착공 시점으로 봐서 신청이 있을 때 심사에 통과가 되면 포상금을 지급한다, 그 지급 기준은 착공 시점으로 본다!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이종갑 위원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이종갑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면 제가 두 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 존경하는 유재목 위원님이 질의하신 투자유치 보조금 있죠?
  지금 제가 와서 도정질문을 통해 갖고 인구감소지역에 4 대 6으로 그걸 구분해 놓은 거예요.
  그래서 비율을 10% 올린 거고, 그러고 나서 지금 추가적으로 제천·옥천·증평은 500억 이상일 때 또 나머지 지역은 300억 이상일 때 금액 조건을 둔 거예요.
  그런데 지금 존경하는 유재목 위원님 말씀하셨다시피 우리 국장님은 금액 차원에서는 별반 큰 차이가 없다 말씀하시는데, 이거 금액을 지금 500억으로 둔 곳 제천·옥천·증평 그거 300으로 해 주세요, 똑같이.
  그래서 그 이상일 때 보조 매칭률을 5 대 5로 가는 거잖아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예.
○위원장 김꽃임   지금 기업들도 어렵고 해서요, 저희가 유치하는 것도 굉장히 어렵고 지금까지 저희가 알고 있는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인구감소지역·저발전지역에 투자유치가 어려운 건 사실이잖아요.
  그래서 이것도 도비 매칭도 지원했고 그러면 그 여유분으로 시군에서 인센티브를 더 주는 거죠.
  지금은 그런 특단의 대책이 나와야지 투자유치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지금 우리 존경하는 위원님이 말씀하신 것도 그거랑 일맥상통하니까요, 금액으로 나눠 갖고 300억·500억 이렇게 주지 말고요, 똑같이 300억 이상으로 일괄해 갖고 조정하는 걸 검토해 보시고 우리 위원회에 보고해 주시고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리고 지금 투자유치 우리가 56조잖아요?
  민선 8기의 목표가 지금 공약이 60조인데, 그 이후에는 투자유치가 조금씩 되고는 있지만 여러 가지 불확실성과 기업 여건이 어려워서 제가 봤을 때 어려운 상황인데, 우리가 지금 실제적으로 따지면 SK하이닉스 20조고요, LG엔솔 4조 이상.
  그런데 이거는 민선 8기 들어와서 시작한 게 아니에요.
  그전부터 계속 지속적으로 해 와서 저희가 MOU를 맺은 거니까, 일단은 지금 그래서 투자유치에 관련돼서 56조로 정체돼 있어요.
  작년부터 50조 넘었는데 계속이에요.
  제가 봤을 때 우리 지사님이 투자유치 쪽에는 별 관심을 안 갖고 있는데, 60조 공약 달성도 앞에 있고 이래서가 이유인 것 같은데요.
  저는 중요한 게 56조뿐만 아니고 앞으로 더 추가적으로 목표가 더… 그때 100조라고 얘기하시는데 그 얘기는 바로 얘기가 없어졌고요.
  그런데 지금 56조에서 정체되지 말고 계속 저희가 투자유치를 해서 기업들과 지금부터 노력한 것들이 몇 년 뒤에 결과가 또 나오듯이 지금도 지속적으로 유치활동은 계속 하셔야 되는 거예요.
  그런데 지금 현재 우리 민선 8기에 56조에 관련돼서 가동률이 어떻게 되나요?
  저희가 그때 행감 때 자료는 받았지만… 네네.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현재 MOU 기업 기준으로 했을 때 95.1% 나오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러니까, MOU 기준으로 95%인데 이분들이 지금 설계까지 해서 착수계획까지 있는 거로는 어떻게 될까요?
  과장님이 얘기하셔도 되는데요.
  예예, 말씀하시죠, 뭐.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정상 추진 95.1%가 입주 준비단계가 83개, 그다음에 설계 중 또 공사 중, 가동 중 이렇게 각각 진행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래서 95%라고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위원장 김꽃임   그럼 나머지 5%, 56조에서 나머지 5% 빼고는 지금 일단 가동 중인 데까지 해 갖고 95%!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그러니까 MOU 기업을 기준으로 해서 말씀드린 거고요.
○위원장 김꽃임   예, MOU 기준이죠.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예, 그렇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럼 거기에 지금 가장 많이 들어가 있는 SK하이닉스하고 LG엔솔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니까 그게 벌써 금액으로 따지면, 그렇죠? 24조니까. 56조에 24조니까 그것 때문에 제가 봐도 가동률은 많이 올라간다고 보는데, 나머지 5%에 대해서도 관리를 잘해 주셔서 우리 가동률… 빨리 착공까지 할 수 있도록 해 주시고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참고로 그 부분 5%에 대해 설명을…
○위원장 김꽃임   예예.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폐업 또는 휴업한 업체가 하나 있고요. 투자를 중간에 포기한 그런 데가 몇 개 업체가 있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려서.
○위원장 김꽃임   예, 또 저희 지난번에 대만 갔을 때 외국 기업도 들어와서 저희 기업 인수·투자유치 하신다는 데, 제가 갑자기 회사명이 기억이 안 나는데 그 업체는 지금 어떻게 됐을까요, 진행 과정이?
  이비어클(e-Vehicle), 이비어클 기업.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이비어클?
○위원장 김꽃임   예, 저희가 작년에 연수 가서 첫 방문지로 갔을 때 작년 12월 정도로 말씀하셨거든요.
  그 진행과정 좀 말씀해 주세요.
○투자유치과장 김두환   투자유치과장 김두환입니다.
  아직까지 진척사항은 없고, 작년 그 상태로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거기도 대표이사님하고 간담회를 한 거였거든요.
  그래서 거기도 어려운 점이 뭔지, 왜 그때 저희랑 간담회 했을 때랑 얘기의 그게 진척이 안 되고 있는지 좀 파악해서 저희 위원회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투자유치과장 김두환   잘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리고 한 가지만 더 질의하겠습니다.
  청주오스코, 저희가 위탁비용이 108억이에요.
  그래서 지금 수탁기관이 메쎄이상(MESSE ESANG)인데, ’24년 6월부터 ’27년도 6월까지 3년간이죠.
  그래서 지금 개관도 안 했는데 저희가 위탁기관을 선정한 이유는 여러 가지 전시나 또 회의 이런 것들을 먼저 유치하기 위해서인데, 혹시 지금까지 유치된 거나 이런 것들이 있을까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투자유치국장입니다.
  현재까지 유치현황은 전시회가 12건, 컨퍼런스가 8건, 이렇게 총 20건 계획돼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여기가, 최대 수용인원이 오스코가 한 3,000석이라고 알고 있는데, 3,000명 정도. 맞을까요?
○기반조성과장 허혁   기반조성과장 허혁입니다.
  위원장님 질의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저희 오스코는 전시관이 큰 게 하나가 있고요, 대회의장이 또 따로 있습니다.
  대회의장이 한 2,000에서 2,500명 정도 수용이 가능하고요.
  전시관은 저희들이 3,000평 규모에 3m×3m 부스 기준으로 하면 520개 정도 들어갈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에 콘서트라든가 그런 일반적인 행사를 하게 되면 거기는 6,000에서 7,000명 정도 그 정도는 수용할 수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콘서트하는 데는 6,000에서 7,000명이요?
○기반조성과장 허혁   그 면적으로다 따져서, 전시관 전체 1만 31㎡에 만약에 일반 행사를 할 경우에는 한 6,000에서 7,000, 방금 말씀드린 그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걸 말씀드리는 겁니다.
○위원장 김꽃임   6,000에서 7,000명이요?
○기반조성과장 허혁   예예.
○위원장 김꽃임   저희가 지금 보면 전시 12개하고 컨퍼런스 8개인데요, 이거 언제 개관되죠?
○기반조성과장 허혁   기반조성과장 허혁입니다.
  지금 현재 저희가 3월 28일… 3월 27일 날 준공입니다. 공사 준공이고요, 그다음에 4월서부터 5월까지는 시범운영, 각 설비에 대해서 시범운영을 거쳐서 6월부터는 저희들이 임시적으로 임시가동을 해서 전시회를 진행할 겁니다.
  그래서 정식 개관은 저희가 9월경으로 개관행사를 잡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런데 지금 봤을 때 저희가 위탁업체를 미리 선정한 이유가 사전에 유치 좀 많이 하고 홍보하고 이러려고 한 건데 지금 제가 봤을 때는 굉장히, 12개랑 컨퍼런스 8개인데, 컨퍼런스도 어떤 규모인지는 모르겠지만 그거 유치현황 확보하신 거 저희한테 자료 좀 제출해 주시고요.
  6,000명에서 7,000명인데 왜 이거를 3,000명으로 알고 있는지…
○기반조성과장 허혁   아! 그거는 전시관, 방금 말씀드린 건…
○위원장 김꽃임   그러니까 회의실은 3,000명이에요?
○기반조성과장 허혁   회의실은 3,000명…
  예, 대회의실은 3,000명입니다.
  그래서 회의를 하는 인원을 따지면 3,000명이고 전시관을 활용했을 때 수용인원을 말씀드린 겁니다, 그거는.
  좀 혼선을…
○위원장 김꽃임   네네, 우리가 지금 여기 위탁비용이 청주시랑 우리 도랑 5 대 5로 해서 100억이 넘습니다, 1년에 저희가 위탁금으로 주는 게. 그렇죠?
  아니요, 저…
○기반조성과장 허혁   전체 108억이고요, 금년도에는 55억 5,700만 원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렇죠?
  전체인데 올해는 더 많이 줘 갖고 50억 정도!
○기반조성과장 허혁   예, 그렇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래서 저희가 위탁비용도 굉장히 많이 주고 있는데, 그게 중요한 것보다 이 오스코가 더 활성화돼서 청주에 연관되는 이런 데들에 저희는 낙수효과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이 사업이 굉장히 늦어졌지만 더 홍보도 많이 하시고요.
  여러 대회들이 많아요. 유치할 수 있는 것들을 같이 우리 집행부에서 해 주셔야 돼요.
  메쎄이상 자체적으로는 한계가 많기 때문에 여기의 정보 이런 것들 잘 모를 수도 있어요.
  일례를 들면 전국새마을대회 이런 것들 있죠?
○기반조성과장 허혁   예.
○위원장 김꽃임   그런 행사들도 우리 청주오스코에서 메쎄이상이 그런 정보를 몰라서 유치 못 하는 것도 있으니까 그런 것들을 좀 적극적으로 해 주시고, 그럴 때 시군 매칭 자금이 있어요, 매칭 비용.
  제가 봤을 때 그래서 청주시에서 그 매칭 비용 때문에 부담돼서 전국대회 유치 많이 안 할 수도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저는 초기에 여기가 자리를 잘 잡으려면 도에서 매칭하고 청주에서 매칭 5 대 5로 이끌어내서 자꾸 전국대회, 아니면 국제대회 있죠?
○기반조성과장 허혁   예.
○위원장 김꽃임   제가 봤을 때 전시관이 지금6,000에서 7,000명이면 국제대회도 유치할 수 있어요.
  그래서 국제대회 유치하고 청주공항하고 연계하고 그런 것들을 콘텐츠를 메쎄이상하고 더 많이 의논하셔 갖고 활성화시켜 주셔야 돼요.
  예예, 우리 과장님 의견 어떠신가요?
○기반조성과장 허혁   기반조성과장 허혁입니다.
  지금 위원장님께서 너무 좋은 말씀을 해 주셔서 저희들이 새겨듣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서 지금 홍보활동은 청주공항이라든가 그다음에 서울역, 그런 사람들이 대규모로 모이는 데에 현재 홍보 동영상도 저희들이 계속 홍보를 하고 있고요.
  지금 말씀하신 것같이 각 시군에도 큰 행사라든가 그런 거에 대해서, 또 우리 도의 관련 전 부서에다가 저희들이 공문으로다가 그런 부분에 대해서 행사 유치계획이라든가 그런 거를 다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부분을 더 면밀히 살피겠고, 더 큰…
○위원장 김꽃임   예, 그리고 여기 대관료, 이용할 때 자체적으로 여기 메쎄이상에서 대관료 다 받고 이러시죠?
○기반조성과장 허혁   예, 그렇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 규정에 우리 충북도에 관련된 행사나 이런 것들은 조금 할인해 줄 수 있는 이런 방법도 찾아보세요.
○기반조성과장 허혁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래서 여기도 수익보다는 첫해나 둘째 해는 청주오스코가 홍보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여기 청주에 객실이나 이런 부분이 연계가 안 되는 데가 많아요.
  그래서 일례로 국제대회를 유치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게 숙박, 그러면 인근지역 있죠? 그런 것까지 체계를 다 잡아 주셔서 운영에 여러 가지 섬세함과 디테일이 들어가야지 저희가 청주오스코를 우리 청주에서 하는 그거에 관련된 낙수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국장님께서 같이하셔서 최대한 협조도 해 주시고, 여기가 잘 자리 잡아서 위탁을 잘할 수 있도록…
  지금 이 사례를 보면 전국에 적자 나서 위탁을 포기한 데도 굉장히 많습니다.
  근데 우리 청주에 뒤늦게 시작해 갖고 이제 자리 잡는 거거든요. 그래서 청주공항하고 연계됐을 때는 회의실이나 이런 게 꼭 필요합니다.
  그래서 적자 운영되지 않게 잘 운영돼서 여기가 잘될 수 있도록 우리 도에서 끝까지 협조해 주시고 잘해 주셔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국장님 의견 있으실까요?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네,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담당과장께서 홍보를 몇 가지 예를 들어서 말씀드렸는데 다각적으로 홍보를 하고 있고요.
  저희들이 위탁기관인 메쎄이상이 여기를 또 선택한 이유가 거기가 상당히 전문적인 기관인데 여기를 선택했습니다. 그래서 만나보고 얘기를 나눠봤더니 상당히 전망이 좋다.
  그 이유는 가장 좋은 게 입지입니다. 교통 여건이 가장 좋고 또 전국에서 중심에 있고 공항이 있고 또 세종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세종에 중앙정부가 있는데 중앙정부와 연계된 각종 행사들이 많이 유치될 것으로 전망을 하고 있고요. 또 전국 지자체에서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전국 지자체에서도 많은 행사 개최가 이쪽으로 유치되지 않을까…
  그래서 다각적으로 말씀드렸듯이 공항이라든지 역이라든지 터미널이라든지 그 밖의 다른 매체를 통해서 지금 홍보를 하고 있는데 올해 개관을 기점으로 해서 더욱더 그런 부분들을 위원장님이 말씀 주신 대로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네, 왜 제가 또 이거를 시간을 더 많이 할애해서 얘기하느냐 하면 지금 20건 정도인데요, 유치 확정된 게. 제가 봤을 때는 굉장히 미미합니다.
  저희가 9월 달에 개관한다고 하는데 이게 사실 작년부터 준비를 하신 거거든요. 그래서 더 총력을 기울이셔야 된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투자유치국장 문석구   참고로 이 20건은요 금년 내에, 9월 정식 개관인데 9월 전후로 할 수 있는 그런 행사들만 지금 20건이고요. 내년 이후 것들도 계속 지금 문의하고 협의 중에 있습니다.
  위원장님 말씀대로 잘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알겠습니다.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투자유치국 소관에 대한 질의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문석구 국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 자료 준비와 답변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농정국 소관 예산안 심사 준비를 위하여 정회한 다음 속개토록 하겠습니다.
  정회를 선포합니다.
(14시37분 회의중지)

(14시48분 계속개의)

○위원장 김꽃임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마. 농정국
○위원장 김꽃임   계속해서 농정국 소관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주현 국장께서는 발언대로 나오셔서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농정국장 반주현입니다.
  존경하는 산업경제위원회 김꽃임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바쁘신 의정활동에도 농정국 소관 업무에 각별한 관심과 성원을 보내 주신 데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특히 지난 겨울 폭설 피해, AI 발생 등 어려움이 많았지만 저희 농정국이 당면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이끌어 주신 데 대하여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우리 농정국이 시행하는 모든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변함없는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리면서 지금부터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하여 배부해 드린 사업명세서를 중심으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농정국 소관 제1회 추경 세입예산 총규모는 3,707억 9,100만 원으로 기정예산 3,673억 3,600만 원 대비 0.9%인 34억 5,5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세출예산 총규모는 5,322억 2,900만 원으로 기정예산 5,172억 7,400만 원 대비 2.9%인 149억 5,5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일반회계 세입예산안입니다.
  먼저 사업명세서 175쪽, 농업정책과 소관입니다.
  국고보조금으로 9개 사업 27억 5,000만 원을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고, 3개 사업 1억 3,1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여 총 12개 사업 26억 1,9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176쪽, 스마트농산과 소관입니다.
  국고보조금 등으로 5개 사업 18억 7,000만 원을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고, 4개 사업 28억 1,6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여 총 9개 사업 9억 4,6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177쪽, 농식품유통과 소관입니다.
  국고보조금 3개 사업 3억 5,400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습니다.
  178쪽, 축수산과 소관입니다.
  국고보조금 등으로 9개 사업 17억 200만 원을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고, 3개 사업 3,3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여 총 12개 사업 16억 6,9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179쪽, 동물방역과 소관입니다.
  국고보조금 등으로 1개 사업 4,000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고, 2개 사업 4억 8,2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여 총 3개 사업 4억 4,2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180쪽, 내수면산업연구소 소관입니다.
  기금으로 1개 사업 2억 원을 신규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사업명세서 181쪽부터 205쪽까지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입니다.
  증감내역 중심으로 간략히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181쪽부터 185쪽까지 농업정책과 소관입니다.
  예산액은 1,287억 8,600만 원으로 ’25년 당초예산 1,225억 800만 원보다 62억 7,8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청년농업인 역량강화 등 15개 사업에 64억 6,100만 원을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고, 농촌인력중개센터 지원 등 4개 사업에 1억 8,3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186쪽부터 189쪽, 스마트농산과 소관입니다.
  예산액은 2,582억 2,700만 원으로 ’25년 당초예산 2,581억 1,400만 원보다 1억 1,3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공익직불제 사업관리비 등 7개 사업에 11억 3,000만 원을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고, 농촌인력중개센터 지원 등 2개 사업 10억 1,7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190쪽부터 191쪽, 농식품유통과 소관입니다.
  예산액은 608억 4,200만 원으로 ’25년 당초예산 602억 3,000만 원보다 6억 1,200만 원을 기초지자체 식생활교육 지원 등 5개 사업에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192쪽부터 195쪽, 축수산과 소관입니다.
  예산액은 319억 8,800만 원으로 ’25년 당초예산 250억 9,300만 원보다 68억 9,5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가축재해보험 등 13개 사업 69억 100만 원을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고, 말벌 퇴치장비 지원사업 등 2개 사업 6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196쪽부터 197쪽까지 동물방역과 소관입니다.
  예산액은 232억 6,000만 원으로 ’25년 당초예산 233억 4,200만 원보다 8,2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 방역 등 5개 사업 8,000만 원을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고, 가축질병 예방 및 검진약품 구입 등 지원 1개 사업에 1억 6,2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198쪽부터 201쪽까지 동물위생시험소 소관입니다.
  예산액은 187억 7,100만 원으로 ’25년 당초예산 181억 2,800만 원보다 6억 4,3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동물위생시험소 북부지소 청사 신축 등 4개 사업 11억 5,800만 원을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고, 민간기관 구제역백신 항체 검사 등 2개 사업 5억 1,5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202쪽, 농산사업소 소관입니다.
  예산액은 39억 9,600만 원으로 ’25년 당초예산 38억 5,400만 원보다 1억 4,200만 원을 찰옥수수 육종포장 근로자 휴게시설 설치 등 2개 사업에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203쪽부터 205쪽, 내수면연구소 소관입니다.
  예산액은 63억 5,900만 원으로 ’25년 당초예산 60억 500만 원보다 3억 5,4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친환경 미생물 배양센터 건립 등 3개 사업 3억 9,400만 원을 신규 및 증액 계상하였고, 귀어학교 운영 1개 사업 4,0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존경하는 김꽃임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이상 설명드린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국비지원 증감액, 정예농업인 양성 및 축수산업 경쟁력 강화 등 반드시 필요한 사업만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농업·농촌 현실을 감안하여 원안대로 심의 의결하여 주실 것을 요청드리면서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 농정국 소관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 답변에 앞서 집행기관에 요구할 자료가 있으실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요구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 답변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의영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의영 위원   이의영 위원입니다.
  주요사업 설명자료 85쪽 청년농업인 선진농업국가 벤치마킹에 대해서 질의를 드리겠습니다.
  청년농업인 선진농업국가 벤치마킹 이 부분이 당초예산 400만 원에서 320만 원으로 줄이고 한 25명에서 30명으로 인원이 좀 늘어난 거죠?
○농정국장 반주현   농정국장 반주현입니다.
  총예산액은 1억 원으로다가 변동이 없고요. 이거를 갖다가 단체연수 부분을 하나 추가하려다 보니까 공무원의 인솔 여비가 필요합니다. 그래 가지고 그 400만 원을 갖다 따로 편성한 부분입니다.
이의영 위원   여기 보면 15명은 단체연수로 해 갖고 공무원이 같이 인솔하고, 그 밑의 배낭여행은 공무원이 인솔하지 않는 겁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자율여행입니다.
이의영 위원   그럼 여기 공무원이 인솔하는 이유가 뭐가 있어요?
○농정국장 반주현   위원님들께서도 말씀이 계셨었는데요. 저희가 사실 2년 동안은 자율여행으로다가 추진을 했는데요. 자율여행을 하다 보니까 청년농업인들이 본인들이 갈 곳을 찾고 연구기관도 방문하고 이런 걸 본인들이 다 찾아야 되거든요.
  그런데 유럽지역은 사실 좀 어렵습니다. 저희는 유럽 쪽으로다 좀 많이 보내려고 그랬는데 유럽지역이나 이쪽이 한마디로 말해서 섭외하거나 가볼 곳을 갖다가 자기네들이 정해서 가기에는 조금 문제점이 있어 가지고 그쪽 부분, 유럽 쪽으로 가는 부분만 저희가 인솔해 가지고 단체로다가 보내려고 준비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의영 위원   그럼 공무원들이 인솔하는 부분은 유럽 쪽으로 가는 거고, 자율적으로 가는 건…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본인들이 선택해 가지고 선택지는 미국으로 가든 뉴질랜드로 가든 어디로 가든, 동남아시아로 가든 일본으로 가든…
이의영 위원   자율로 가는데, 그렇다면 이거 편성할 때 공무원이 수행하는 부분하고 자율로 하는 부분에 인원은 어떻게 배정했어요?
○농정국장 반주현   한 30명으로다가 기준을 했고요.
이의영 위원   30명인데 이건…
○농정국장 반주현   6팀 정도로다가 해 가지고.
이의영 위원   6팀인데 말하자면 공무원이 수행해서 가는 팀하고 자율 팀하고 그 인원 배정을 어떻게 했느냐 이거지.
  서로 똑같이 자기들이 희망한 사항에서 그렇게 된 거예요, 아니면 여기서 좀 일률적으로 배정한 거예요?
○농정국장 반주현   여기서 일률적으로 배정을 한 거고요. 그거는 공모를 통해 가지고 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
이의영 위원   공모를 통해서 신청을 받는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러니까 작년이나 예전에 그랬듯이 공고를 내 가지고 본인들이 신청해 가지고 저희가 심의해 가지고 선정합니다.
이의영 위원   지역을?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의영 위원   그러면 공무원은 지금 400만 원으로 돼 있죠,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의영 위원   그리고 또 저기는 얼마야, 320만 원?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 정도.
이의영 위원   그 차이 나는 부분은 그게 어떻게 해서 차이가 나는 거예요?
  똑같이 유럽을 가면 경비가 똑같이 들어갈 텐데 어떻게 공무원은 400만 원이고 민간인은 320만 원입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일단은 400만 원으로다가 여비는 편성이 됐고요.
  실질적으로 저희가 15명을 모집하는데, 그러니까 공고를 띄우면서 거기 섭외한 부분하고 여비 기준을 다 따져 가지고 공고할 때 그 기준을 마련할 겁니다, 이거는.
이의영 위원   아직 그럼… 앞으로도 이건 공무원하고 똑같이 400만 원으로 할 거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의영 위원   근데 왜…
○농정국장 반주현   그렇게 해도 더 낮아질 수도 있고, 공무원도 여비가 더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의영 위원   이게 확정적인 게 아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 공고를 통해 가지고 해야 되니까요, 이것도 다.
이의영 위원   아직 그럼 인원 확정도 안 된 거예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러니까 대략 저희가 한 해에 보낸 게 27명에서 25명 정도를…
이의영 위원   그러면 이게 몇 박 며칠로 예정하고 있어요?
○농정국장 반주현   지금 3박… 대개 가는 게 그동안에는 열흘 이상, 7일 이상 이렇게 하다 보니까 조금 어려워 가지고 한 7일 정도 기준으로다가 잡고 있습니다.
이의영 위원   그러면 유럽 쪽으로 400만 원이라면 충분해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가능할 거로다가 보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의영 위원   7일 정도 가서 벤치마킹을 하는데, 해외로 가서 하는데 400만 원이면…
○농정국장 반주현   네덜란드, 예.
  정확하게 가려고 하는 국가는 네덜란드가 되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네덜란드면 이 예산으로 가서… 환산해서 이거 예산을 세운 거예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저희가 판단한 겁니다.
이의영 위원   그게 비행기 해서 네덜란드 가는 데 얼마 정도가 소요되고 하는 그 세부적인 내역을 저한테 좀 주시기 바랍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 알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실질적으로 400만 원 해서 네덜란드에 갔다. 갔을 때 그 경비가 추가되거나 그럴 요인은 안 생겨요?
○농정국장 반주현   그거는…
이의영 위원   자부담이에요?
○농정국장 반주현   그거는 접촉하는…
이의영 위원   지금 세웠는데, 지금 국제정세가 불안정하다 보니까 좀 더 항공료가 올라갈 수도 있고 또 하다 보면 추가적인, 400만 원 갖고 작년까지는 됐는데 올해는 좀 경비가 상승된다 그랬을 경우에 네덜란드를 가기는 가야 되고, 그럼 날짜를 줄일 거냐 아니면…
○농정국장 반주현   그건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일단은 400만 원…
이의영 위원   예산을 추가로 세울 거냐…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풀여비에서, 조금 모자라는 부분이 있으면 저쪽 풀여비에서도 쓸 수가 있고요.
  그런데 공무원 여비는 400만 원 정도로다가, 인솔 공무원은 400만 원으로 하고요. 나머지는 저희가 날짜나 일수나 가는 곳이나 자는 곳에 따라서 여행일정, 그러니까 연수일정이 정해지면 금액이 확정될 거로다가 보고 있습니다.
이의영 위원   그럼 지금 현재 며칠 갈 거 어디 갈 거 이거 여행경비가 정확히 계산된 건 아니고…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15명 정도…
이의영 위원   그냥 큰 틀에서 15명 간다, 그러면 공무원이 수행하는 것이 능률적이고 효과적이라고 얘기하시는 거 아니에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그러니까 저희가…
이의영 위원   현지 점검하거나 모든 거 할 때?
○농정국장 반주현   예, 저희가 그동안에…
이의영 위원   경험으로 봐서?
○농정국장 반주현   청년 농업인들한테 유럽 쪽을 줬더니 유럽은 너무 어려우니까 그쪽을 다 안 가려고 그럽니다, 유럽 쪽으로는.
  그러다 보니까 우리가, 그러면은 계획을 세워 가지고 우리가 연수일정을 다 파악을 하고 어디를 갈 건가를 다 정해 가지고 이번에는 한 팀을 보내는 겁니다.
이의영 위원   아니, 여기 보면 여행 가는 게 아니고…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맞습니다.
이의영 위원   자기네가 실질적으로 가서 기술을 취득해서 자기가 벤치마킹하려고 하는 거 아니에요, 그렇지?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의영 위원   그런데 어렵고 안 어렵고의 문제는 좀 넘어선 거라고 생각을 하는데, 관광 가는 거 같으면 힘들다고 하지만 이건 내가 배우러 가 갖고 자기가 하는 부분에 접목해서 기술 개발하려고 하는 건데…
○농정국장 반주현   그러니까 위원님 잘 아시듯 일주일 가 가지고 기술을 배우고 그러기에는 그 기술은 상당히 어렵다고 보고요…
이의영 위원   그러면 실질적으로다 열흘을 하든지 더 편성해 갖고, 인원을 줄이더라도 효과적으로 하셔야 되는 게 맞는 거 아니에요?
○농정국장 반주현   그래서 한 일주일 정도 가면 그래도 ‘아, 선진 유럽 쪽에서는 이런 방식으로다가 채택해 가지고 농산물을 생산하고 만들어내고 유통시키고 있구나!’ 그리고 ‘시장은 어떤 정도로다가 구성해서 운영되고 있구나!’ 이런 거 정도는 충분히 일주일 정도면 볼 수 있다…
이의영 위원   그러면 공무원을 같이 인솔해 가지고 팀을 전부 구성하지 않고 이렇게 배낭팀하고 인솔팀하고… 효과적이라면 다 같이 공무원이 인솔하는 게 나은 거 아니에요?
○농정국장 반주현   아니, 그런데 여태까지 해 보니까요, 2년 동안 해 보니까 아시아나 이쪽은 본인들이 잘 찾아갑니다.
  본인들이 섭외도 하고 이렇게 해 갖고 잘 찾아가는데 유럽 쪽은 안 가려 그래요.
  비용도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또 언어도 어렵고 그런 부분이 있고, 연구기관이라든지 이런 데서 개방도 안 되고 그러니까 어려움이 있으니까 그 부분을 우리가 조금 공무원의 행정력을 동원해서 연구시설이라든지 볼 수 있게 해 달라 공문도 보내고 이런 식으로다가 조금 저희가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이의영 위원   그럼 유럽 가는 거하고 아시아 가는 거하고 경비에 차이가 날 거 아니에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차이 나죠.
이의영 위원   그런데 어째 똑같이 400만 원을 가지고 편성했다면 그것도 좀 모순, 잘못된 게 아니냐!
  실질적으로 유럽 가는 건 좀 더 예산을 세워 주고 또 경비가 줄어든 데는 약간 늘려 갖고 실제로 가서 배우고자 하는 걸 해야지, 관광도 아니고 배우는 것도 아니고.
  간다면 이런 돈을 들여서 가는 소기 목적에는 좀 문제가 있지 않느냐!
  그래서 그런 부분을 실질적으로 가서 배워 갖고 와서 자기 농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또 벤치마킹할 수 있게끔 해야 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예산도 편성하고 이런 부분도 해야지, 지금 유럽 쪽에 며칠 가서 사실 관광도 아니고 배우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면 문제가 있지 않느냐!
  그리고 유럽 가는 거나 동남아 가는 거나 경비를 똑같이 했다는 부분은 또 문제가 있고 그래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편성을 잘해 가지고 거기에 맞게끔 예산을 짜 줘야 되지 그냥 똑같이, 유럽 가는 거나 이쪽 가는 거나 똑같이 예산을 한다는 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예, 맞습니다.
  위원님 말씀대로 맞고요, 9,600만 원 안에서 저희가 조정을 해 가지고 알차게 연수가 될 수 있도록 그렇게 조치를 하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여기서 보니까 400만 원 400만 원 똑같이 해 주는 거, 320만 원 똑같이 해 주는 것 같아 가지고!
○농정국장 반주현   그건 아니에요.
이의영 위원   그러면 지난해로 봐서 벤치마킹 다녀와 가지고 여기 와 가지고 실질적으로 무슨 성과가 있는 사례가 있나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여기 갔다 온 팀들은요, 저희가 청년농업포럼이라든지 간담회라든지 이런 행사를 1년에 두 번 정도 하고 있습니다.
이의영 위원   아니, 갔다 와 가지고 실질적인 성과 본 대표적인 농장이 뭘… 거기에 대해서 설명 좀 해 주세요, 있다면.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래 가지고 그분들이 발표도 하고요, 갔다 오신 분들이 현지에 갔다 온 거를 갖다가 발표도 하고요.
  자기네가 하고 있는 거를 갔다 왔기 때문에, 예를 들어서 벼를 재배한다 그러면 벼 연구소라든지 그 품종이라든지 아니면 포장이라든지 이런 걸 갖다가 배워 와 가지고 자기네들 거기 접목시키는…
이의영 위원   그러니까 대표적인 사례가 있냐 이거예요, 대표적인 사례가? 딱 어느 농가가 갔다 와서 이렇게 성과를 거두었다!
○농정국장 반주현   괴산에 김성규 농가라는…
이의영 위원   괴산?
○농정국장 반주현   예, 괴산에 있는데요…
이의영 위원   김성규?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의영 위원   작목은 뭐 하는 거예요?
○농정국장 반주현   클래식영농조합법인이라 그래 가지고 크게 지역의 농산물을 갖다가 유통시키는 일을 하고 있거든요, 생산해 가지고.
이의영 위원   생산하는 건 뭘 생산해요?
○농정국장 반주현   사과 과수.
이의영 위원   사과하고! 사과를 하고…
○농정국장 반주현   벼, 콩, 뭐 다 해요.
이의영 위원   유통.
  그럼 사과 하는 데는 벤치마킹 어느 나라로…
○농정국장 반주현   일본 갔다 왔습니다.
이의영 위원   일본 갔다 왔습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그래서 거기서 유통하는 거 배우고 포장하는 거 배우고, 그리고 그분이 진공포장이라든지 이런 거 하는 거 같이 갔다 온 팀들이 그렇게…
이의영 위원   실질적으로 그래도 성과가 있는 데가 괴산에 김성규…
○농정국장 반주현   또 있습니다, 영동.
이의영 위원   영동!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제가 다 일일이 기억을 못하는데, 영동에도 갔다 온 팀들이 진짜 거기에 가서, 거기도 일본을 갔다 왔습니다. 일본 갔다 와서 너무 좋은 경험을 했고 우리도 이렇게 하면 조금 바뀌겠다라는 걸 발표하고 했습니다.
이의영 위원   일본 가면 400만 원 갖고, 상당히 경비가 과다책정된 거고.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의영 위원   그러니까 그 부분에 대해서…
○농정국장 반주현   그러면 저희가 과다책정됐으면 더 늘려 가지고, 인원수를 더 늘려 가지고 또 다른 청년을 더…
이의영 위원   그러니까 여기 지금 나라에, 유럽이라든가 이쪽으로 해서 400만 원 해 놨으니까 우리가 알 때는 무조건 다 그 돈 가지고 가는가보다 이렇게 생각하니까 세목별로 해서 국가별로다 해 주면 나은데, 우리는 지금 이거 보고 알 수가 없잖아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건 저희가 조정을 하겠습니다, 위원님.
이의영 위원   그래요, 앞으로 청년농업인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잘 좀 해 가지고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잘 다녀올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 알겠습니다.
이의영 위원   이상 질의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이의영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박경숙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박경숙 위원   박경숙입니다.
  111쪽에 논 소득 다양화 기반 구축 사업 관련하여 질의드리겠습니다.
  본 위원이 지난 본회의에서 수도작 대체작물 재배 관련하여 5분자유발언을 했고 대체작물 재배 시 농기계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국장님.
  해당 사업의 사업량을 보니까 콤바인·트랙터 등이 2대, 수확기·건조기 등은 12대를 구입하겠다고 되어 있는데, 이게 11개 시군의 사업량인데요. 이 지역별 배분은 어떻게 계획하고 계십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지금 일단 신청량에 의해 가지고 배분은 했고요. 그리고 지금 논 소득 다양화 기반 구축 사업을 한 배경이 있습니다.
  뭐냐 하면 논은 자꾸 벼 생산조정제로다 해 가지고 감소를 시켜야 하는 부분이 있고…
박경숙 위원   하는데!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가 어떤 인센티브나 그런 게 없이 그걸 한다는 것도 좀 무리가 있고요.
  또 밭으로다가 전환했을 때 기계화율이 좀 떨어져 가지고…
박경숙 위원   없어서!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농사짓는 분들이…
박경숙 위원   꺼려 하시는, 네네.
○농정국장 반주현   꺼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 가지고, 또 농가들이 원하는 부분이 이런 콤바인이나 트랙터, 수확기, 건조기 등이 있는데 이 기계들이 좀 비쌉니다, 전부 다.
박경숙 위원   그러게…
○농정국장 반주현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박경숙 위원   억대로 나가니까요.
○농정국장 반주현   스스로 자가구입하기에는 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거를 지원을 해 주는 게 맞다 이렇게 해 가지고 저희가 1회 추경에, 여태까지 이런 사업이 없었는데 그러면 논 타 작물이나 친환경이나 여러 가지 하는 지역에는 이런 사업을 집어넣어 가지고 농가 부담을 줄여주고 경영비를 낮춰 주자, 그리고 밭작물에 대한 기계화율을 좀 높여주자 그런 차원에서 이렇게 사업을 신규사업으로다가 1회 추경에 올리게 됐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런데 콤바인·트랙터가 그래도 2대인데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은 안 하세요?
○농정국장 반주현   많이 부족합니다.
  그런데 저희 하여튼 추경 사업으로다가 이렇게는 올리겠지만 내년에는 더 많이 확보를 해 가지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박경숙 위원   예, 이거 활용 주체는 그러면 타 작물 재배하는 농가에다가 이걸 지금 임대를 해 준다는 건가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논 타 작물 재배하는 농가하고 친환경 특수미 재배하는 농가…
박경숙 위원   특수미!
○농정국장 반주현   그런데 개인으로 하는 건 아니고요, 5㏊ 이상으로다가 집단화된 지역에다가…
박경숙 위원   아! 법인이나 집단이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럼 개별농가한테는 지원이 안 되는 거고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개별농가는 아니고요.
박경숙 위원   아, 그렇구나!
  또 이렇게 논 대체작물 재배 시 걸림돌이 되는 게 기계도 물론 기계고요, 또 논이라는 농지가 대체작목을 키우기에 배수 문제라든지 좀 어려운 문제가 많잖아요?
  그러면 또 토지 개량에 필요한 지원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항이 좀 있습니까, 지원사업이?
○농정국장 반주현   경지정리 사업이라든지 집단화…
박경숙 위원   경지정리?
○농정국장 반주현   예, 경지정리 사업인데, 경지정리 사업은 거의 완료가 된 상태고요. 지금 이제…
박경숙 위원   대부분의 논들은 다 이미 되어 있잖아요.
○농정국장 반주현   그런데 그걸 다시 또 구획회하는, 대구획화하는…
박경숙 위원   아!
○농정국장 반주현   그런 사업을 또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집단에 대한 지역이 대구획화가 되는 그런 사업이 또 진행되고 있고요.
  밭도, 밭 경지정리 사업도 있습니다.
  밭도 있긴 있는데 그건 조금, 집단화된 지역이 사실은 많지 않기 때문에 소규모로다 사업이 계속해서 그런 것도 진행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박경숙 위원   지금 객토 사업에 대해서는 아직 계획이 없으신 거예요, 객토?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객토는 본인들 부담으로다가…
박경숙 위원   부담으로!
○농정국장 반주현   객토하는 걸로다가…
박경숙 위원   객토가 좀 부담이 되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박경숙 위원   농가에…
○농정국장 반주현   그런데 만일 예를 들어서 내가 논 타 작물을 하는데, 타 작물 직불금으로다가 해 가지고 계속해서 ‘이거 내가 객토를 해 가지고, 밭 전환해 가지고 좀 이렇게 하겠다’ 그렇게 하면 직불금이 나가는 부분이 있으니까 그 부분으로다가…
박경숙 위원   그거 충분한가요?
○농정국장 반주현   그 부분으로다가 충분…
박경숙 위원   하진 않지만?
○농정국장 반주현   예, 충분하진 않지만 그렇게 해서 개선을 해 가지고 밭으로 전환한다든지 그렇게 하는 게 또…
  농가들은 논보다는 소득 면에서는 밭이 그래도 또…
박경숙 위원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힘들지만 더 낫거든요, 사실은.
박경숙 위원   어떻게 우리가 생각하면 굳이 “이걸 하세요. 타 작물로 바꾸세요.” 안 해도, 어떤 농가에서 타 작물 재배를 해서 수확이 많으면 하지 말래도 아마 많이들 하실 걸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박경숙 위원   지난번에 제가 민원이 있어서 질의드렸던 거, 타 작물 재배할 때 조건이 세 번을 떨어져야 한다고 한 그 부분에 대해서 좀 설명해 주시겠어요?
  타 작물을 내가 재배하겠다고 신청을 할 때 신청을 안 받아줬다고 그랬잖아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박경숙 위원   그 조건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좀 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억, 잊어버리셨어요?
  탄부면에서…
○농정국장 반주현   제가 답변을 드려…
  그분한테 저희가 찾아가 가지고 직접…
박경숙 위원   아, 그러셨어요?
○농정국장 반주현   답변을 드렸어요.
  그래 가지고 그분도 이해한 걸로다가 저희가 끝나 가지고, 관심 가져줘서 고맙다는 말씀드렸고 제가 전화 통화도 했고요.
박경숙 위원   예예.
○농정국장 반주현   그 부분에 대해서는 그 민원인하고 이해관계가 끝난 상황이라…
박경숙 위원   아, 그렇구나!
  그러면 지금 각 시군에 면별로 담당 직원이 그 부분에 대해서 좀 자세하게 알고 있어야지 농가에게 설명을 잘 드리잖아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박경숙 위원   그런 부분들도 파악하셨나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박경숙 위원   그 직원하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지금 면사무소에, 읍·면사무소에 근무하는 분들이 거의 신규 직원이고 사실…
박경숙 위원   그리고 너무 이동이 잦으니까 업무 파악도 안 됐을 때 또 자리가 이동되고 이동되고 해서 조금 어려운 부분도 있겠죠, 그분들 나름대로.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런 부분을 저희가 공문으로만 하는 게 아니라 현장에 가 가지고 이렇게 하고 저희 농업인 단체를 통해 가지고…
박경숙 위원   그러게요.
○농정국장 반주현   계속적으로다 홍보를 하도록 합니다.
박경숙 위원   네네, 교육 같은 거, 행사 있을 때 타 작물에 대한 설명도 자세하게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고요.
  논 소득 다양화를 위해서는 농기계 지원뿐만 아니라 토지 개량 또 경제성 있는 대체작목의 개발 및 기술 보급이 필요합니다.
  향후 논 타 작물 재배 활성화를 위해서 농민들의 니즈를 파악해서 관련 사업을 꼼꼼히 챙겨 주시기 바라고요.
  한 가지 더 질의를 드리면, 그 앞쪽에 109쪽에 노후 농기계 대체 지원에 대해서 질의하겠습니다.
  지금 이 사업은 6개 시군으로 나와 있는데 이 사업도 해마다 예산이 세워지는 사업인가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맞습니다.
  해마다 지금…
박경숙 위원   6개…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 도내에 49개 임대사업소가 있는데요, 임대사업소에서…
박경숙 위원   노후된 기계를…
○농정국장 반주현   노후된 기계를 갖다가 대체할 수 있도록 그런 예산을 확보해 주는 그런 사업이고요. 6개 시군이 지금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노후농기계 대체하는 부분하고 또 이번에 신규로다가 들어온 게…
박경숙 위원   이동형?
○농정국장 반주현   이동형 방상팬이 지금 서리 피해라든지 이런 부분의 기상이변으로다가…
박경숙 위원   그러게요, 냉해 피해를 위해서 있는 건데… 이것도 또 임대사업 기계로 들어가는 건 처음 봤습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래서 26대를 임대사업으로 넣어 가지고 이걸 임대해 주는 거로다가 그렇게 지금 신규로 들어가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예, 이동형 방상팬은 냉해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이기 때문에 겨울에 동절기에 필요한 건데 그러면 겨울 내내 한 농가에 빌려주는 거예요, 이거를?
  어떻게 돼요, 이용 방식이?
○농정국장 반주현   그러니까 이거는 필요한 시기가 되면 수요가 좀 많을 거로다가…
박경숙 위원   글쎄, 이건 어림도 없을 것 같아요, 이 숫자가. 지금 26대로다가 6개 시군에 나눠준다는 얘기잖아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박경숙 위원   아니 49개 임대사업소에 그러면 1개꼴도 안 돌아간다는 얘기네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네, 이게 한정 없이 예산이 많이 들어가는 사업이기 때문에…
박경숙 위원   그렇긴 하죠. 그래도 1대씩…
  아니 근데 좀 문제가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이게 뭐 하루이틀 빌려서는 안 되는 거고 한 농가에서 만약에 임대를 하면 적어도…
○농정국장 반주현   아마 기상이 떨어지면 문제가 될 것 같다 그렇게 하면 이거를 임대 신청하든지 아니면 개인이 갖고 있는 방상팬을 돌리든지 아니면 그 기계가 없을 경우에는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써야 돼요.
박경숙 위원   글쎄, 다른 방법을 써야 될 텐데 이거는 진짜 누구 코에 붙이나 이런 정도로 너무… 이거 그냥 뭐랄까, 우리가 이런 게 있다는 표시만 낼 뿐이지 실질적으로 이게…
○농정국장 반주현   이게 시군에 의해 가지고 수요조사에 따라서 사실은 배정을 한 건데…
박경숙 위원   그래도 그렇죠, 너무 이건…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가 많이 부족할 거라고는 예상이 되는 상황입니다.
박경숙 위원   그러게요, 그냥 이거는 뭐 홍보용밖에는, 실질적으로 이게 농가에도 별로 혜택도 안 돌아가고 좀 그런 것 같습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제가 그 방상팬 기계를 한번 봤는데 저도 조금 솔직히 의문스러운 거는…
박경숙 위원   그러니까요.
○농정국장 반주현   1대 갖고 그걸, 1대를 농가한테 빌려줘 가지고 과수원이라든지 뭐 이렇게 방상팬을 돌리는…
박경숙 위원   그럼 겨울 내내 써야 되는데.
○농정국장 반주현   잠깐 돌리는 것도 사실은 될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박경숙 위원   그러니까요, 이거는 겨울 내내 써야 되는데.
○농정국장 반주현   일반 과수원 같은 경우에는 지금 방상팬으로다가 설치돼 있는 게 제가 알기로는 전에 있을 때 한 3,000만 원 들여 가지고 양쪽에다 해 가지고 크게 돌리거든요.
  근데 400만 원짜리 기계로다가 진짜 얼마만큼 그 효과를 낼지는 저도 조금 의문입니다.
박경숙 위원   아니면 차라리 방상팬 보조를 해 줘서 구입을 하게 하든지 이렇게 해야지 이거는 별로 실효성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여튼 앞으로…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 소형농기계 사업으로다가, 저희가 당초예산에 편성된 소형농기계 사업이 있으니까 내년도 당초예산에 방상팬을 구입할 수 있도록 그렇게 조치하겠습니다.
박경숙 위원   글쎄, 그런 방법을, 좀 더 합리적인 방법을 좀 연구해야 될 것 같고요.
  아! 여기 한 가지가 더 있습니다.
  96쪽의 농촌공간정비사업 이게 있는데요.
  유해시설, 한마디로 말하면 돈사나… 돈사를 제가 예를 들면 돈사 관련해서 이 조건에 이 사업을 하려면 돈사에서 어떤 조건을 갖추고 있으면 이거를 신청할 수 있을까요?
  이게 군에서 신청해서 올라와야지 우리 도에서 결정을 해 주는 사업이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이거는 농촌공간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그런 사업인데요.
  한마디로 말해서 구획화를 하는 겁니다.
  그래서 해당 시군에서 그 구역을 정합니다. 축사라든지 공장이라든지 아니면 난개발로다가 되어 있는 부분을 갖다가 어느 구역을 정해 가지고 그 일정 부분을 갖다가 없애고 민원을 좀 해결하면서 주거환경을 갖다가 건전하고 깨끗하게 만드는 그런 사업인데요.
  이건 계속 연속 사업으로다가 진행이 되는 부분이고요. 저희가 계속해서 지금 선정이 되고 있는데 ’21년서부터 청주·증평·괴산·음성·제천·영동 그런 식으로다 해 가지고, 증평 이렇게 해 가지고 계속해서 지금 연속적으로다가 그런 지역이 있으면 시군에서 구획을 정해 가지고 이 사업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박경숙 위원   그러면 올해는 청주·제천·영동·증평·괴산·음성이지만 여기에 포함 안 되어 있어도 신청할 수 있는 건가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신청할 수 있는 겁니다.
박경숙 위원   그럼 혹시 얼마에서, 만약에 20억이 넘는다거나 우리가 어떤 기준액이 있습니까? 한도액, 한도액!
○농정국장 반주현   예, 이게 한도액이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러면 규모에 상관없이 금액 이상이 넘으면 해 줄 수가 없는 건가요?
○농정국장 반주현   아니, 금액이 이상이 된다고 그러면 군비가 조금 더 붙는다든지…
박경숙 위원   아, 군비로 보충을 하고! 우리 도비는 한정되어 있으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국비·도비는 한정돼 있는 만큼, 그러니까 한도액에서만 지원이 되고 추가할 때는 군비를 더 보탭니다.
  그래서 다른 지역도 사실상 그게 조금 모자라기 때문에 군비를 더 보태서 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여기 보면 빈집우선정비구역 지정 및 이행강제금 부과 제도가 있잖아요.
  지금 시골에 가면 사실은 어르신이 혼자 사시다가 돌아가시면 빈집들이 많이 있는 상황이거든요.
  그럼 군수나 시장이 봤을 때 ‘저 집은 좀 철거의 필요성이 있다’ 그러면 그 명령을 내리는 거죠? 아니면 권고라고 해야 되나, 그 소유주한테. 그런데도 주변 환경이라든지 여러 가지 범죄가 발생할 그런 우려가 있기 때문에 철거해라 해도 안 하면 이행강제금을 매긴다는 거죠?
○농정국장 반주현   이행강제금까지는…
박경숙 위원   아니에요? 500만 원이라고 되어 있던데요, 어디?
  제가 보니까 500만 원을 부과할 수 있다고 이렇게 되어 있어요. ‘철거명령 미이행 때 500만 원의 강제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이렇게 되어 있던데 모르셨습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거는 아마 사업 구역 안에 들어왔을 때…
박경숙 위원   아, 딱 정해진 구역 안에 있을 때에만?
○농정국장 반주현   구역 안에 들어왔을 때의 얘기지 그냥 일반적으로 빈집이 있는데 강제적으로다가 하는 거는 불가한 거로다가 알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아, 그렇구나.
  아니 보니까 특정빈집 이행강제금 제도를 도입했다는데 ‘어떤 한 지역에 빈집이 최소 10호 이상이거나 또는 빈집 비율이 20% 이상인 경우에 빈집우선정비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렇게 했을 때의 경우를 말하는 거군요.
  아무튼 잘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박경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유재목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재목 위원   국장님, 유재목입니다.
  우리 존경하는 박경숙 위원님 질의에 첨언을 좀 하겠습니다.
  사업명세서 188쪽, 설명서 109쪽입니다.
  노후농기계 대체 지원 관련 질의드리겠습니다.
  우리 충청북도는 국장님이 작년 행감이나 또 업무보고 시 ‘충청북도는 농업도다’라고 이렇게 말씀을 주셨어요. 맞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맞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래 올 예산도 한 3,700억 정도, 맞습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거기에 스마트농산과에 이번 당초예산 2,581억에서 1억 2,000만 원 증액이 돼서 2,582억으로 스마트농산과가 50%를, 농정국 예산의 절반 이상을 갖고 가고 있어요.
  맞습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예, 맞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러면 충청북도는 스마트농업의 1번지라고 해도 되겠습니까, 예산 절반을 갖고 왔는데?
○농정국장 반주현   예산이 많다고 거기가 1번지라고 표현할 수는 없고요.
유재목 위원   2번지라고 할까요?
○농정국장 반주현   아니 그냥 전체적으로 충청북도는 1번지다 이렇게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유재목 위원   충청북도만?
  자, 그러면 충청북도 농업인구는 고령화가 지금 몇 프로나 됐다고 생각하십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제가 60세 이상 인구로다가 대략 봤을 때 70% 이상은 고령화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맞습니다. 그래서…
○농정국장 반주현   초고령화로다가 된 시군이 지금 괴산·단양·보은이 초고령화로다가…
유재목 위원   옥천도 포함입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옥천은 아직 초고령화는 아닙니다.
유재목 위원   30%를 넘어서면 초고령화라고 하죠?
○농정국장 반주현   네.
유재목 위원   30%입니다.
  자, 그래서 농사를 못 지으니까 이제 기계화도 조금 열악하지 않겠는가.
  그러면 임작업을 하죠? 임작업을 해서 농기계도 다시 바꿔주고, 노후농기계 대체 지원으로 이렇게 말씀하셨네요. 맞습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예, 맞습니다.
유재목 위원   제일 많이 이용되는 농기계가 뭐예요, 임작업하는?
○농정국장 반주현   아무래도 트랙터하고 관리기하고 수확기에는 콤바인 같은 경우에는 그렇지만, 제일 많이 하는 게 관리기가 제일 많이 될 거로다가 알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임작업해 주는 거로?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임작업.
유재목 위원   그러면 임차해 가는 거 중에는 뭐가 제일 많은 것 같아요?
○농정국장 반주현   제가 생각해도 관리기가 제일 많은 것 같습니다.
유재목 위원   관리기?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러니까 관리기는 복합 관리기이기 때문에 전부 다 밭에 쓰는 그런 관리기를 많이 갖고 있거든요.
  그 관리기가 한 300에서 500만 원 정도 되기 때문에, 그거는 임대사업소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계이기 때문에 많이 갖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래서 제가 지자체에서 기초의원을 하다 보니까 그래도 도에서 선도적으로 농업도이기 때문에 이런 임작업이라든가 또 임대사업을 미리 예산도 세워주시고 해서 사실 지자체에서 굉장히 편해하고 있어요.
  기종도 다양하고 또 수선·수리도 곧바로 해 주는 이런 시스템이라 다시 한번 우리 반 국장님한테 감사를 드리겠습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저한테 감사할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위원님.(웃음)
유재목 위원   예산 집행하는 거 아니겠어요?
○농정국장 반주현   위원님이 예산을 세워주셨기 때문에 그게 다 보급이 되는 거라 생각을 해서 위원님한테 감사드립니다.
유재목 위원   국장님, 이제 눈 똥그랗게 뜨세요.
  근데 충청북도가 농업도이긴 하지만 선제적으로 가지는 못하는 것 같아.
  국장님, 드론 만질 줄 아세요?
○농정국장 반주현   만질 줄은 모르고요, 드론을 알고는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조종할 줄 아십니까? 조종할 줄 아세요?
○농정국장 반주현   저기…
유재목 위원   스마트과장님! 드론 조작할 줄 아십니까?
○스마트농산과장 황규석   모르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여기 뒤에 앉으신 분들 중에 드론 조작하실 수 있는 분 거수 좀 한번 해 주세요.
      (…)
  이렇습니다. 지금 드론이 농업이든 소방이든 경찰이든 산불이든 산림이든 대세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농업에서도 드론을 접목시킬 계획은 없으세요?
○농정국장 반주현   지금 제가 알기로는요 드론은 자격증을 갖춰야지만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재목 위원   국가자격증입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제가 국가자격증인 거까지는 모르겠는데 하여튼 자격이 있어야지 드론을 운용할 수가 있습니다.
  근데 드론이 앞으로 농기계, 농업 쪽에도 많이 쓰인다 그런 예상을 하고 있어 가지고 각 시군에서 드론조종사 자격 그거를 갖다가 지원해 줘 가지고 일선 시군에 있는 농업인들이 드론을 운전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분들이 참 많습니다.
유재목 위원   많아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지금 우리 직원분들은 아무도 드론 조작을 못한다잖아요.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 직원은 드론을 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에 그 자격을 안 갖춘 거고요.
  시군에서 농업인들이 선도적으로 하는 농업인들은 예전에 50% 보조사업으로 해 가지고 그 교육을 받아 가지고 자격증을 딸 수 있도록 해 줬습니다.
유재목 위원   맞습니다.
  국장님, 앞으로는 시대도 앞서가야 되잖아요. 특히 농업은 한발 더 앞서가요.
  제가 아까 칭찬했잖아요. 임작업 또 임대사업소, 충청북도가 11개 광역시 중에 제일 먼저 갔다. 근데 이거는 한 치 뒤로 밀렸어요.
  드론이 대세입니다. 산불·경찰·소방·교통, 이제는 농업이 1번으로 가야 할 때입니다.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충청북도의 드론 보급률이 얼마나 됩니까, 농업에 관련해서?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가…
유재목 위원   몇 대나 돼요?
○농정국장 반주현   총대수는 예전에 참 많이 공급을 했고요. 저희가 총 91대 정도가 들어갔네요.
유재목 위원   예전에 ’11년부터 이게 보급이 됐어요. ’11년이면 지금 올해가 ’25년이면 그거 다 사양됐을 거 아니겠어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근데 올해 당초예산에 보니까 드론 보급을 몇 대 하느냐? 6대 하겠다고 이렇게 나와 있어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개인한테 하는 거예요?
○농정국장 반주현   개인한테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대개 드론사업단을 만들어 가지고 작목반 단위로다가 운용을 하기 때문에 이게 개인용으로다가 쓰는 거는 아닙니다.
유재목 위원   작목반에서?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유재목 위원   그러면 드론을 가지고 농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요, 국장님?
○농정국장 반주현   아무래도 제일 많이 활용하는 게 방제작업에 가장…
유재목 위원   농약?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자, 노령화되고 경운기로 펌프질해서 하는 것도 이제 못해. 그렇죠?
  그러려면 드론 보급을 좀 해서, 센서 맞춰 놓으면 딱 자기가 떠서 알아서 방제하고 제자리로 오는 거 아니겠어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자, 보급현황을 한번 보겠습니다.
  ’23년도에 충북에 드론을 10대 보급했어요. ’24년도에 4대, 올해는 6대 이렇게 당초예산에 올라왔어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전국에서 보니까 하위 중에 바닥을 박박 기어.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유재목 위원   충남은 올해 105대를 보급한답니다.
  충북하고 충남 차이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6대하고 105대하고?
○농정국장 반주현   경지면적에 좀 차이가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경지면적!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아! 거기는 다 그럼 105대가 방제를 하려고 이렇게 하는 건가요?
○농정국장 반주현   대개 충남하고 전남이나 그 지역은 간척지 지역이 많기 때문에 드론 방제를 조금 선호하는 편이고요.
  저희는 집단화된 지역이, 충남이나 이렇게 그런 대규모 지역이 없기 때문에 드론 보급이 조금…
유재목 위원   국장님!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드론 만지려면 뭐가 있어야 된다 그랬어요? 아무나 막 만지면 안 되죠?
○농정국장 반주현   자격! 예, 자격이요.
유재목 위원   국장님 자격증 갖고 계세요?
○농정국장 반주현   아니요, 없습니다.
유재목 위원   혹시 딸 계획은 안 계세요?
  국장님이 모범을 보이셔야 다른 직원분들도 드론 자격증을 갖죠.
○농정국장 반주현   제가 남은 게 10개월밖에 안 남아 가지고 못 딸 것 같습니다.(웃음)
      (장내 웃음)
유재목 위원   아니, 국장님, 농업의 최선두주자이고 충청북도 농업의 권위자인데 본인이 솔선수범해서 하면 직원들 안 따라하겠어요?
○농정국장 반주현   제가 따는 거보다는…
유재목 위원   자격증은 분명히 있어야 되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자격증이 없으니까 드론 보급이 안 되는 거예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제가 따는 것보다 우리 청년농업인들이나 앞으로 선두주자들이 따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유재목 위원   그런 정책을 만들어서 예산에 반영해 주세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알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아셨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알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감사합니다.
  다음 명세서 193쪽 설명서 125쪽 가겠습니다.
  유기동물 입양비용 지원 관련 보겠습니다.
  예산이 줄었어요.
  예산을 왜, 이거 반납을 한 건가요, 금회 추경에? 이거 무슨 내용입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국비…
유재목 위원   기존 예산보다…
○농정국장 반주현   국비 사업이고요. 이거는 국비의 어떤 배정량으로다가 준 거지 저희가 일부러 이걸 줄이고 그런 건 아니고요. 국비 사업 배정량에 따라서 감된 부분이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국장님!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지금 반려동물이나 반려식물 인구가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세요?
○농정국장 반주현   36%? 36% 정도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습니다.
유재목 위원   36%면 몇 명입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가 164만 명의 36% 정도가 되니까요. 그런데 그걸 가구…
유재목 위원   전국 인구가 5,100만이에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유재목 위원   그래 자료를 보니까 1,500만 정도가 반려동물·반려식물을 옆에 두고 있어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3분의 1이에요, 전체 인구의.
  맞습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예, 맞습니다.
유재목 위원   혹시 3월 23일이 무슨 날인가 아세요?
○농정국장 반주현   모르겠습니다, 위원님.
유재목 위원   강아지의 날이래요.
  국제기구에서 지정한 강아지의 날이랍니다.
  요샌 어디 가서 반려동물이나 반려식물 애먼 소리하면 큰일 납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가족입니다.
유재목 위원   가족입니다. 친가족이에요.
  이 친구들 무슨 일 있어서 하면 화장도 하고, 도비 예산 5억 들여서 옥천군에도 도비 2억 주셔서 내일 반려동물 놀이터 개장식이 있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유재목 위원   오실 겁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다른 일정이 있어 가지고 못 갈 것 같습니다.
유재목 위원   자, ‘댕댕이와 함께하는 여행지도’ 혹시 들어 보셨나요?
○농정국장 반주현   들어는 봤습니다.
유재목 위원   열어 보셨어요?
○농정국장 반주현   반려동물 사이트가 많기 때문에 그것 말고도 또 여러 종류의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그런 게 많고, 유튜브도 제가 알기로는 반려동물과 하는 그런 유튜브가 가장 인기 있는 거로다가…
유재목 위원   이거 한국관광공사에서 선정한 ‘댕댕이와 함께하는 여행지도’가 시판이 됐어요.
  한번 보시고, 이제는 반려동물은 아까 국장님 말씀하셨듯이 가족이라고 했어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유재목 위원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놀이공원도 가고 또 어떤 여행지도가 이렇게, 반려동물과 웬만하면 못 들어가는 경우도 많아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유재목 위원   그런 것도 우리 충청북도에서도 제작을 하셔서 관광100선에는 못 올라가도 우리도 그런 어떤 자료가 좀 필요하지 않나…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위원님 말씀대로 필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유재목 위원   10월 달쯤이면 이거 자료 나올 수 있나요?
○농정국장 반주현   만들어 보겠습니다.
유재목 위원   감사합니다.
  위원장님, 이상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유재목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이종갑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종갑 위원   이종갑 위원입니다.
  설명자료 92쪽에 농업근로자 기숙사 건립 지원 사업과 관련해서 간단히 질의드리겠습니다.
  이게 보니까 공모사업에 금년에 선정이 된 것 같은데, 이건 외국인 계절근로자들의 숙소를 해결해 주는 그런 사업인 것 같아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맞습니다.
이종갑 위원   그런데 올해는 예산 2억 4,000 편성이 이번에 추경에 됐는데 국비 50% 지방비 50% 이런 것 같습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종갑 위원   그런데 이게 용도가 설계용역비인 것 같아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종갑 위원   그런데 이게 지금 보니까 3년, 금년부터 ’27년까지 사업으로 이렇게 돼 있는데 사업의 성격상 굳이 이걸 3년까지 할 필요가 있겠나…
  그러면 2억 4,000에 여기 사업 내용은 밑에 보니까 앙성면이라 그러는데 기존에 건물이 있는 걸 리모델링하는, 이렇게 돼 있는 것 같아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이종갑 위원   그러면…
○농정국장 반주현   제가 판단해도 2년이면 충분합니다.
이종갑 위원   예, 왜냐하면 이거 3년씩 하면 예산의, 어떤 사업의 성격상 이걸 3년씩 할 사업은 아닌 것 같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이종갑 위원   올해 설계해서 바로 리모델링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것도 아니고, 바로 그런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해서 숙소로 활용하려면 이렇게 3년씩 할 사업은 아니다, 이거는.
  그래서 올해 해서 내년에 마무리하고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이런 사업이 돼야지 이걸 3년씩 할 사업은 아닌 것 같아서…
  제 생각에 동의하시나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제가 봐도 이게 신규로다가 대개 부지 확보서부터 시작되는 사업으로다 해 가지고 농식품부에서 3년으로 편성된 것 같은데요.
  충주시 같은 경우에는 실질적으로다가 그냥 유통시설로다가 쓰고 있었던 걸 리모델링하는 그런 부분이기 때문에 2년 안에 충분히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이게 3년으로 책정돼 있어 가지고 그게 가능한지, 2년 안에 예산을 다 받아 가지고…
이종갑 위원   저도 걱정되는 게 국비가 있으니까…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종갑 위원   우리가 도비하고 시군비로만 하면 맘대로 할 텐데, 보니까 국비가 50%가 있어서 좀 어떻게 건의를 해서라도 이건 3년 할 사업이 아닌 것 같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종갑 위원   그걸 좀 관심을 가져 주시기 바라고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빨리 조치를 하겠습니다, 저희가.
이종갑 위원   네네.
  100쪽에 도시농부 관련해서 간단히 하나 질의드릴게요.
  이 도시농부 이번에도 추경에 한 120억 정도 이렇게 예산 편성을 하셨는데 이거는 사용자나 또 유휴인력이나 일자리 창출, 여러 가지로 모범적인 사업이다 이렇게 보는 거잖아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이종갑 위원   저한테 건의가 들어온 게 뭐냐 하면 이게 도시농부를 부르는 사람은 농지 규모에 상관이 없는데 참여하는 사람은 2,000㎡ 이상 농지를 소유한 사람은 도시농부에 참여할 수 없잖아요, 규정에?
○농정국장 반주현   예, 맞습니다.
이종갑 위원   그러다 보니까 이게 어떤 단순 농업은 상관이 없는데 적과를 한다든가 이런 고도의 숙련된 사람들은 이 제도가 활용이 안 되는 거예요.
  어떻게 보면 서로라는 건 그렇지만, 좀 도시농부 가서 이렇게 하고 싶은데 내가 농토가 2,000㎡ 있으니까 도시농부로 참여를 못해.
  그런데 쓰고자 하는 사람도 그렇고 그런 사람을 좀 숙련된 사람을 어떻게 보면 써야 되는데, 이거를 좀 어떻게 조정을 해 줬으면 좋겠다.
  이게 하여튼 세부적으로 이렇게까지 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건 어떤 유휴인력,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이런 제한을, “땅을 많이 가진 사람이 뭘 도시농부까지 하냐?” 이런 차원에서 이런 규제를 둔 것 같은데, 실질적으로 숙련된 사람을 필요로 할 때는 이게 딱 제한사항에 걸리니까 어려움이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그거에 어떤 방법이 있는지, 들어온 거를 제가 전달해 드리는 거예요.
  저한테 농민들이 이런 불만을, 이건 좀 해소해 달라 그러는데 제가 한번…
○농정국장 반주현   도시농부의 취지가 근본적으로는 도시에 있는 유휴인력을…
이종갑 위원   아니, 글쎄, 저도 충분히 압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웃음)
  그런데 현실에 또 가 보면…
이종갑 위원   현실에 안 맞는다 이거죠.
○농정국장 반주현   현실에 가 보면은 또 농업인인데, 어느 정도 내가 농지 규모가 있는데 사실 그거 갖고 먹고살 규모는 안 되는데도 불구하고 나는 농지가 이만큼 있어서 도시농부 하고 싶어도 못하는 부분…
이종갑 위원   못하는 거지.
○농정국장 반주현   그리고 불러주고 싶은데 못 부르는 부분 그런 부분이 있는데, 그래서 저희가 조금씩 조금씩 사실은 규모를 완화하면서 늘려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작년까지만 해도 2,000㎡, 경영체 등록으로다 돼 가지고 2,000㎡ 정도가 있는 부분이 있었는데 그걸 조금 늘려 가지고 3,000㎡로다가 늘리고 그래서, 저희가 해마다 조금씩 조금씩 개선을 하는 수준으로다가 지금 가고 있다 이렇게 말씀드리고요.
  갑자기 이걸 갖다가 늘렸을 때는 그거에 대한 부작용이 나올 수 있는 그런 게 있기 때문에 연착륙할 수…
이종갑 위원   사실은 농지가 많은 사람이 도시농부 가서 할 일이 뭐 있어요, 자기 거 하기도 힘든데?
  그렇잖아요?(웃음)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래서…
이종갑 위원   하여튼 이런 어떤 숙련된 사람들이 필요해서 쓰려고 그랬더니 그 제한에 걸려서 어렵다 이래서 제가…
○농정국장 반주현   위원님, 그건 좀 연착륙시킬 수 있도록, 저희가 그런 부분도 다 민원으로다가 듣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연착륙시킬 수 있도록 그렇게 조치를 하겠습니다.
이종갑 위원   예, 알겠습니다.
  다음은 152쪽∼153쪽 충북아쿠아리움 활성화 사업과 장수풍뎅이 조형물 이전 설치공사, 다 수산파크 거기에 관련된 사업이라서 질의를 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 우리 충북수산파크에 곤충체험관이 있어요, 현재?
○농정국장 반주현   예, 있습니다.
이종갑 위원   그건 언제 설치한 거예요?
○농정국장 반주현   작년도에 설치를 했습니다, 저희가.
이종갑 위원   그건 제가 예산을 다뤄본 적이 없는데 그건 어떻게…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 기술원에서, 기술원에 곤충사업부가 있지 않습니까, 기술원?
이종갑 위원   예, 곤충사업소가 있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곤충 그 기술원에서 설치를 해 가지고 인력이 파견 나와 가지고 있습니다. 예산 투자해 가지고 세운 건 아니고요.
이종갑 위원   그럼 공간만 제공을 해 주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저희는 공간을 제공했고 기술원은…
이종갑 위원   그 공간은 뭘로 쓰던 데예요, 그러면?
○농정국장 반주현   회의실이나… 회의실로 쓰던 공간, 2층 공간입니다.
  지금 현재 사무실의 2층 공간입니다.
이종갑 위원   규모는 기존 건 얼마나 돼요?
○농정국장 반주현   2층 전체를 갖다가 지금 곤충전시실로 쓰고 있습니다.
이종갑 위원   그런데 이게 지난해에 저희가 그러면 사무연구동 용역비…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종갑 위원   5,000만 원 해 준 거 뭘 할까 고민하다가 이걸 하시겠다는 거 아니에요?
○농정국장 반주현   아닙니다.
이종갑 위원   아니에요?
○농정국장 반주현   그건 아니고요.
  그때 5,000만 원 저희가 설계용역비를 세우려고 했던 거는 휴게시설, 그러니까 아쿠아에 휴게시설이 없습니다.
  그래서 키즈, 아이들 키즈카페형 휴게시설을 갖다가 한다고 저희가 5,000만 원, 그때 설계비만 일단 5,000만 원 하고 그 구상안은 위원님들하고 협의해 가면서 구상안을 만들겠다 그렇게 해 가지고 5,000만 원이…
이종갑 위원   그럼 지금 이 5,000만 원은 뭐예요? 이번에 추경에 세운 5,000만…
○농정국장 반주현   이거는 작년도에 섰는데 이거를 공기관 위탁사업비로 해 가지고 충북개발공사…
이종갑 위원   아! 사업명을 자체사업하겠다…
○농정국장 반주현   자체사업, 예예.
이종갑 위원   요건 사업 내용을 바꾼 거고…
○농정국장 반주현   통계목 변경해 가지고 우리가 직접사업하겠다 그런…
이종갑 위원   곤충체험관을 하겠다는 건 아니고!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이종갑 위원   예, 그건 알겠어요.
  일단…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가 한번 아쿠아리움에 곤충에 대해서 그동안에 위원님들도 궁금하신 점이 있고 그래 가지고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오시는 분들한테.
  저희가 한 3,000명, 3,063명한테 설문조사를 했는데 아쿠아리움에 저희가 좀 작지만 재방문할 의사가 있겠느냐 이렇게 물었더니 ‘그렇다’가 한 80%가 나왔고요. ‘보통이다’가 한 10% 그리고 ‘안 오겠다’는 부분은 뭐 9.47%, 10% 이하가 나와 가지고 얼마든지 재방문 의사가 있다 이렇게 조사가 됐고요.
  또 곤충에 대해서도 아쿠아리움을 관람하면서 좋았던 점은 뭐냐 그랬더니 물고기 관람이 37%가 나왔고요, ‘곤충 등 생태체험을 할 수 있는 게 좋았다’가 56%가 나왔습니다.
  곤충도 아이들한테도 좋은 그런 저기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말씀드릴 수 있고요.
  또 아쿠아리움뿐만 아니라 전시관 그리고 어류체험관 그리고 곤충전시관을 포함해 가지고 볼거리가 더 풍부해졌다고 느꼈느냐 그랬을 때 “그렇다”가 90%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이종갑 위원   아이들한테 곤충이 볼거리에 도움이 되고 좋아하는 건 당연할 것 같아요, 그건 아이들 입장에서.
  근데 본 위원이 생각할 때 이게 수산파크에 곤충이 맞냐라는 데에 이의는 있을 수 있는 거죠.
  당초에 우리가 충북수산파크를 만들 때의 사업목적에 거기 곤충체험관이 들어가는 이거는 사실은 없잖아요. 조례에도 없고 어디도 없는 건데 그게 맞냐에 대해서는 분명히 따져볼 필요가 있는데, 아이들이 와서 봤을 때 당연히 곤충체험관이 있으면 아이들 입장에서는 분명히 긍정적인 답변이 나올 수밖에 없죠.
  그거는 뭐 이해하겠고, 그다음에…
○농정국장 반주현   근데 위원님, 한 말씀드리면 저희도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아쿠아리움에 곤충이 맞느냐, 수산파크, 위원님처럼 그런 고민을 많이 했고 과연 곤충이라는 게 계속해서 있어야 되느냐.
  그래서 저희는 그러면 곤충을 아쿠아리움에 맞게 수생곤충으로다가, 이게 물속에 있는 곤충도 있거든요. 그래서 물속에 있는 수생곤충형으로다가 우리도 조금 더 변화를 시켜야 된다라는 생각이 있고요.
  또 이거를 크게 위원님이 좀 보시면 인구감소지역에 곤충, 아쿠아, 이거 따지지 말고 그냥 방문객이라도 많이 왔으면 좋겠다, 저희는.
이종갑 위원   지금 말씀은 충분히 이해하겠는데 그래도 우리가 법이 있고 조례가 있고 규칙이 있고 그러면 그 내용에 맞아야 되지 않겠느냐.
  그러면 지금 여기 근거는 「충북수산파크 운영 및 관리 조례」 4조를 하셨어. 그 4조를 보면 어디도 사실은 그건 없어요.
  그럼 4조에 아예 그거를, 지금 말씀하신 수상곤충이든 뭐를 4조에 하나 첨부시키든지 이렇게 하는 게 맞을 것 같다 이거지. 현재의 조례에는 맞지 않다, 이걸 지적드리는 거고요.
  그다음에 장수풍뎅이 조형물, 똑같아요. 이것도 거의 같지, 이게 규모·사이즈만 큰 거지 내용은 비슷한 거잖아요.
  지난번에 국장님이 저한테 한번 설명도 해 주시고 그래서 대충 제가 내용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이들은 곤충체험관과 연계해서 이거를 보는 걸 좋아할 수가 있겠는데 이런 큰 조형물들이 어느 순간에 이게 또 골치 아픈 골칫덩어리가 되는 걸 꽤 많이 봤어요.
  이런 곤충뿐만이 아니라 비행기라든가 잠수함, 배라든가 이런 거 많이 이렇게 전시해 놨다가 일정 기간 꽤 지나고 나면 이게 아주 골칫거리가 돼서 또 철거하고 이런 데 드는 비용이 굉장히 골칫거리가 되는 걸 제가 그전에 다른 데서 많이 봤는데요.
  혹시 이것도 그렇게 되지 않을까 염려가 좀 되는 겁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이건 전시…
이종갑 위원   이거를 이분이 공짜로 주는 거 아니에요, 공짜로?
○농정국장 반주현   예.
이종갑 위원   공짜로 주니까 우리는 이거를 조립해서, 철거해서 가지고 와서 설치를 다시 하는 거예요, 비용을 들여서.
  그래서 그런 측면도 좀 고려를 해야 되겠다. 과연 이게 나중에 그러지 않겠는가.
○농정국장 반주현   위원님, 저도 조형물 세워 가지고, 하여튼 큰 조형물 세워 가지고 언론에 예산 낭비 사례로다가 지적받은 그런 시군이 엄청 많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이종갑 위원   엄청 많죠.
○농정국장 반주현   이거 같은 경우에는 전시 시설물은 아니고요. 활용 시설물이기 때문에 전시는 전시대로 그 조형은 서 있지만 그 안의 내부를 갖다가 우리가 어류 도서관이라든지 그런 거로다가…
이종갑 위원   그럼 사이즈가 대충 어느 정도야?
○농정국장 반주현   이게 사이즈가 그 내부 공간이 이 정도 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이 됩니다, 이 정도.
이종갑 위원   아니, 팔로 이 정도라고 그러면 어떻게…(웃음)
○농정국장 반주현   이 공간…
      (장내 웃음)
이종갑 위원   몇 미터, 몇 미터 이렇게 구체적으로 해야지.(웃음)
○농정국장 반주현   높이는 4.5m고요.
이종갑 위원   8.5m?
○농정국장 반주현   4.5m, 높이는 4.5m고요.
이종갑 위원   높이가?
○농정국장 반주현   4.5m고요. 실내 면적은 약 16㎡니까…
이종갑 위원   5평 정도 되네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5평 정도. 그러니까 지금 현재 있는 게 이만합니다. 그리고 안에 내부…
유재목 위원   얼만데, 어마어마해?
이종갑 위원   5평 정도 되는 거네요, 5평, 16㎡면.
○농정국장 반주현   예.
이종갑 위원   하여튼 알겠고요.
  그래서 하여튼 그렇게 되지 않기를 바라서 말씀드리는 거고, 제가 조금 전에 말씀드렸던 곤충 이런 거를 거기다 하려면 조례도 좀 손볼 필요가 있다. 그걸 참고해 주세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알겠습니다.
이종갑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이종갑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면 제가 두 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우리 사업설명서 146페이지 추경 관련된 예산인데요.
  우리 국장님, 지금 축산시험장에 저희가 도립파크골프장을 조성하겠다 그래서 의견이 많이 분분하고 있습니다.
  그전에 우리 축산시험장 이전에 대해서 지금 추진 과정과 앞으로 남은 절차 그런 것 좀 설명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일단은 민선 6기·7기·8기까지 해 가지고 시험장을 갖다가 이전하는 문제는 계속해서 있었습니다.
  근데 민선 8기에 들어와서 또 그 이전 문제가 나오면서 궁극적으로 실행에 옮기게 된 거는 민선 8기가 되겠고요.
  일단 ’23년도, 그러니까 1월 달에 이전 지시가 있었고요. 영동군에서 후보지를 제출했습니다, ’23년도 2월 달에. 그리고 이전 계획을 저희가 지사님한테 결재 맡은 게 ’23년도 12월 달에 결재를 맡았고요. 그리고 작년도에 3월 20일 날 영동군과 MOU를 체결했고요.
  그리고 영동군에서 용역 보고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최종 보고가 후보지를 네 군데로다가 해 가지고 영동군에서 그 용역이 ’24년, 그러니까 작년도 12월 18일 날 끝났습니다.
  그래서 지금 지방재정투융자심사 의뢰가 들어가 있는 거고요. 그게 3월 달에 개최가 되면서 승인 여부는 4월 초에 나지 않을까 이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네, 우리 이전 문제가 지금 한 10년 이상 계속된 이유 중의 가장 큰 이유가 무엇일까요?
○농정국장 반주현   그러니까 저희가 동물위생사업소 내에 축산시험장하고 동물위생사업소가 같은 건물에 있습니다.
  그게 무슨 얘기냐 하면 가축을 종축하고 개량하고 생명공학 유전을 하는 부서하고 동물위생에서 방역을 담당하는 부서하고 같이 같은 부분에 있기 때문에 이거를 전국적으로다가 분리시켜야 된다.
  그러니까 혹시 우리가 우수 종자로다가 만들어 둔 게 방역이나 이런 거로 인해 가지고 감염이라든지 이런 게 우려되기 때문에 이거는 분리시켜야 된다고 그래 가지고 전국적으로다 분리가 되고 있는 상황이고요.
  아직 우리 도만 같이 있는 상황이고 전국은 다 분리가 된 상황입니다. 그래서 저희가 계속해서 우리는 분리를 해야 된다는 쪽으로다가 계속 이렇게 요구를 해 왔고 앞으로 분리되는 게 맞다고 생각이 됩니다.
○위원장 김꽃임   네, 그 이유도 있지만 여기 축산시험장에서 저희가 하고 있는 여러 가지 동물들 중에서 지금 소가 300두 정도예요.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위원장 김꽃임   그래서 우리가 축산시험장에 초지가 형성돼 있는 걸로 우리 소 300두 정도를 지금 다 소화를 못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대체 조사료 비용이 지금 해마다 들어가고 있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게 어느 정도 될까요?
○농정국장 반주현   지금 연간 조사료가 한 843t 정도 들어가는데요. 저희가 자급은 그중에서 배합사료가 261t이고 조사료가, 풀이, 풀로다 하는 게 582t이 되는데 저희가 그동안에 12㏊의 초지에서 자급했던 게 320t이었고요. 262t은 저희가 구입을 해서 쓴 상황입니다.
  그러니까 한…
○위원장 김꽃임   그러면 자급률로 따졌을 때 몇 프로인 거죠?
○농정국장 반주현   한 38% 정도.
○위원장 김꽃임   그렇죠? 자급률이 초지가 삼십…
○농정국장 반주현   팔 프로!
○위원장 김꽃임   38%뿐이 자급률이 안 돼서 지금 저희가 조사료 비용하고 또 해서 연간 들어가는 금액이 제가 예산서하고 다 확인했을 때 약 1억 정도거든요.
○농정국장 반주현   추가분만 하면 1억이고요, 더 많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렇죠, 작년도에 지출한 거?
○농정국장 반주현   예예, 작년도에 지출한 거는 1억이고요.
○위원장 김꽃임   그랬을 때 지금 가장 큰 문제가 초지가 부족하다는 거예요. 그렇죠?
  근데 지금 초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 초지 중에 얼마죠, 파크골프장으로 조성한다는 게?
○농정국장 반주현   5.5㏊.
○위원장 김꽃임   지금 5.5㏊를, 약 2만 평 넘게, 그렇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위원장 김꽃임   그렇게 지금 파크골프장을 조성한다는 건데 이랬을 시에 지금 조사료 비용이 저희 추경에 올라온 것도, 그래서 지금 약 1억 5,000 정도 더 증액을 해야 된다.
○농정국장 반주현   1억 4,700, 예.
○위원장 김꽃임   파크골프장 건립으로 인해서 초지가 없어지니까.
  근데 이게 1억 5,000이 문제가 아니고요. 우리가 지금 조사료 비용이 약 1억 넘게 들어갔다고 해요.
  그러면 이 파크골프장으로 조성하는 걸로 인해서 조사료 대체, 뭐 여러 가지, 지금 그게 내년부터는 그러면 예산이 한 3억 이상 든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농정국장 반주현   한 2억 정도 들어간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2억이 아니죠. 작년까지만 해도 1억 넘게 들었고요, 지금 추경에 올라온 게 1억 5,000이에요.
○농정국장 반주현   그거는…
○위원장 김꽃임   그럼 이것만 해도 2억 5,000인데?
○농정국장 반주현   2억 1,000 정도 되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을 하는데 그거는…
○위원장 김꽃임   제가 우리 담당하고 다 어제, 며칠 전에 확인했을 때 그럼 내년에 조사료 비용하고 추가 편성해야 될 게 총 3억 정도가 된다 이렇게 말씀하셨거든요.
○농정국장 반주현   그 답변의 부분은 A지구·B지구·C지구가 있습니다.
  근데 A지구에 만약에 파크골프장이 설립돼 가지고 공사가 시작된다고 그러면 C지구는 공사로다가 인해 가지고 초지를 당분간 공사 기간에는 사용할 수 없을 거로다가 이렇게 판단이 돼 가지고 그 사료분으로다가 한 거고요. B지구도 똑같습니다. 거기서 공사 기간 중에는 초지를 못 이용하니까 그 부분이고요.
  만약에 파크골프장이 금년도에 완공이 된다고 그러면 한 2억 1,000 정도면 소화가 가능하다 이렇게 됩니다.
  그래도 많이 9,000만 원 정도 늘어난 저기입니다, 초지가 없어지면서요.
○위원장 김꽃임   알겠습니다.
  일단 저희가 이거를 축산시험장에서 2월 달에 업무보고를 하실 때, 체육진흥과로 재산을 이전해서 파크골프장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했을 때 저희 위원회에서 위원님들이 대부분 부정적이셨어요. 그래서 조금 더…
  왜냐하면 그때만 해도 저희가 이전 장소도 확실하지 않고 그리고 지금 중투도 앞두고 있고요.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중투가 된다고 해도 행정절차 밟아서 저희가 예산 편성하고 공유재산… 공유재산은 이전에 관련돼서 그런 행정절차 다 밟아서 이 축산시험장을 영동으로 옮기더라도 지금 최소 몇 년 이상을 저희가 기다려야 되는 거죠?
○농정국장 반주현   한 4년 정도.
○위원장 김꽃임   그러니까요.
○농정국장 반주현   완전하게 이전될 수 있는 게 한 4년 정도로다가…
○위원장 김꽃임   완전하게 이전되기도 전에 지금 파크골프장을 초지를 없애가면서 조성한다고 해서 문제가 되는 거거든요.
  그래서 우리가 의회에서도 부정적인 의견을 했어요, 재산을 체육진흥과로 이전하는 부분에 있어서.
  그리고 우리가 초지도 부족해 갖고 이렇게 조사료 비용도 들어가고 있는 상황에 조금 더 행정절차가 진행되고 나서 완전히 영동으로의 이전이 확정되고 그다음에 여기의 활용방안을 숙의도 좀 하고 그래서 우리가 여러 가지로 검토를 해 봐야 되는데, 지금 너무 여러 가지로 논란이 되고 있는 거에 대해서 굉장히 저는 우려스럽고요.
  일단 우리 파크골프장 관련된 조성 사업비 47억 원은 지금 행문위에서 문체국 질의응답하고 있습니다.
  그 예산과 별도로 저희는 이 조사료 비용에 대해서, 추경에 올라온 1억 5,000에 대해서 우리가 심의를 할 거고요.
  그래서 저는 절차나 이런 것들은 조금 더 중장기 계획을 가지고 숙의하고 논의하고 해야 된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래서 이거 관련돼서는 일단 그렇게 지금 의견을 표명하고요.
  한 가지 더 말씀드릴 거는 대우초등학교, 제가 우리 대우초등학교를 다녀왔습니다.
  그래서 가서 우리 위원님들하고 일정이 안 맞아서 예산 심의할 때 현장이 좀 필요해 가지고 지금까지의 진행 과정과 주변 상황 이런 것들을 조금 사진과 동영상으로 찍었는데요, 이거 일단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사진을 제가 찍은 거거든요.
  지금 대우초등학교 공사 중이고 이 주변에 심텍 연수원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이게 지금 화양구곡하고 관련된, 화양계곡의 구곡 그거잖아요? 그래서 데크길도 저쪽 편에 다 해 놨더라고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2㎞, 거기서 걸어서 2㎞ 가면 화양동으로다 들어갑니다.
○위원장 김꽃임   예, 그래서 주변에 펜션도 있고 화양구곡의 한 자락으로 제가 봐도 위치나 여러 가지 조건들은 대우초등학교가 굉장히 지금 여러 가지 사업을 하기에 위치 선정이나 이런 것들은 괜찮다, 주변환경과,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여기 지금 운동장에다 캠핑장을 하실 거죠?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가 차박지하고…
○위원장 김꽃임   예, 차박.
○농정국장 반주현   예, 차박하고 캠핑, 그러니까 지금 저기에 6실이 있는데 4인실이 2동, 2인실이 4동 그래서 6실이 있고, 그리고 다함께공간이 있고 카페 공간을 갖다가, 카페를 만드는 공간 그 공간을 저희가 집어넣으려고 그러는데 수익구조를 조금 어느 정도 생각을 한다 그러면 저 정도로다가 해 가지고 수익구조가 나는 거는 얼마 수익구조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그래 가지고 수익구조를 조금 더 높이려 그러면 차박과 캠핑이 병행되어야 되지 않겠느냐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예, 제가 봤을 때 차박 캠핑장소로도 괜찮더라고요.
  그래서 지금 옆에 보면 하나는 철거를 해 갖고 조립식으로 60평을 짓는다고 하더라고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그렇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래서 그 옆의 거 내부 리모델링하고 여러 가지로 해서 여기를 지금 하고 있는 상황인데…
  (사무직원에게)빨리빨리 넘기셔도 될 것 같아요, 예.
  이거 지금 준공 예정은 언제로 생각하고 계시죠?
○농정국장 반주현   저쪽의 숙소형은 지금 4월 말까지 완공이 되는 걸로다 목표로 하고 있고요.
  그 옆에 60평 짓는 거는 저희가…
○위원장 김꽃임   (사무직원에게)넘기셔도 돼요.
○농정국장 반주현   6월 말까지 완공할 예정으로 있는데 저건 기부금으로다가, 포스코에서 준 기부금으로다가 하기 때문에 기초가, 겉이 완공이 되면 저희가 기부채납 받을 계획으로다가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예예.
  제가 동영상 촬영한 건데요…
  그런데, 이번에 그러면 약 7월 달 그렇게 보시는 거죠?
○농정국장 반주현   7월 달에는… 아마 최종 완공되는 건 6월 말로다가 완공이 되고요. 7월 달에는 시범적으로 돌리고 실질적으로 운영시킬 거는 8월 달에 운영시키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예, 알겠습니다.
  (사무직원에게)이제 영상은 꺼 주셔도 될 것 같고요.
  여기 관련돼서 저희가 많은 논란도 있었고 사실 저희가 이게 상임위에서는 예산을 부지 매입비는 삭감을 했고 예결위에서 다시 살아나서 지금 부지 매입이 완료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교육청과, 우리가 22억에 그 부지 매입비를 왜 굳이 냈었어야 되는지 지금도 저는 이해가 안 되거든요.
  사실 장기임대로 저희가 기관 대 기관으로 해 갖고 지금 폐교 활용해서 하고 있는 시군의 여러 가지 폐교 사업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그런 것들을 봤을 때는 지금도 저는 교육청과 협약을 해서 폐교 활용을 했을 때는 임대료를 많이 할인해 주고 해서 장기임대 쪽으로 가야지 지금 일단 여기에 22억과, 그러면 17억 정도였는데 추경에 5억이 더 올라왔어요.
  그럼 23억이에요. 45억 이상이 투자되는 겁니다, 일단은.
  그랬을 때 수익을 많이 내야 된다는 거죠.
○농정국장 반주현   예.
○위원장 김꽃임   그런데 지금 일단은 제가…
  이 운영은 어떻게 하실 건가요?
○농정국장 반주현   저희는 운영에 대해서 좀 심도 높게 검토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전국을 다니고 있습니다, 사실. 전국에 이런 생태문화 레지던스 시설이 된 데를 방문을 하고 있고요.
  결론적으로 마을에서 운영한다든지, 폐교를 마을에서 운영한다든지 이런 곳은 다 적자더라고요. 그래서 저희는 그런 운영은 안 할 계획이고요.
  저희는 가급적이면 우리 11개 시군이 연합된 청년농업인들한테 그 운영을 맡길 계획으로다가 있습니다.
  그래서 젊은 사람들이 움직이는 그런 조직이 되고 구심점이 거기가 돼서 청년농업인들의 어떤 본거지가 대우초등학교를 시작으로 해서 충북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그렇게 만들 계획으로다가 있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예, 그래서 저도 운영계획을 듣고 11개 시군의 우리 청년농업인연합회에서 운영을 한다고 했기 때문에 그러면 이 예산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겠다.
  부족분이 5억이 더 올라왔지만 저희가 연합회의 우리 청년농들이 여기를 롤모델로 해서 이 사업이 성공할 수 있으면 각 시군에도 이런 게 한 개씩 정도 생길 수 있다는 얘기고요.
  나중에 누가 되든지 간에 여기가 시범적으로 해서 성공을 하면 각 시군에도 좀 해 주시길 제가 여기 남아계신 분들에게 부탁을 드릴게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명심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때 땅도 사 주시고요, 다른 시군에도 그렇게 해 주시고.
  연합회에서 운영하고, 여러 가지로 그래서 우리 청년농들이 정말 여기서 하나의 공간을 활용해서 청년농과 관련된 여러 가지 복합사업들 있죠, 지금 판로나 유통?
  그리고 여기가 화양계곡이 굉장히 유명한 데거든요.
  그래서 9곡, 1곡·2곡·3곡 이래 가지고 9곡 이렇게 쫙 됐는데 어유, 굉장히 멋있더라고요.
  제가 봤을 때 괴산도, 여기를 괴산군하고도 협업해서 연계되는 것들도 조금 더 보완하고 더 확충하고 이런 것들이 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우리 괴산군의 입장은 혹시 뭐가 있을까요?
○농정국장 반주현   뭐 괴산군도 저희가 워낙 의지가, 지금 농정국이나 농정부서에서 저 대우초를 살리겠다는 의지가 엄청 강합니다.
  그래서 전 행정력을 다 동원해 가지고 지금 대우초를 대한민국의 진짜 중심인, 청년이 중심인 곳으로 만들겠다는 그런 생각으로다가 할 거고 앞으로도 그렇게 조치를 하고 운영할 계획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예, 그래서 그 진입도로 좀 괴산군에서 포장 좀 하시라 그러시고요.
  제가 보니까 포장이 좀 필요하더라고요.
○농정국장 반주현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얼마 되지도 않습니다. 한 50m? 그건 괴산군에서 하시라 그러고, 그래서 괴산군도 같이 협업해서 우리 롤모델이 성공할 수 있도록…
  그리고 조건은 저도 우리 위원님들 의견은 어떠실지 모르겠지만 정말 연합된 청년농 그분들한테 이 사업을 맡겨서 저희가 최대한, 임대료 받아야 되는 걸 최대한 할인하고요, 그렇게 해서 위탁금 주고 이렇게 해서 여기서 롤모델로 운영하고 많이 자주 모여서 우리 충북의 농업이 지속성장 가능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그러면 더 추가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추가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 답변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조례안을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8. 충청북도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유재목 의원 등 7인 발의)
(16시08분)

○위원장 김꽃임   의사일정 제8항 충청북도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상정합니다.
  대표발의하신 유재목 의원님께서는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재목 의원   유재목 의원입니다.
  본 의원이 대표발의한 충청북도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조례안은 귀농어업·귀촌인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는 마을에 대한 마을지원금 지급 및 환수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여 귀농어·귀촌 유도 및 귀농어업·귀촌인의 안정적인 농어촌 정착을 도모함은 물론, 알기 쉬운 자치법규 정비기준에 따라 전문을 정비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고 이 조례안 개정으로 마을지원금을 지원하여 귀농어업·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 및 지역사회 융화에 기여할 것을 기대합니다.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충청북도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부록에 실음)
○위원장 김꽃임   유재목 의원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충청북도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반주현 국장께서는 동 조례의 시행과 관련하여 문제점이나 특별한 의견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정국장 반주현   유재목 의원님께 귀농·귀촌에 깊은 관심을 가져 주셔서 고맙다는 말씀을 드리고요.
  귀농·귀촌인이 지역사회와 융화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조례안에 대하여 별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질의 답변을 마치고 의결토록 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8항 충청북도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원안대로 의결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반주현 국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
  자료 준비와 성실한 답변을 위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예산안 심사 준비를 위하여 정회한 다음 속개토록 하겠습니다.
  정회를 선포합니다.
(16시10분 회의중지)

(16시19분 계속개의)

○위원장 김꽃임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바.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위원장 김꽃임   계속해서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소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최복수 청장께서는 발언대로 나오셔서 제안설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입니다.
  존경하는 산업경제위원회 김꽃임 위원장님과 위원님 여러분!
  항상 저희 충북경제자유구역청 현안에 적극적인 지원과 성원을 보내 주신 데 대해 깊이 감사드리며,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소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소관 세입예산 총규모는 188억 7,734만 원으로 기정예산 대비 0.7% 증가한 1억 3,522만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세출 총규모는 294억 852만 원으로 기정예산 대비 7.8% 증가한 21억 3,494만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그러면 사업명세서에 따라서 세입세출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업명세서 221쪽, 세입예산 부분입니다.
  먼저 국고보조금수입은 2개 사업으로 청정 제조기반 구축사업에 9,000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으며, 청년 도전 지원사업에 7,98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으로 구역청 투자유치 지원사업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이 감액되어 내시됨에 따라서 4,861만 원을 감액하여 계상하였으며, 국제학교 설립 타당성 조사용역 국고보조금 사용 잔액 1,403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습니다.
  이어서 세출예산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업명세서 222쪽입니다.
  구역청 투자유치 지원 국고보조금이 감액됨에 따라서 충북경제자유구역 홍보활동 2개 사업에 대해 1,861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으며, 오송 국제 K-뷰티아카데미 건립 사업은 도비로 기이 편성한 시설비 18억 8,700만 원 중 9,100만 원을 감리비로 통계목을 변경하였습니다.
  사업비 총액은 변동 없습니다.
  다음은 223쪽입니다.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라서 청년 도전 지원사업비 1억 3,58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으며,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 선정에 따라서 청정 제조기반 구축사업비 2억 1,000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습니다.
  그리고 경제자유구역 추가 대상지 확대 지정 승인을 위한 용역비 3억 5,000만 원, 오송 바이오메디컬지구 진입도로 건설사업에 대한 충북개발공사 업무대행 위·수탁 수수료 정산분과 국공유지 추가 매입 등에 따른 보상비 13억 7,498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습니다.
  구역청 투자유치 지원 국고보조금이 감액 내시됨에 따라서 투자유치활동 지원 5개 사업에 대해 총 3,0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세부내역은 224쪽에 벤처캐피탈 매칭 투자설명회 350만 원, 항공산업 정책자문단 세미나비 350만 원, 국내외 기업 초청 투자유치 설명회 1,000만 원, 해외 투자유치 여비 760만 원, 민간인 국외여비 540만 원을 각각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25년 1월 기준 경자청 정원이 1명 감소함에 따라서 급량비, 여비 등 기본경비 203만 원을 감액 계상했습니다.
  끝으로 225쪽, 청주에어로폴리스 3지구 조성사업 지방채차입금 이자 상환을 위해 1억 27만 원, 국제학교 설립 타당성 조사용역 국고보조금 집행잔액 및 이자 반납을 위해 1,453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존경하는 김꽃임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지금까지 설명드린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국비 내시에 따른 세입세출 조정이나 도비 부담금 계상, ’24년도 사업비 잔액 반납 등과 함께 경자구역 활성화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비만을 계상하였습니다.
  경제자유구역청의 당면 현안업무를 보다 내실 있게 추진할 수 있도록 원안대로 심사해 주실 것을 건의드리면서 이상으로 경제자유구역청 소관 추가경정예산안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꽃임   청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는 전자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소관에 대한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이어서 질의 답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질의에 앞서 집행기관에 요구할 자료가 있으신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를 요구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 답변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박경숙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박경숙 위원   박경숙 위원입니다.
  206쪽의 청년도전 지원사업에 대해서 질의하겠습니다.
  청장님, 우리 전국에 구직을 포기한 청년이 한 몇 명 정도 된다고 알고 계세요?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경제…
박경숙 위원   정확한 숫자는 아니어도 상관없습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글쎄요, 몇십만 되지 않을까 그냥 그렇게 생각합니다.
박경숙 위원   네, 52만 명 정도 된다고 저는 알고 있는데요.
  혹시 그러면 충북은 몇 명 정도 될까요?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비율에 따라서 한 1만 5,000 이렇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박경숙 위원   네네, 청년도전 지원사업은 단순히 취업을 지원하는 차원이 아닌 구직활동을 포기한 청년에게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해서 구직 의욕을 고취시키고 노동시장에 참여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우선 작년에 적극적인 사업 운영을 통해서 충청북도가 최우수 지자체에 선정된 점, 그 노고를 치하드립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감사드립니다.
박경숙 위원   ’23년에는 4단계 성과평가에서 3등급을 받았는데 ‘보통’으로, ’24년에는 1등급 최우수를 받았습니다.
  평가가 크게 올랐는데 어떤 점이 개선되었고 또 경자청 차원에서는 어떤 노력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일단은 저희가 이쪽의 청년도전 사업을 ‘잡스’라는 회사하고 같이 사업 수행을 하게 하면서 구직단념 청년 또 자립준비 청년 또 여러 가지 대상자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노력을 많이 했고요.
  또 발굴하면서 이 사업에 대해서 홍보를 좀 여러 가지로 강화했습니다. 온라인이라든가 오프라인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모집하고 또 그러면서 여러 가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 사업을 진행한 것이 중앙에서 좀 부각된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네, 또 인건비라든지 참여수당, 인센티브,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인건비는 어느 부분을 말씀하시는 거죠, 인건비? 강사님들 인건비 말씀하시는 건가요?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거기에 대응을 하려니까 강사도 있고 여러 가지, 운영자에 대한 인건비로 알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시행주체는 잡스인데 그럼 경자청에서는 주로 어떤 역할을 하셨습니까?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이 사업을 저희가 그냥 주고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사업에 대한 모니터링하고 또 여러 가지 홍보라든가 이런 쪽에 같이 해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러면 ’23년도에는 몇 명을 교육시킨 거라고 할 수 있을까요?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23년… ’23년도는…
박경숙 위원   올해는 지금 보니까 240명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렇죠, 예정을?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박경숙 위원   아니 뭐, 정확히 자료가 없으면…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23년도 대비 어느 정도 저거 됐느냐?
      (「200명」하는 이 있음)
박경숙 위원   200명 정도?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200명 정도로 알고 있는데…
박경숙 위원   그러면 보통 해마다 200명 정도 남짓 인원을 교육시키는 건가요?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그게 교육할 수 있는 인원에…
박경숙 위원   한계가 있으니까? 예산도 또 그렇고요?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만약에 많다면 좀 늘려야 되겠죠.
박경숙 위원   네, 혹시 교육받은 그 청년들에 대한 학력이라든지 뭐 그런 것도 좀 조사한 게 있으신가요?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우리 기획부장님이 답변하도록…
박경숙 위원   네네, 말씀해 주세요.
○기획행정부장 노정호   기획행정부장 노정호입니다.
  박경숙 위원님 질의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좀 전에 말씀하신 실적 관련 부분에서는 저희가 매년 목표를 240명을 잡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매년? 예예.
○기획행정부장 노정호   그런데 ’23년도에는 저희가 최종적으로 조금 미진해 가지고, 그래도 저희가 26개 사에 40명을 최종적으로 취업 연계를 시켰습니다.
  그리고 ’24년도 1년 실적이 저희가 애초에 발굴을 467명을 했고요. 그리고 또 그 인원을 선발하는데 193명을 선발했습니다. 그래서 이수를 173명이 하셔서 최종적으로 취업 지원을, 저희가 48명 정도 취업이 되셨습니다, 최종적으로.
박경숙 위원   아유, 그렇구나!
○기획행정부장 노정호   그래서 저희가 실적이 ’23년도보다 굉장히 좀 많이 나왔고요.
  아까 말씀하신 학력이나 그런 거는 이분들이 대부분 구직 단념 청년들이고 또 자립시설 같은 데서 자립을 위해서 나오시는 청년들하고 또 청소년쉼터라든가 그런 데 있는 곳에서 나오시는 분들까지 저희가 이거를 발굴하기 위해서…
  아까 말씀하셨는데 저희 지역청년고용협의회라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역청년고용협의회가 9개 기관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청주고용지청하고 도내 대학일자리센터 또 저희 도내 자립지원 전담기관 등으로 해 가지고 고용지원협의회에서 모여서 이거를 어떻게 모집을 하고 또 이분들한테 어떤 프로그램을 할 건지를 협의하고 계획을 세워서 저희가 모집하고 선발하는 과정인데요, 아까 말씀하신 대로 학력은 대략적인 거는 나와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아, 괜찮습니다.
  일단은 발굴해서 끌어내기까지가 그게 쉬운 게 아니었는데…
○기획행정부장 노정호   네, 그 과정에서 저희가 전담 상담사라든가 컨설팅이라든가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지금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이거를 매월 보고를 받고 지도·점검을 하고 또 어떻게 취업이 되고 잘 유지가 되고 있는지까지 점검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렇죠, 사후관리까지 또 하셔야 되니까요.
○기획행정부장 노정호   사후관리까지 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많은 기관들의 협력이 필요했네요.
○기획행정부장 노정호   네네, 그래야지 또 운영이 되고 모집이 되기 때문에요.
박경숙 위원   그렇죠, 네네.
  ’24년에는 72개 지자체가 참여했는데 올해는 참여 지자체 규모가 10% 이상 감소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국비 지원 보니까 굉장히 액수가 큰데, 비율이 높은데 왜 지자체의 참여가 감소할까요?
○기획행정부장 노정호   이거 업무를 하다 보니까…
박경숙 위원   너무 힘들어서?
○기획행정부장 노정호   이 업무가 그렇게 쉽게 쉽게 실적이 나오는 업무가 아니더라고요.
  그래서 어떤 사명감을 가지고 도내의 청년들을 위해서 이렇게 좀 일을 해야 되겠다라는 지자체들은 계속 사업을 이어가고 있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럼 그런 면에서 또 우리 충청북도는 대단하다고 할 수가 있겠네요.
○기획행정부장 노정호   네, 노력하고 있습니다.
박경숙 위원   그동안 노고가 많으셨고요.
  그러게요, 프로그램을 이수한 청년들이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23년도 또 ’24년도 구직으로까지 연결된 것도 정말 감사하고요. 또 구직을 단념했던 청년들에게 다시 구직 의욕을 심어줬다는 게 참 크다는 생각이 들고요.
  앞으로 사회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는 점만으로도 충분히 의미가 있는데 실질적으로 또 직장에 잘 근무할 수 있도록 사후관리까지 하고 계시다니까 그 점을 높이 사고 싶습니다.
  올해도 청년들에게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또 우리 충청북도가 최우수 지자체가 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획행정부장 노정호   네, 알겠습니다.
박경숙 위원   이상 질의 마치겠습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위원님, 저도 잘 챙겨보겠습니다.
박경숙 위원   네, 감사합니다.
○위원장 김꽃임   박경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제가 마지막으로 한 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경자청 추경 예산 관련돼서 보면 일단 대응사업하고 경자구역 확대 지정 승인 용역사업 3억 5,000 신규사업 이거 1건 외에는 큰 건, 다른 예산 편성은 없습니다.
  혹시 우리 예산부서에 요구했는데 반영 안 된 게 여러 건이 있을까요, 청장님?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위원장님 감사합니다.
  아직은 그런 건이 없고요. 제가 와서 추가로 좀 임팩트를 담아서 할 사업들은 생각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위원장님이 아주 좋은 말씀을 해 주셔서 그런 것에 대해서 미리 좀 말씀도 드리고 그리고 저희가 집행부 내에서 하는 노력도 강화하겠습니다.
  몇 가지 있는데 아직은 뭐 저희가 1회 추경 때 반영할 사항들은 그렇게까지는 없었고요.
○위원장 김꽃임   알겠습니다.
  우리 청장님이 또 능력 있는 분이 오셔서 경자청을 안정적으로, 또 지금 잘 추진되던 여러 가지 사업들도 점검해 주시고 해서 좀 안정이 됐고요.
  그랬을 때 우리 국제도시 오송, 뭐 여러 가지, 경자구역 확대 지정 건, 앞으로 남아 있는 여러 건들에 대해서 좀 점검도 해 주시고 또 새로운 사업 관련돼서 구상하시고 또 예산부서랑 얘기하실 때 저희 위원회에도 정보를 공유해 주시면 저희 위원님들과 의논해서 저희도 예산 편성할 때 같이 협조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한 가지만 질의드릴게요.
  지금 경자구역 확대 지정 승인 용역 부분에서 ’25년 3월 달부터 시작해서 이 용역 수행 기간이 내년 12월까지인데 이걸로 인해서 승인 절차를 밟아나가는 거죠?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진행하면서, 산업부에 지정 신청하면서 진행 과정을…
○위원장 김꽃임   그렇죠, 하면서 같이 하는 거죠?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위원장 김꽃임   그러면 이걸로 하면 저희 충북의 경제자유구역이 확대 지정되는 거는, 승인 나는 거는 어떻게 예측하면 될까요? ’26년 말이나 ’27년?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아니요, 그전에… 진행하면서 할 거니까, 내년 말까지는 용역 기간을 최대로 잡은 거고 그사이에 하려고 합니다, 되도록이면 올해나 내년 초 정도까지.
○위원장 김꽃임   네네, 그러면 일단 어디 어디 이런 부분들은 최종적으로 지정되는 그 부분에 산자부에서 승인까지는 난다 이 말씀이신 거죠?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하여튼 내년 6월까지를 목표로 일단 잡고 있고요.
○위원장 김꽃임   내년 6월?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그리고 저희가 확대하는 데를 단기·중기 나누어서 이번에 할 거는 4개 지구 정도 추진하려고 그러고요. 오송 3지구라든가 이런 데는 진행하면서 할 예정입니다.
○위원장 김꽃임   알겠습니다.
  그러면 제가 봤을 때 용역 착수보고회를 하실 것 같아요. 착수 보고하실 때 저희 위원회도 공유해 주시고 하셔서 저희도 같이 여러 가지 위원님들과 우리 주민 의견은 좀 전달해야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정보 공유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최복수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위원장 김꽃임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소관 질의 답변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최복수 청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 자료 준비와 성실한 답변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예산안 조정을 위하여 정회한 다음 속개토록 하겠습니다.
  정회를 선포합니다.
(16시37분 회의중지)

(16시57분 계속개의)

○위원장 김꽃임   의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1.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2.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충청북도지사 제출)(계속)
○위원장 김꽃임   위원님들과 간담회에서 협의한 예산안 조정결과를 보고드리겠습니다.
  산업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에 대한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과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한 조정결과를 보고드리겠습니다.
  우리 위원회에서는 소관 부서별로 심사 과정에서 제기된 여러 의견을 신중히 검토하고 심도 있는 토론을 거친 결과 사업예산 일부를 조정하였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세입예산안은 원안대로 의결하기로 하였으며,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은 총 2개 사업 1억 6,987만 원을 삭감 조정하기로 하였습니다.
  조정내역을 말씀드리면 과학인재국 소관 1개 사업 2,200만 원, 농정국 소관 1개 사업 1억 4,787만 원을 각각 삭감하기로 하였습니다.
  다음으로 2025년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해서는 특별한 이견이 없으므로 원안대로 의결하기로 하였습니다.
  사업별 조정내역은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산업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의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과 2025년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한 조정결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방금 보고드린 내용에 대하여 각 안건별로 의결토록 하겠습니다.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보고드린 예산안 조정결과와 같이 의결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2025년도 제1회 충청북도 추가경정예산안 조정결과는 부록에 실음)
  의사일정 제2항 2025년도 충청북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하여 원안대로 의결하고자하는데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위원님 여러분!
  원만한 회의 진행과 안건 심사를 위해 협조해 주신 위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상으로 제424회 충청북도의회 임시회 제1차 산업경제위원회를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7시00분 산회)


○출석위원(6인)
  김꽃임    박경숙    유재목    이의영
  이종갑    임병운
○청가위원(1인)
  이옥규
○출석전문위원
  수석전문위원이종섭
○출석공무원
·경제통상국
  국장김두환
  경제기업과장강창식
  일자리정책과장정영수
  소상공인정책과장이장연
  에너지과장전광호
  국제통상과장박유정
·과학인재국
  국장김수인
  과학기술정책과장이혜란
  산업육성과장강미경
  미래인재육성과장전영미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전도성
·투자유치국
  국장문석구
  투자유치과장김두환
  산단관리과장김민정
  기반조성과장허  혁
  혁신도시발전과장김기원
·농정국
  국장반주현
  농업정책과장강찬식
  스마트농산과장황규석
  농식품유통과장용미숙
  축수산과장최동수
  동물방역과장김원설
  동물위생시험소장변정운
  농산사업소장장영진
·농업기술원
  원장조은희
  연구개발국장김주형
  기술지원국장최재선
  분원장윤철구
  행정지원과장박은숙
  작물연구과장이윤상
  스마트원예연구과장이경희
  농업환경연구과장김민자
  지원기획과장류지홍
  기술보급과장여우연
  농촌자원과장피정의
  곤충연구소장박계원
  마늘연구소장황세구
  수박연구소장최원일
  유기농업연구소장박재호
  포도연구소장이재웅
  대추연구소장이종원
  와인연구소장윤향식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청장최복수
  본부장최성규
  기획행정부장노정호
  개발사업부장홍명기
  투자유치부장윤정수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김국기

김국기

  • 이 름 김국기
  • 선 거 구 영동군
    (영동읍, 용산면, 황간면, 추풍령면, 매곡면, 상촌면, 양강면, 용화면, 학산면, 양산면, 심천면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87
  • 이 메 일 kkk9866@hanmail.net
  • 소속위원회 행정문화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용산초등학교 졸업
  • 용문중학교 졸업
  • 영동고등학교 졸업
  • 충북대학교 철학과 졸업

경력사항

  • (전)영동고등학교 운영위원장
  • (전)충청일보 편집국 국장
  • (전)자유한국당 충북도당 부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원장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김정일

김정일

  • 이 름 김정일
  • 선 거 구 청주시 제3선거구
    (영운동, 용암제1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47
  • 이 메 일 kji0525@hanmail.net
  • 소속위원회 교육위원회,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충북신용보증재단

학력사항

  • 도원초등학교 졸업
  • 문의중학교 졸업
  • 신흥고등학교 졸업
  • 성결대학교 지역사회개발학과 졸업
  •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교육과학과 상담심리전공(교육학석사)
  •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상담학전공(상담학석사)
  • 목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문학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교육학박사수료)
  • 호서대학교 대학원 목회상담전공(철학박사)

경력사항

  • (현)청주시장애인볼링협회장
  • (현)사단법인 대한청소년문화체육회 총재
  • (현)서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빙교수
  • (현)용아중학교 운영위원장
  • (전)이은학교 운영위원장
  • (전)글로벌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특임교수
  • (전)충북보건과학대학교 청소년문화복지과 교수
  • (전)드림인아동청소년연구소 소장
  • (전)사회복지법인 마당 대표이사(청천재활원, 희망재활원)
  • (전)충북지적발달장애인복지협회 회장
  • (전)충청북도장애인단체연합회 부회장
  • (전)청주YMCA이사
  • (전)행복드림플러스원장
  • (전)사회복지법인 소망원 원장
  • (전)보은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센터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김성대

김성대

  • 이 름 김성대
  • 선 거 구 청주시 제8선거구
    (옥산면, 운천·신봉동, 봉명제2·송정동, 강서제2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42
  • 이 메 일 lovetank@hanmail.net
  • 소속위원회 교육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한양대학교 졸업
  • 충북대학교 세종국가정책대학원(석사) 정책학과 재학중

경력사항

  • (현)리앤브라더스컴퍼니 감사
  • (현)충북학연구소 자문위원
  • ROTC 37기 육군대위 전역
  • (전)흥덕구 자율방범대 자문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간행물편집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윤리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원장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재)충북문화재단대표이사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김꽃임

김꽃임

  • 이 름 김꽃임
  • 선 거 구 제천시 제1선거구
    (봉양읍, 백운면, 송학면, 의림지동, 중앙동, 영서동, 용두동, 청전동)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91
  • 이 메 일 kkochim@naver.com
  • 소속위원회 산업경제위원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충북신용보증재단, 충북테크노파크

학력사항

  • 제천여자고등학교 졸업
  • 서원대학교 생물교육과 2년 중퇴

경력사항

  • (전)제천시 노인회관 운영위원
  • (전)제천시 단기보호센터 인사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장
  • (전)제6대 제천시의회 의원
  • (전)제7대 제천시의회 의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원장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부위원장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이상식

이상식

  • 이 름 이상식
  • 선 거 구 청주시 제9선거구
    (복대제1동, 봉명제1동 )
  • 소속정당 더불어민주당
  • 사 무 실 043-220-5071
  • 이 메 일 wcs1218@hanmail.net
  • 소속위원회 정책복지위원회, 청주국제공항활성화지원특별위원회, (재)충북연구원

학력사항

  • 서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관광학과 졸업
  •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관광학과 석사

경력사항

  • (현)복대중학교 운영위원
  • (전)충북장애인부모연대 자문위원
  • (전)(사)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집행위원, 상임이사
  • (전)노영민 국회의원 비서관·보좌관
  • (전)한국해양소년단 충북연맹 이사
  • (전)흥덕자율방범연합대 자문위원
  • (전)진흥초등학교 운영위원장
  • (전)충북도의회 대변인
  • (전)충북도의회 간행물편집위원회 위원장
  • (전)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전)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 수석대변인, 교육연수원 부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지원 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청주국제공항활성화지원을위한특별위원회 위원장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김종필

김종필

  • 이 름 김종필
  • 선 거 구 충주시 제4선거구
    (금가면, 동량면, 산척면, 엄정면, 소태면, 성내·충인동, 문화동, 봉방동, 칠금·금릉동, 목행·용탄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74
  • 이 메 일 rei2004@naver.com
  • 소속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정책복지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청주국제공항활성화지원특별위원회, (재)충북연구원

학력사항

  • 성남초등학교 졸업
  • 미덕중학교 졸업
  • 대원고등학교 졸업
  • 주성대학 인터넷가상현실학과 졸업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대학원 재학

경력사항

  • (현)서울유통㈜ 대표
  • (현)충주사회복지사협회 이사
  • (현)충주버팀목집수리봉사단 고문
  • (현)충주고등학교 운영위원회 위원장
  • (전)한국자유총연맹 충주시지회 청년회장
  • (전)바르게살기운동 충주협의회 이사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부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부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인구소멸대응 대책 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지원 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김현문

김현문

  • 이 름 김현문
  • 선 거 구 청주시 제14선거구
    (율량·사천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75
  • 이 메 일 jikji000kim@naver.com
  • 소속위원회 정책복지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청주국제공항활성화지원특별위원회, (재)충북연구원, 충북테크노파크

학력사항

  • 가양초등학교 졸업
  • 미원중학교 졸업
  • 청주대성고등학교 졸업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졸업
  •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졸업

경력사항

  • (현)충청북도균형발전위원회 위원
  • (현)국민의힘 충북도당 부위원장
  • (현)국민의힘 충북도당 막힘없는 출퇴근대책위원회 위원장
  • (전)국민의당 충북도당 위원장
  • (전)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 자문위원
  • (전)학교운영위원회 충청북도협의회 초대회장
  • (전)청주대성고등학교 총동문회 사무총장
  • (전)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충북지역 총동문회 부회장
  • (전)청주대학교 총동문회 부회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지원 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5대 청주시의회 의원
  • (전)제6대 청주시의회 의원
  • (전)제7대 청주시의회 의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장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김호경

김호경

  • 이 름 김호경
  • 선 거 구 제천시 제2선거구
    (금성면, 청풍면, 수산면, 덕산면, 한수면, 교동, 남천동, 신백동, 화산동, 장락동)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33
  • 이 메 일 kyung46@hanmail.net
  • 소속위원회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제천 동명초등학교 졸업
  • 제천중학교 졸업
  • 제천고등학교 졸업
  • 충주공대 졸업
  • 세명대학교 대학원 졸업

경력사항

  • (현)중앙희망포럼협의회 자문위원장
  • (현)중부내륙미래포럼 운영위원장
  • (현)제천사무기 대표
  • (전)제천시 적십자봉사회 회장
  • (전)중부내륙(제천단양봉화영주영월평창)의장협력회 회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6대 제천시의회 후반기 의장
  • (전)제7대 제천시의회 의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노금식

노금식

  • 이 름 노금식
  • 선 거 구 음성군 제2선거구
    (금왕읍,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32
  • 이 메 일 nks3637@naver.com
  • 소속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재)충북문화재단

학력사항

  • 부윤초등학교 졸업
  • 대소중학교 졸업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금왕장학회 이사
  • (전)음성군주민자치협의회장
  • (전)금왕읍 주민자치위원장
  • (전)금왕자율방범대장
  • (전)대소면 부윤초등학교 운영위원장
  • (전)무극로타리클럽회장
  • (전)법무부 청소년 범죄예방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부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대변인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재)충북문화재단대표이사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장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박경숙

박경숙

  • 이 름 박경숙
  • 선 거 구 보은군
    (보은읍, 속리산면, 장안면, 마로면, 탄부면, 삼승면, 수한면, 회남면, 회인면, 내북면, 산외면)
  • 소속정당 더불어민주당
  • 사 무 실 043-220-5092
  • 이 메 일 qkrrudtnr309@naver.com
  • 소속위원회 산업경제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충북신용보증재단, 충북테크노파크

학력사항

  • 청주대학교 교육학부 지리교육과 졸업

경력사항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7대 보은군의회 전반기 부의장
  • (전)제7대 보은군의회 예산결산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원장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장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박병천

박병천

  • 이 름 박병천
  • 선 거 구 증평군
    (증평읍, 도안면)
  • 소속정당 더불어민주당
  • 사 무 실 043-220-5145
  • 이 메 일 icdpark@hanmail.net
  • 소속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교육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청주국제공항활성화지원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도안국민학교 졸업
  • 증평중학교 졸업
  • 청주농업고등학교 농산제조과 졸업
  • 평생교육진흥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 호서대학교 대학원 문화복지상담학과 졸업

경력사항

  • (전)증평군 장애인체육회 부회장
  • (전)증평군 자원봉사센터 위원장
  • (전)증평군 새마을회장
  • (전)증평군학원연합회 회장
  • (전)증평군복지재단 이사
  • (전)형석고등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박봉순

박봉순

  • 이 름 박봉순
  • 선 거 구 청주시 제10선거구
    (복대제2동, 가경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43
  • 이 메 일 pbs202@hanmail.net
  • 소속위원회 교육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청주 강서초등학교 졸업
  • 세광중학교 졸업
  • 증평공업고등학교 졸업
  • 우송공업대학교 건축과 졸업
  • 유원대학교 건축과 졸업
  • 충북대학교 법무대학원 법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충북지부 흥덕후원회 부회장
  • (전)풍광초등학교 운영위원장
  • (전)국민의힘 충북도당 중앙위 충북연합회장
  • (전)가경동 주민자치위원장
  • (전)국민의힘 충북도당 건설대책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 (전)제10대 충청북도의회 의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박용규

박용규

  • 이 름 박용규
  • 선 거 구 옥천군 제2선거구
    (동이면, 안남면, 안내면, 청성면, 청산면, 이원면, 군서면, 군북면)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37
  • 이 메 일 goodwillpark@naver.com
  • 소속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건설환경소방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증약초등학교 졸업
  • 옥천중학교 졸업
  • 중앙고등학교 졸업
  • 배재대학교 독일어문화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향진장학회 회장
  • (현)농업회사법인 ㈜ 라온뜰 대표
  • (전)옥천군 친환경농업인연합회 사무국장
  • (전)충청북도 교육청교육정책 청문관
  • (전)경성입시학원장
  • (전)새누리당 충북도당 부위원장
  • (전)국회의원 비서관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박재주

박재주

  • 이 름 박재주
  • 선 거 구 청주시 제6선거구
    (사창동, 성화·개신·죽림동)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83
  • 이 메 일 p2624659j@hanmail.net
  • 소속위원회 행정문화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서원초등학교 졸업
  • 청주남중학교 졸업
  • 충북고등학교 졸업
  • 경희대학교 체육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경제사회연구원 자문위원
  • (전)시민참여예산 지역위원회 위원장
  • (전)충북 럭비협회 회장
  • (전)통합3기 성화·개신·죽림동 주민자치위원회 위원장
  • (전)통합4기 성화·개신·죽림동 주민자치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재)충북문화재단대표이사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박지헌

박지헌

  • 이 름 박지헌
  • 선 거 구 청주시 제4선거구
    (남이면, 현도면, 산남동, 분평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76
  • 이 메 일 pjh660917@naver.com
  • 소속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정책복지위원회,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충북신용보증재단, (재)충북연구원

학력사항

  • 석교초등학교 졸업
  • 청주남중학교 졸업
  • 청주신흥고등학교 졸업
  • 청주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충북도의회 '충북환경생태 연구모임' 대표의원
  • (현)국민의힘 청주시 서원구 당원협의회 운영위원
  • (현)국민의힘 중앙위원회 사회복지분과 부위원장
  • (현)청주문화원 감사
  • (현)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청주시협의회 자문위원
  • (현)충청북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환경생태위원회 위원
  • (현)청주신흥고등학교 총동문회 고문
  • (현)청주대학교총동문회 감사
  • (전)진로그룹 회장비서실
  • (전)롯데그룹 ㈜충북소주 영업부문장
  • (전)충청북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 (전)충청북도의회 '환경사랑'의원 연구모임 대표의원
  • (전)미호강 포럼 수질복원분과 위원
  • (전)국민의힘 충청북도당 노동위원장
  • (전)제20대 윤석열 대통령후보 충북선대위 부위원장
  • (전)충청북도·청주시학교운영위원장협의회 회장
  • (전)충북인재양성재단 이사
  • (전)청주시체육회 총무이사, 감사
  • (전)충청북도·청주시산악연맹 이사, 부회장
  • (전)청주시재향군인회 이사
  • (전)청주신흥고등학교총동문회 회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박진희

박진희

  • 이 름 박진희
  • 선 거 구 비례대표
  • 소속정당 더불어민주당
  • 사 무 실 043-220-5070
  • 이 메 일 zzinee9413@gmail.com
  • 소속위원회 교육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충북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 충북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재학 중

경력사항

  • (현)충북대학교 총동문회 부회장
  • (전)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충북지역회의 여성위원장
  • (전)충북학교학부모연합회 대표
  • (전)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충북지부장
  • (전)충북생활정치여성연대 부대표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변종오

변종오

  • 이 름 변종오
  • 선 거 구 청주시 제11선거구
    (내수읍, 북이면, 오근장동)
  • 소속정당 더불어민주당
  • 사 무 실 043-220-5136
  • 이 메 일 bjo6309@hanmail.net
  • 소속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청주국제공항활성화지원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내수중학교 졸업
  • 청주농업고등학교 졸업
  • 서원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충북대학교 법무대학원 재학

경력사항

  • (현)청주시 범죄피해자 보호센터 위원
  • (현)내수읍 복지회 이사
  • (현)내수라이온스클럽 회원
  • (현)생활안전 농촌지도자
  • (전)더불어민주당 제2대 청주시의회 원내대표
  • (전)적십자봉사회 청원지구 협의회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 (전)제1대 청주시의회 의원
  • (전)제2대 청주시의회 의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안지윤

안지윤

  • 이 름 안지윤
  • 선 거 구 비례대표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82
  • 이 메 일 ahnjiyun53@gmail.com
  • 소속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행정문화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청주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졸업
  • 청주 남성중학교 졸업
  • 충북여자고등학교 졸업
  • 이화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졸업
  •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석사 수료

경력사항

  • (현)국민의힘 충북도당 대변인
  • (전)국민의힘 충북도당 차세대여성위원장
  • (전)㈜SM엔터테인먼트 근무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부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대변인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재)충북문화재단대표이사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오영탁

오영탁

  • 이 름 오영탁
  • 선 거 구 단양군
    (단양읍, 매포읍, 단성면, 대강면, 가곡면, 영춘면, 어상천면, 적성면)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84
  • 이 메 일 oytak501@hanmail.net
  • 소속위원회 행정문화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단양초등학교 졸업
  • 단양중학교 졸업
  • 단양공업고등학교 인문과 졸업
  • 대원대학 세무경영과 졸업

경력사항

  • (현)대한적십자 후원회원
  • (전)중부내륙중심권의정협력회장
  • (전)신단양지역개발회 사무국장
  • (전)통일부 통일교육위원
  • (전)충북지속가능발전협의회 공동회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
  • (전)제5대 단양군의회 부의장
  • (전)제6대 단양군의회 의장
  • (전)제7대 단양군의회 의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부의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재)충북문화재단대표이사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유상용

유상용

  • 이 름 유상용
  • 선 거 구 비례대표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46
  • 이 메 일 logada1004@naver.com
  • 소속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교육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청남초등학교 졸업
  • 청주남중학교 졸업
  • 충북고등학교 졸업
  •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졸업

경력사항

  • (현)국민의힘 충북도당 수석대변인
  • (전)충북대학교 약학대학 외래교수
  • (현)충북대학교 재정위원회 위원장
  • (현)대한약사회 대외협력위원장(상임이사)
  • (현)충북장애인단체연합회 후원회 부회장
  • (전)충북대학교 총학생회장
  • (전)충청북도약사회 총무이사·부회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부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국민의힘 원내대표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유재목

유재목

  • 이 름 유재목
  • 선 거 구 옥천군 제1선거구
    (옥천읍)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93
  • 이 메 일 7332112@hanmail.net
  • 소속위원회 산업경제위원회,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충북신용보증재단, 충북테크노파크

학력사항

  • 삼양초등학교 졸업
  • 옥천중학교 졸업
  • 옥천고등학교 졸업
  • 충북도립대학교 환경생명과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충북도립대학교 총동문회 회장
  • (현)사회복지시설 영생원 후원회 사무국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부의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전)제7대 옥천군의회 후반기 의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원장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이동우

이동우

  • 이 름 이동우
  • 선 거 구 청주시 제1선거구
    (낭성면, 미원면, 가덕면, 남일면, 문의면, 용암제2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72
  • 이 메 일 hyunjoo6020@nate.com
  • 소속위원회 정책복지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청주국제공항활성화지원특별위원회, (재)충북연구원

학력사항

  • 가양초등학교 졸업
  • 미원중학교 졸업
  • 청주고등학교부설방송통신고등학교 졸업
  • 서원대학교 졸업(경영학 학사)
  •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졸업(경영학 석사)
  •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졸업(경영학 박사)

경력사항

  • (전)국민의힘 충북도당 부위원장
  • (현)국민의힘 상임전국위원
  • (현)일양솔라 대표
  • (현)보재 이상설선생 기념사업회장
  • (전)성균관 전학
  • (현)성균관 전의
  • (전)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자문위원
  • (전)국민의힘 윤석열대통령 후보 충북선대위 부위원장
  • (전)자유한국당 충북도당 산업자원 특별위원회 위원장
  • (전)청주시 용암제2동 주민자치위원장
  • (전)한국자유총연맹 충청북도지회 회장(대행)
  • (전)일양산업 대표이사
  • (전)청주향교 재정 수석 장의
  • (전)바르게살기운동 충청북도협의회 부회장
  • (전)청주시 새마을회 이사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지원 특별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국민의힘 원내대표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이상정

이상정

  • 이 름 이상정
  • 선 거 구 음성군 제1선거구
    (음성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 소속정당 더불어민주당
  • 사 무 실 043-220-5073
  • 이 메 일 nongbu64@hanmail.net
  • 소속위원회 정책복지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재)충북연구원

학력사항

  •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음성군 맹동면 생명환경 수호위원회 자문위원
  • (현)사단법인 기본사회 충북본부 상임대표
  • (현)더불어민주당 더민주혁신회의 충북공동대표
  • (전)음성군농민회장
  • (전)음성민중연대 공동대표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7대 음성군의회 의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의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장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안치영

안치영

  • 이 름 안치영
  • 선 거 구 비례대표
  • 소속정당 더불어민주당
  • 사 무 실 043-220-5085
  • 이 메 일 proad1@hanmail.net
  • 소속위원회 행정문화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재)충북연구원

학력사항

  • 삼수초등학교 졸업
  • 진천중학교 졸업
  • 진천고등학교 졸업
  • 우석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더불어민주당 전국장애인위원회 부위원장
  • (현)프로광고기획 대표
  • (전)국제라이온스클럽 지역부총재
  • (전)한국자유총연맹 진천군지회장
  • (전)진천군체육회 상임이사
  • (전)진천군장애인체육회 상임이사
  • (전)대한장애인사격연맹 이사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이양섭

이양섭

  • 이 름 이양섭
  • 선 거 구 진천군 제2선거구
    (덕산면, 초평면, 이월면, 광혜원면)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00
  • 이 메 일 unho2717@hanmail.net
  • 소속위원회

학력사항

  • 안성고등학교 졸업
  • 충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졸업
  •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석사과정

경력사항

  • (현)운호건설 대표
  • (전)생거진천 카네이션클럽 회원
  • (전)진천군 푸드뱅크 회장
  • (전)충북지구JC 지구회장
  • (전)진천군 자유총연맹 회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국민의힘 원내대표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원장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전)제10대 충청북도의회 의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이옥규

이옥규

  • 이 름 이옥규
  • 선 거 구 청주시 제5선거구
    (사직제1동, 사직제2동, 모충동, 수곡제1동, 수곡제2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95
  • 이 메 일 oklee1120@hanmail.net
  • 소속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산업경제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청주국제공항활성화지원특별위원회,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충북신용보증재단, 충북테크노파크

학력사항

  • 서원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서원대학교 향장미용학 석사
  • 충북대학교 대학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생활과학 박사

경력사항

  • (현)서원대학교 총동문회 부회장
  • (현)대한미용사회중앙회 부회장
  • (현)대한미용사회 충북도지회 회장
  • (전)서원대학교 뷰티학과 조교수
  • (전)청주시 여성단체 협의회 수석부회장
  • (전)충북교육청 청문관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부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국민의힘 원내대표
  • (전)국민의힘 충북도당 여성위원장
  • (전)국민의힘 충북도당 수석대변인
  • (전)국민의힘 충북도당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재)충북문화재단대표이사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이욱희

이욱희

  • 이 름 이욱희
  • 선 거 구 청주시 제9선거구
    (복대제1동, 봉명제1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43
  • 이 메 일 lwh5740@naver.com
  • 소속위원회

학력사항

  • 충북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 석사 수료

경력사항

  • 국민의힘 충청북도당 노동위원장
  • SK하이닉스(휴)
  • 충청북도 2050탄소중립녹생성장위원회 위원
  •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회 위원
  • 복대1동 주민자치위원회 고문
  • 솔밭초등학교운영위원회 위원
  • 충청북도 중소기업육성기금 융자심의위원회 위원
  • 충청북도 도서관정보서비스위원회 위원
  • 충청북도 민방위협의회 위원
  • 제12대 충청북도의회 의원(2023.12.29. 사직)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이의영

이의영

  • 이 름 이의영
  • 선 거 구 청주시 제12선거구
    (오창읍)
  • 소속정당 더불어민주당
  • 사 무 실 043-220-5094
  • 이 메 일 ley9656@naver.com
  • 소속위원회 산업경제위원회,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충북신용보증재단, 충북테크노파크

학력사항

  • 청주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부의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전)제6대 청원군의회 전반기 산업건설위원회 위원장
  • (전)제6대 청원군의회 후반기 의장
  • (전)제10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장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부의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원장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이정범

이정범

  • 이 름 이정범
  • 선 거 구 충주시 제2선거구
    (용산동, 지현동, 호암·직동, 달천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41
  • 이 메 일 130wd@naver.com
  • 소속위원회 교육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성남초등학교 졸업
  • 미덕중학교 졸업
  • 대원고등학교 졸업
  • 충주산업대학교 열공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용산초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장
  • (전)충주시장애인체육회 이사
  • (전)충주경찰서 안보자문협의회 회장
  • (전)한국택견협회 총재
  • (전)충주교육청 미래교육협치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교육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윤리특별위원회 부위원장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이종갑

이종갑

  • 이 름 이종갑
  • 선 거 구 충주시 제3선거구
    (교현·안림동, 교현2동, 연수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96
  • 이 메 일 58ljk@hanmail.net
  • 소속위원회 산업경제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충북신용보증재단, 충북테크노파크

학력사항

  •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졸업

경력사항

  • (현)충주국원고등학교 총동문 회장
  • (현)충주측량설계공사 대표
  • (현)충북 주민자치원로회의 공동회장
  • (현)충주구치소 교정협의회 회장
  • (현)충주시 투자유치 자문위원
  • (현)충북대병원 충주분원 건립 추진 위원
  • (전)충주시의회 의장
  • (전)충주시 연수동 체육회 회장
  • (전)충주시 체육회 수석부회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4대 충주시의회 의원
  • (전)제5대 충주시의회 의원
  • (전)제7대 충주시의회 의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부의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원장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이태훈

이태훈

  • 이 름 이태훈
  • 선 거 구 괴산군
    (괴산읍, 감물면, 장연면, 연풍면, 칠성면, 문광면, 청천면, 청안면, 사리면, 소수면, 불정면)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31
  • 이 메 일 leeth1535@naver.com
  • 소속위원회 건설환경소방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인구소멸대응대책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동인초등학교 졸업
  • 괴산중학교 졸업
  • 광혜원고등학교 졸업
  • 중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국민의힘 충청북도당 수석대변인
  • (전)여의도연구원 전략기획위원
  • (전)국회의원 비서관
  • (전)청와대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실 근무
  • (전)자유한국당 충북도당 대변인
  • (전)새누리당 충북도당 부위원장
  • (전)충북총학생회장단협의회장
  • (전)한나라당2030정책개발단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수석대변인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재)충북문화재단대표이사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임병운

임병운

  • 이 름 임병운
  • 선 거 구 청주시 제7선거구
    (오송읍, 강내면, 강서제1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97
  • 이 메 일 kcckk257@naver.com
  • 소속위원회 의회운영위원회, 산업경제위원회,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충북신용보증재단, (재)충북연구원, 충북테크노파크

학력사항

  • 충북대학교 농업생명 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전)제10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충북과학기술혁신원원장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임영은

임영은

  • 이 름 임영은
  • 선 거 구 진천군 제1선거구
    (진천읍, 문백면, 백곡면)
  • 소속정당 더불어민주당
  • 사 무 실 043-220-5135
  • 이 메 일 nongdari25@hanmail.net
  • 소속위원회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문상초등학교 졸업
  • 진천중학교 졸업
  • 진천농업고등학교 졸업
  • 주성대학교 졸업
  • 우석대학교 진천캠퍼스 경영학과 졸업

경력사항

  • 문상초등학교 운영위원회 부위원장
  • 진천중학교총동문회 사무국장
  • 생거진천농다리축제 추진위원장
  • 국회의원보좌관 4급
  • 민주평통 진천군 자문위원
  • 진천군 교육행정협의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1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부의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재)충북문화재단대표이사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조성태

조성태

  • 이 름 조성태
  • 선 거 구 충주시 제1선거구
    (주덕읍, 살미면, 수안보면, 대소원면, 신니면, 노은면, 앙성면, 중앙탑면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86
  • 이 메 일 cjjbm9027@naver.com
  • 소속위원회 행정문화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충북테크노파크

학력사항

  • 충주남산초등학교 졸업
  • 충주중학교 졸업
  • 충주대원고등학교 졸업
  •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환경공학과 석사
  •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학 박사과정 수료
  • 한국교통대학교 환경공학 박사과정 재학중

경력사항

  • (현)충주시 투자유치 자문위원
  • (현)충주시장애인체육회 이사
  • (현)충청북도교육청 홍보대사
  • (전)충주시 자원봉사운영위원회 사무총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3기 윤리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수석대변인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정책복지위원회 위원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최정훈

최정훈

  • 이 름 최정훈
  • 선 거 구 청주시 제2선거구
    (중앙동, 성안동, 탑·대성동, 금천동, 용담·명암·산성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081
  • 이 메 일 cjh1620@nate.com
  • 소속위원회 행정문화위원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재)충북문화재단

학력사항

  • 금천초등학교 졸업
  • 청주동중학교 졸업
  • 청주상업고등학교(현 대성고) 졸업
  •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경력사항

  • (전)KBS한국방송 조연출&외주제작PD
  • (전)충북개발공사 도민소통위원
  • (전)금천동 자원봉사대 대원
  • (전)금천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 (전)금천동 자율방범대 대원
  • (전)충청북도 도민홍보대사
  • (전)충북지방경찰청 홍보자문위원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위원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2027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행정문화위원회 부위원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1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제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재)충북문화재단대표이사후보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부위원장
x close

충청북도의회 의원 프로필

황영호

황영호

  • 이 름 황영호
  • 선 거 구 청주시 제13선거구
    (우암동, 내덕제1동, 내덕제2동 )
  • 소속정당 국민의힘
  • 사 무 실 043-220-5134
  • 이 메 일 0427hyh@naver.com
  • 소속위원회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청주국제공항활성화지원특별위원회

학력사항

  • 청주 세광고등학교 졸업
  •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경력사항

  • (현)충북대 총동문회 부회장
  • (전)여의도연구원 정책자문위원
  • (전)충북 시·군의장단협의회 회장
  • (전)전국 시·군자치구의장협의회 대표회장
  • (전)세광고 총동문회 부회장
  • (현)제12대 충청북도의회 후반기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
  • (전)제8대 청주시의회 후반기 기획행정위원회 위원장
  • (전)제9대 청주시의회 전반기 부의장
  • (전)제1대 통합청주시의회 후반기 의장
  • (전)제12대 충청북도의회 전반기 의장
x close